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흡기계 작용 약물의 치료군 중복처방 평가기준 개발
Therapeutic Duplication Criteria Development of Respiratory System Drugs 원문보기

약학회지 = Yakhak hoeji, v.56 no.2, 2012년, pp.126 - 135  

최경업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손현순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김남효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신현택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이영숙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velop therapeutic duplication criteria for the drugs used for respiratory diseases. Method: Therapeutic duplication was defined as "more than 2 drug ingredient-usage in which each has the same therapeutic effect and combination therapy does not confer additional therapeutic benefit".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9년에 청구된 약제심사 청구 명세서 약 140만 건을 분석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동일 분류번호 내 의약품 처방 빈도가 가장 높은 약효군으로 식약청 분류 번호 222번 진해거담제, 141번 항히스타민제가 각각 1위와 3위로 나타났다.5) 이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치료군 중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진해거담제와 항히스타민제를 포함하여 호흡기계 작용 약물의 치료군 중복 기준안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결론으로 본 연구는 호흡기계 질환에 사용하는 약물을 대상으로 치료군중복의 기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활용한 의약품분류체계뿐만 아니라 임상치료지침 및 다양한 임상문헌을 근거로 하여 기준을 개발하였다.
  • ATC는 5단계 7자리수로 이루어진 분류체계로서 신체기관별 및 약리기전이나 화학구조, 약물학적 및 치료학적 특성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본 연구는 ATC 분류체계가 치료군 중복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의약품 분류체계로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이 분류체계를 활용하였다. 우리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청 분류 체계는 3단 분류로 총 161개 번호로 구성된 반면,10) ATC 분류 체계는 4단계 의약품 분류가 총 854개 군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좀더 상세한 분류체계라고 할 수 있다.
  • 이러한 DUR의 항목 중 하나인 치료군 중복에 대한 기준안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향후 DUR의 국내 정착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확립된 가이드라인을 수집, 고찰하여 기준안에 반영하였고, 현재 임상에서 활동 중인 호흡기계 분야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실제의 약물 사용 경향 또한 반영하려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호흡기계 작용 약물만을 선택하여 치료군 중복 기준안을 만들었으나 향후 다른 신체 계통에 대한 의약품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가설 설정

  • 3,4) 치료군 중복을 DUR 대상항목에 추가시켜 이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우선 치료군 중복으로 정의할 수 있는 과학적 기준을 마련되어야 하며, 특히 치료군 중복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 효능군을 우선적으로 기준을 만드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약물이 처방된 목적에 따라 치료군중복의 판별 여부가 달라지므로, 치료군 중복 기준안은 효능군별로 만들어지는 것이 타당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약품사용 검토는 무엇인가? 안전한 약물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의약품사용 검토(Drug Utilization Review, DUR)는 부적절한 의약품 사용을 줄이고 적정한 의약품 사용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로, 우리나라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2010년 하반기에 전국에 확대 시행 예정 임을 발표한 DUR 제도는 현재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후향적 방식으로 진행되던 심사 방식과는 달리, 처방이나 조제 단계에서 부적절한 약물 처방을 심사하여 환자가 약을 복용하기 전에 미리 위험을 줄인다는 점에서 많은 기대가 되고 있다.
의약품사용 검토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안전한 약물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의약품사용 검토(Drug Utilization Review, DUR)는 부적절한 의약품 사용을 줄이고 적정한 의약품 사용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로, 우리나라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2010년 하반기에 전국에 확대 시행 예정 임을 발표한 DUR 제도는 현재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후향적 방식으로 진행되던 심사 방식과는 달리, 처방이나 조제 단계에서 부적절한 약물 처방을 심사하여 환자가 약을 복용하기 전에 미리 위험을 줄인다는 점에서 많은 기대가 되고 있다.
의약품사용 검토에 대한 국내 공식 문건과 연구문헌에 따르면국내 공식 문건과 연구문헌에 따르면 치료군 중복의 정의는 무엇인가? DUR 에 대한 국내 공식 문건과 연구문헌에 따르면 '치료군 중복'은 같은 치료계열 약물군에 속하는 2가지 이상의 약물이 처방 또는 조제되는 사례로, 약리학적으로 부작용이나 독성을 증가시키고, 치료적 이득 없이 의료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경우로 정의하고 있다.3,7)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도 '치료군 중복'을'동일한 적응증 또는 동일 치료목적을 갖는' 동일 약물계열에 속한 약제가 2개 이상 처방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약제정보 - 처방.조제안전정보(DUR). Avaialbe at http://www.hira.or.kr/rfl_dur_freeboard_public.do? methodlistFreeBoard&bbrd_no36&pgmidHIRAB0304020 00000. Accessed on August 2 (2010). 

  2. 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 1990 (OBRA'90) : Available at http://faculty.ksu.edu.sa/hisham/Documents/Pharmacy_Docs/omnibus.pdf. Accessed on August 2 (2010). 

  3. (주)퍼스트디스 : 의료급여 환자별 의약품 적정사용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2006. 4. 21). 

  4. 전혜숙 : 노인 외래환자의 의약품 사용평가. 성균관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5. 신현택 : 중복치료 의약품에 대한 적정사용정보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 (2009. 11). 

  6. 식품의약품안전청 : 의약품 등 정보. Available at http://ezdrug.kfda.go.kr/kfda2. Accessed on August 4 (2010). 

  7. 대한약사회 : 의약품사용평가(DUR) 학술정보자료집 (2004). 

  8. Meredith, S., Feldman, P. H., Frey, D., Hall, K., Arnold, K., Brown, N. J. and Ray, W. A. : Possible medication errors in home healthcare patients. J. Am. Geriatr. Soc. 49, 719 (2001). 

  9. Azoulay, L., Zargarzadeh, A., Salahshouri, Z., Oraichi, D. and Berard, A. : Inappropriate medication prescrib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living in Iran. Eur. J. Clin. Pharmacol. 61, 913 (2005). 

  10. 식품의약품안전청 : 의약품등 분류번호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예규 제 196호 (2009. 8. 24). 

  11.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Drug Statistics Methodology : About the ATC/DDD system. Available at http://www.whocc.no/atcddd/. Accessed on August 3 (2010). 

  12. Joseph T. Dipiro, Robert L. Talbert, Gary C. Yee, Gary R. matzke, Barbara G. Wells, L. and Michael Posey. : Pharmacotherapy A Pathophysiologic Approach 7th ed. Mc Graw Hill. pp. 1565-1575 (2008). 

  13. Joint Task Force on Practice Parameters : Attaining optimal asthma control: a practice parameter. J. Allergy Clin. Immunol. 116, S3-11 (2005). 

  14. Bousquet, J., Reid, J., van Weel, C., Baena Cagnani, C., Canonica, G. W., Demoly, P., Denburg, J., Fokkens, W. J., Grouse, L., Mullol, K., Ohta, K., Schermer, T., Valovirta, E., Zhong, N. and Zuberbier, T. : Allergic rhinitis management pocket reference 2008. Allergy 63, 990 (2008). 

  15. Potter, P. C., Carte, G., Davis, G., Desmarais, P., Friedman, R., Gill, M., Gravet, C., Green, R., Groenewald, M., Hockman, M., Jeena, P., Jooma, O., Joyce, G., Manjra, A., Ossip, M., Seedat, R., Vidjak, D. and Wolff, L. : Allergy Society of South Africa Consensus. : Clinical management of allergic rhinitis - the Allergy Society of South Africa Consensus Update. South African Medical Journal 96, 1269 (2006). 

  16. Price, D., Bond, C., Bouchard, J., Costa, R., Keenan, J., Levy, M. L., Orru, M., Ryan, D., Walker, S. and Watson, M. : International Primary Care Respiratory Group (IPCRG) Guidelines: Management of allergic rhinitis. Primary Care Respiratory Journal 15, 58 (2006). 

  17. Institute for Clinical Systems Improvement (ICSI), Clinical Management of Allergic Rhinitis-the Allergy Society of South Africa Consensus Update, (2006). Available at http:// www.icsi.org/respiratory_illness_in_children_and_adults_guideline_/respiratory_illness_in_children_and_adults_ guideline_13116.html. Accessed on September 2 (2009). 

  18.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Workshop Group :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ARIA). Allergy 63, 8 (2008). 

  19. van Cauwenberge, P., Bachert, C., Passalacqua, G., Bousquet, J., Canonica, G. W., Durham, S. R., Fokkens, W. J., Howarth, P. H., Lund, V., Malling, H. J., Mygind, N., Passali, D., Scadding, G. K. and Wang, D. Y. : Consensus statement on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European Academy of Allergology and Clinical Immunology. Allergy 55, 116 (2000). 

  20. 대한비과학회, 알레르기비염 치료의 가이드라인 요약본 2003. Available at http://www.guideline.or.kr/. Accessed on September 5 (2009). 

  21. 이종명 : 알레르기비염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76, 268 (2009). 

  22. Pratter, M. R. : Chronic upper airway cough syndrome secondary to rhinosinus diseases (previously referred to as postnasal drip syndrome):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129, 63S (2006). 

  23. Pratter, M. R.: Cough and the common cold: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129, 72S (2006). 

  24. Brown, K. K. : Chronic cough due to nonbronchiectatic suppurative airway disease (bronchiolitis):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129, 132S (2006). 

  25. Pratter, M. R., Brightling, C. E., Boulet, L. P. and Irwin, R. S. : An empiric integrative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cough: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129, 222S (2006). 

  26. Joseph T. Dipiro, Robert L. Talbert, Gary C. Yee, Gary R. Matzke, Barbara G. Wells, L. and Michael Posey : Pharmacotherapy A Pathophysiologic Approach 7th ed. Mc Graw Hill. pp. 463-518 (2008). 

  27. British Thoracic Society of Cough Guideline Group :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cough in adults. Thorax. 61, i1 (2006). 

  28. NICE. Manage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adult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2004. Available at http://guidance.nice.org.uk/CG012. Accessed on September 5 (2009). 

  29. Braman, S. S. : Chronic cough due to chronic bronchitis: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129, 104S (2006). 

  30. Institute for Clinical Systems Improvement (ICSI),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vailable at http://www.icsi.org/chronic_obstructive_pulmonary_disease/chronic_obstructive_pulmonary_disease_ 2286.html. Accessed on September 6 (2009). 

  31.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vailable at http:// www.goldcopd.com/Guidelineitem.asp?l12&l21&intId 2003. Accessed on September 6 (2009). 

  32. Qaseem, A., Snow, V., Shekelle, P., Sherif, K., Wilt, T. J., Weinberger, S., Owens, D. K. : Clinical Efficacy Assessment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n. Intern. Med. 147, 633 (2007). 

  3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료지침위원회 만성 기도폐쇄성질환 임상연구센터 :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진료지침 관련연구. Available at http://www.lungkorea.org/thesis/file/ COPD%c1%f8%b7%e1%c1%f6%c4%a7(05.11.7).pdf. Accessed on September 7 (2009). 

  34. Global Initative for Asthma (GINA) : Global strategy for Asthma Management and Prevention, Available at http:// www.ginasthma.com/Guidelineitem.asp??l12&l21&intId 1561. Accessed on September 8 (2009). 

  35. National Asthma Education and Prevention Program (NAEPP) -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Expert Panel Report 3 (EPR3) :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thma, Available at http://www.nhlbi.nih.gov/guidelines/ asthma/asthgdln.htm. Accessed on September 8 (2009). 

  36. BTS (The British Thoracic Society) & SIGN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nes Network) : British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Asthma. Available at http://www.sign.ac.uk/ pdf/sign101.pdf. Accessed on September 8 (2009). 

  37. Institute for Clinical Systems Improvement (ICSI) :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thma. Available at http://www.icsi.org/asthma_outpatient/asthma_diagnosis_management_of_ guideline_.html. Accessed on September 9 (2009). 

  38. Joint Task Force on Practice Parameters : Attaining optimal asthma control: a practice parameter. J. Allergy Clin. Immunol. 116, S3 (2005). 

  39. 대학 결핵 및 호흡기학회 천식 진료지침 위원회, 기관지 천식의 진료 지침. Available at http://www.lungkorea.org/thesis/file/ %c3%b5%bd%c4%c1%f8%b7%e1%c1%f6%c4%a7(05.11.7).pdf. Accessed on September 9 (2009). 

  40. 대한의학회 및 보건복지가족부, 한국 성인 천식의 진료지침 2007. Available at http://ncrc.cdc.go.kr/guideline/files/guideline/ 1256623696791.pdf. Accessed on September 9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