$\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회건축에 나타난 평면 유형과 친환경 계획사례 조사 - 국내의 15개 교회건축물을 대상으로 -
An Investigation of Floor Plans and Environmental Elements in Church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7 no.5, 2007년, pp.13 - 20  

최율 (건양대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istory of the church is becoming 100 years in Korea and it is great growth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with relatively a short history. But, recently church architecture is without respect to environmental plan because of considering only a quantitative growth.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교회 건축은 양적인 성장에만 치우쳐 친환경적인 계획에 소홀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종교시설에서 그 규모와 목적에 맞는 평면, 친환경 요소를 파악, 조사하였다.
  • 본장에서는 사례를 통한 평면 및 친환경요소의 분석에 앞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회건축의 평면과 친환경요소에 대해서 파악하였다. 교회건축의 평면유형은 사회의 다변화에 따라 다양한 평면유형이 사용되고 있으며, 친환경 요소도 평면유형에 따라 점차 사용되는 요소들이 점차 증가되고 다양화 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건설되었거나 건설되고 있는 국내의 교회를 대상으로 평면 및 친환경 요소를 파악, 조사하여 향후 교회건축에서 사용될 기초자료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회건축의 진입공간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역사적인 고찰을 통하여 볼 때 교회건축의 진입공간은 형태적인 측면에서 크게 두 가지 특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아트리움과 광장의 형태이고 둘째는 강한 일직선의 진입 축을 가지는 것이다.
최근의 교회건축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요 특징은 무엇인가? 그러나 최근의 교회건축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요 특징은 양적인 성장에만 치우쳐 주변환경과의 조화, 친환경적인 부분, 쾌적한 실내공간, 에너지절약에 대해 고려를 하지 않고 간과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종교시설에서 그 규모와 목적에 맞는 평면, 친환경 요소를 파악하고 조사한 결과는? 규모에 따른 평면 유형은 1000석 미만에서는 장방형으로 모두 나타났으나 1000석 이상 3000석미만의 경우는 제주성안교회만이 장방형이고 그 외 모든 교회건축물은 부채꼴이었다. 3000석 이상은 부채꼴, 장방형이 각각 1개씩 나타나 명확히 정의 내릴수는 없으나 집중이 좋고 많은 좌석이 들어갈수 있는 부채꼴의 유형이 최근 교회 건축물에 많이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친환경적인 요소에서 진입공간은 도심지역에 계획된 경우 대지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특별한 공간이 없거나 주변의 공원을 이용한 사례를 볼 수 있었다. 옥상정원은 1000석이상의 규모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송림중앙교회에서는 옥상정원으로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교역자 숙소와 예배공간의 완충역할을 하고 있는 공간도 발견할 수 있 었다. 교회건축에서 전체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천창은 새안산교회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대예배실의 분위기를 밝고 부드럽게 조성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선큰가든도 1000석이상의 규모에서 지하의 채광 및 환기와 이동동선으로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계획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제주 성안교회에서는 선큰 위의 브릿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공간을 연출한 것을 파악할 수있었다. 벽천을 이용한 계획도 나타나고 있으며, 새안산 교회에서는 이중외피를 계획한 사례도 찾아 볼 수 있었다. 1000석 이상 3000석 미만의 교회건축에서는 선큰, 워터 프론트, 옥상정원, 벽천 등 다양하게 계획되었으며, 3000석 이상에서는 천창이 계획되어 다른 교회 건축과 차이를 두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김경환, 소병익, 도시내 교회 진입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발표논문집, 제17권 제2호 

  2. 대한주택공사,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모델 개발에 관한연구, 대 한주택공사 주택 연구소, 1996 

  3. 우승표, 이영수, 사회문화시설로서의 도심지 교회건축 계획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2권 제22호 

  4. 이경회.임수영, 친환경건축개론, 기문당, 2003 

  5. 이광노외 4명, 建築計劃, 문운당, 2000 

  6. 이종희, 현대 교회건축에 있어서 창의 형태에 따른 빛의 유입 방식 및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0호 

  7. 이호진, 한국의 교회건축, 산업도서출판공사, 1990 

  8. http://www.hwarchi.com/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