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 템플릿 개발을 위한 템플릿 구성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the Template Component for the Development of BIM Template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1 no.2, 2011년, pp.123 - 130  

이상헌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김미경 (한양대학교 건축학과) ,  최현아 (한양대학교 건축학) ,  전한종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M based design methodology requires more information than traditional design methodology in order to insure efficiency throughout the project. BIM based design not only requires all building data in the form of 3D shapes, but also all other relevant data regarding building components. Inform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은 건축설계분야의 실용적인 BIM 도입을 위해 BIM 기반 건축설계를 지원하는 BIM 템플릿의 개발을 제안하며 이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개발 요소와 구성 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기초적인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 앞서 ‘D’건축설계사무소의 지원으로 설계회사 차원에서의 설계표준 제정으로 설계역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BIM 표준화 작업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 다음은 BIM 템플릿의 적용사례를 조사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미국과 일본의 BIM 템플릿 사례의 특징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했지만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설계사무소의 BIM 표준화 사례와 해외 사례를 분석하여 적용되는 빌딩정보의 구성요소와 BIM 템플릿의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BIM 템플릿 개발 문헌을 조사하여 BIM 템플릿의 구성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 이번 절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소개 되었던 해외 사례를 분석하여 BIM 템플릿 개발의 범위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와 지원범위를 파악하고 특히 국내 설계사무소의 BIM 도입을 위한 표준화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에서 요구하는 BIM 기반 설계의 지원 범위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BIM 템플릿의 첫 번째 개발 플랫폼을 Autodesk RevitⓇ으로 정하였다.5) RevitⓇ 템플릿의 개발이 완료되면 이를 바탕으로 Graphisoft ArchiCADⓇ또는 Nemetschek AllplanⓇ 등과 같은 다른 BIM 플랫폼에도 적용하여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템플릿이 가지는 기능적 특징은 무엇이 있는가? ∙ 템플릿의 목적에 따라 기능 구분 ∙ 반복적인 작업유형에 재사용 ∙ 미리 정의해 놓은 입력 데이터의 집합 ∙ 지정된 입, 출력 양식을 통한 데이터 처리 ∙ 사용자의 데이터 입력누락과 실수를 최소화 ∙ 일관되고 유효한 결과물 산출 
BIM이란 무엇인가? BIM은 건물의 수명주기 동안 생성되는 정보를 교환하고 재사용하고 관리하는 전 과정의 프로세스라고 정의하고 있다.3) 그러나 BIM 도입에 있어 건설 산업의 전문분야마다 BIM을 이해하는 방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BIM의 가장 큰 장점인 통합 프로세스 개념으로 발전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국내 BIM 도입의 현황이다.
BIM 템플릿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BIM 템플릿은 빌딩정보 입력지원 기능, 빌딩정보 출력 지원 기능으로 구성된다. 입력지원 기능에는 BIM의 역할에 따른 미리 설정된 빌딩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력 지원 기능에는 빌딩정보의 활용에 따른 산출물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조달청, 시설사업 BIM적용 기본지침서, 2010. 

  2. 최명식, 국내 BIM 도입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 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pp. 599-603 

  3. 이진희, 전한종,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의 국내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6권 6호, 2007, pp. 19-27 

  4. 이상헌, 배경진, 양혜미, 전한종, 국내 중소규모 건축설계사무소의 BIM 인식과 실용적인 적용을 위한 BIM 템플릿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33호, 2011, pp. 87-96 

  5. 이병철, 국내 설계사무소의 BIM 도입 방안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6. Sangheon Lee, hanjong Jun, The study on barriers to the adoption of BIM and changes in mind, 8th ISAIA, 2010, pp. 65-68 

  7. Wikipedia, Website: http://en.wikipedia.org/wiki/Template 

  8. 이상헌, 김인한, 건설산업에서 BIM의 구성과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CAD/CAM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2007, pp. 76-83 

  9. GSA, Revit_9_0_GSA_Spaces_Notes.doc, GSA, 2006 

  10. Revit Start Kit 2010, RSK2010_DOC-B5.pdf, Website: http://bimdesign.com/revitstarterkit/archi2010.html 

  11. AEC (UK) CAD Standards Committee, AEC (UK) BIM Standard for Autodesk Revit, 2010, Website: http://www.aec-uk.org 

  12. Robert Manna, David Spehar, Good Autodesk(R) Revit(R) Project Template: Keys to Efficiency, Autodesk University 2009, Website: http://images.dcheetahimages.com/au.autodesk.com/ama/images/media/AU09_Speaker-Handout_AB314-41.pdf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