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레이저 여기 표면파의 음향비선형성을 이용한 Al6061 합금의 소성변형 평가
Assessment of Plastic Deformation in Al6061 Alloy using Acoustic Nonlinearity of Laser-Generated Surface Wave 원문보기

비파괴검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32 no.1 = no.129, 2012년, pp.20 - 26  

김정석 (한양대학교 자동차공학과) ,  남태형 (한양대학교 자동차공학과) ,  최성호 (한양대학교 자동차공학과) ,  장경영 (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접촉식 레이저 여기 표면파의 비선형성 계측을 통하여 소성 변형된 알루미늄 합금의 소성변형을 평가하고자 하는 데 있다. 슬릿마스크와 고출력 펄스 레이저를 통한 선배열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협대역의 표면파를 발생 시켰으며, 표면파의 음향 비선형 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슬릿 마스크의 열림 폭과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레이저 여기 표면파의 주파수 특성을 제어하였다. 스트로크 제어를 통한 인장시험을 통하여 단계별 인장 소성변형 정도를 달리하는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인장 소성 변형율이 커짐에 따라 음향 비선형 파라미터는 증가하였으며, 경도 및 EBSD 측정결과 손상의 정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의 레이저 여기 표면파의 비선형 평가기법은 알루미늄 합금의 소성변형 평가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plastic deformation in aluminium alloy by acoustic nonlinearity of laser-generated surface waves. A line-arrayed laser beam made by high-power pulsed laser and mask slits is utilized to generate the narrowband surface wave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인장 소성 변형된 알루미늄 합금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협대역 레이저 여기 표면파를 이용한 음향 비선형성 측정 기법을 제안하였다. 마스크 슬릿을 이용한 선배열형태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협대역의 주파수성분을 가지는 표면파를 발생시킬 수 있었으며, 이때 발생된 레이저 여기 표면파의 주파수 특성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예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스크 슬릿을 이용한 기법의 장점은? 일반적으로 음향 비선형 특성 계측을 위해서는 기본주파수성분과 고조파 성분의 측정이 유리한 협대역의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초음파가 선호되며 다중레이저빔, 간섭패턴, 마스크 슬릿등을 이용한 선배열 형태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협대역의 표면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법들이 연구되어져 왔다[9-11]. 이들 중, 마스크 슬릿을 이용한 기법은 매우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며, Jhang은 이 기법을 통하여 발생된 협대역의 레이저 여기표면파의 음향 비선형 특성을 계측하였다[12]. 특히, Shui와 Solodov는 종파보다도 표면파에 의한 고조파발생이 약 103배나 크다는 것을 물리적이고 분석적으로 보고하였다[13].
일반적으로 음향 비선형 특성 계측을 위해 주로 연구된 기법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레이저를 이용한 비접촉식 표면파 가진 기술이 연구되었으며 이는 특히 표면파를 발생 시키는데 효과적인 기법인 것으로 밝혀졌다[8]. 일반적으로 음향 비선형 특성 계측을 위해서는 기본주파수성분과 고조파 성분의 측정이 유리한 협대역의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초음파가 선호되며 다중레이저빔, 간섭패턴, 마스크 슬릿등을 이용한 선배열 형태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협대역의 표면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법들이 연구되어져 왔다[9-11]. 이들 중, 마스크 슬릿을 이용한 기법은 매우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며, Jhang은 이 기법을 통하여 발생된 협대역의 레이저 여기표면파의 음향 비선형 특성을 계측하였다[12].
투과종파를 이용한 음향비선형성의 경우 구조물 진단 및 평가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표면파 사용이 유리한 이유는? 이상에 언급한 바와 같이 시험대상 구조물의형상과 사용환경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과 접근한계성으로 기존의 투과종파를 이용한 음향비선형성은 재료의 물리적인 특성값 즉, 고차탄성계수를 측정하는데는 유리하지만 구조물의 진단 및 평가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성변형을 평가하고 그 정도를 모니터링하는데는 표면파가 유리하고, 일반금속의 경우 재료에 의한 비선형성으로 나타나는 2차 고조파성분의 진폭이 기본주파수성분의 10-3 ~ 10-2 정도로 매우 작은 값이므로 보다 고조파발생이 큰 표면파가 더욱 유리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V. V. S. Jaya Rao, E. Kannan, R. V. Prakash, and K. Balasubramaniam, "Fatigue damage characterization using surface acoustic wave nonlinearity in aluminum alloy AA7175-T7351,"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104, pp. 123508 (2008) 

  2. C. S. Kim, I. K. Park, K. Y. Jhang and C. Y. Hyun, "Long-term aging diagnosis of rotor steel using acoustic nonlinear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ol. 31, No. 6, pp. 642-629 (2011) 

  3. 백승현, 이태훈, 김정석, 장경영, "열처리된 SA508 합금에서의 초음파 비선형성 측정: 결 정립과 석출물 영향", 비파괴검사학회지, Vol. 30, No. 5, pp. 451-457 (2010) 

  4. J. H. Cantrell, "Dependence of microelasticplastic nonlinearity of martensitic stainless steel on fatigue damage accumulation,"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100, pp. 063508 (2006) 

  5. J. H. Cantrell and X. G. Zhang, "Nonlinear Acoustic Response from Precipitate-Matrix Misfit in a Dislocation Network,"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84, pp. 15-18 (1998) 

  6. J. H. Cantrell and W. T. Yost, "Nonlinear ultrasonic characterization of fatigue microstruc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Fatigue, Vol. 23, pp. 487-490 (2001) 

  7. J. L. Blackshire, S. Sathish, J. Na and J. Frouin, "Nonlinear Laser Ultrasonic Measurements of Localized Fatigue Damage," Review of Progress in Quantitative Nondestructive Evaluation, Vol. 22, pp. 1479-1488 (2003) 

  8. C. B. Scruby and L. E. Drain, "Laser Ultrasonic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Adam Hilger, Bristol, (1990) 

  9. T. W. Murray, J. B. Deaton Jr. and J. W. Wagner, "Experimental evaluation of enhanced generation of ultrasonic waves using an array of laser sources," Ultrasonics, Vol. 34, pp. 69-77 (1996) 

  10. A. Harata, N. Nishimura and T. Sawada, "Laser-induced surface acoustic-waves and photothermal surface gratings generated by crossing 2 pulsed laser-beam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57, pp. 132-134 (1990) 

  11. D. Royer and E. Dieulesaint, "Analysis of thermal generation of Rayleigh waves,"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56, pp. 2507-2511 (1984) 

  12. T. H. Nam, S. H. Choi, T. H. Lee and K. Y. Jhang, C. S. Kim, "Acoustic Nonlinearity of Narrowband Laser-generated Surface waves in the Bending Fatigue of Al6061 Alloy,"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 57, pp. 1212-1217 (2010) 

  13. Y. Shui, Y. Solodov, "Nonlinear Properties of Rayleigh and Stoneley Waves in Solids,"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64, pp. 6155-6165 (1988) 

  14. C. E. Duffer and C. P. Burger, "Narrow Band Laser Ultrasonic NDE," Review of Progress in Quantitative nondestructive Evaluation, Vol. 15, pp. 593-600 (1996) 

  15. Y. H. Berthelot and J. Jarzynski, "Directional Laser Generation and Detection of Ultrasound with Arrays of Optical Fibers," Review of Progress in Quantitative nondestructive Evaluation, Vol. 9, pp. 463-470 (1990) 

  16. S. H. Choi, T. H. Nam, K. Y. Jhang and C. S. Kim, "Frequency Response of Narrowband Surface Waves Generated by Laser Beams Spatially Modulated with a Line-arrayed Slit Mask,"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 60, No. 1, pp. 26-30 (2012) 

  17. A. N. Norris, "Symmetry conditions for third order elastic moduli and implications in nonlinear wave theory," Journal of Elasticity, Vol. 25, No. 3, pp. 247-257 (1991) 

  18. G. Shui, J. Y. Kim, J. Qu, Y. S. Wang and L. J. Jacobs, "A new technique for measuring the acoustic nonlinearity of materials using Rayleigh waves," NDT & E International, Vol. 41, pp. 326-329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