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o.3, 2012년, pp.143 - 153
최승현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문향란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이영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주센터) , 이정후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Mica-type minerals (illites) in the shales of the Jigunsan formation at Seokgaejae in Samchuk-City, Gangwon-do are studied using electron probe micro analysis (EPMA). The average chemical formula of the mica-type mineral obtained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i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운모류 광물은 어디에 해당되는 화학조성을 보이는가? | 34}Al_{1.66})O_{20}(OH)_4$로, 소위 일라이트에 해당되는 화학조성을 보인다. 낮은 층간 양이온 값과 팔면체 자리의 높은 Mg, Fe값으로 보아 일라이트는 백운모, 파이로필라이트 및 녹니석의 혼합상으로 판단된다. | |
태백지역 고생대 퇴적암에서 산출되는 백운모는 어떠한 조성을 보이는가? | 태백지역 고생대 퇴적암에서 산출되는 백운모는 K 함량이 이상화학식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값을 보이는 백운모/파이로필라이트 혼합상(M/P)의 화학 조성을 보이며(Lee, 1993; Choi, 2009), 일부는 녹니석이 혼합상에 포함되어 팔면체 자리의 Al을 Mg와 Fe가 50% 가까이 치환하기도 한다(Choi et al., 2010). | |
강원도 삼척시 석개재 부근의 직운산층 셰일이 태백시 장성동 일대의 직운산층과 보이는 차이는? | , 2004). 이 지역의 직운산층은 태백시 장성동 일대의 직운산층과는 달리, 흑회색 이암과 녹회색 실트암 등으로 구성된다(Woo and Chough, 2007). |
Baek, J.H. (1994) A mineralogical study of layer silicates in the metamorphic rocks from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M.D.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Choi, D.K., Chough, S.K., Kwon, Y.K., Lee, S.B., Woo, J., Kang, I., Lee, H.S., Lee, S.M., Shon, J.W., Shinn, Y.J., and Lee, D.J. (2004) Taebaek Group (Cambrian-Ordovician) in the Seokgaejae section, Taebaeksan Basin : a refined lower Paleozoic stratigraphy in Korea. Geosciences Journal, 8, 125-151.
Choi, S.H. (2009) A mineralogical study on the illite in the sedimentary rock from the Taebaek area : EPMA, TEM study. M.D.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Choi, S.H., Lee, J.H., Lee, Y.B., Mun, H.R., and Choi, M.C. (2010) A study on the muscovite-pyrophyllite mixing from the EPMA analysis of illite.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Jeonju, Korea, May 27, 47-49.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a review and new view. Earth Science Reviews, 52, 175-235.
Deer, W.A., Howie, R.A., and Zussman, J. (1992) An introduction to the rock forming minerals. 2nd edition.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Jiang, W.T., Essene, E.J., and Peacor, D.R. (1990)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coexisting pyrophyllite and muscovite : Direct evidence for the metastability of illite. Clay. Clay Miner., 38, 225-240.
Lee, J.H. and Peacor, D.R. (1983) Intralayer transitions in phyllosilicates of the Martinsburg Shale. Nature, 303, 608-609.
Lee, J.H., Peacor, D.R., Lewis, D.D., and Wintsch, R. P. (1984) Chlorite-illite/muscovite interlayered and interstratified crystals: A TEM/STEM study. Contrib. Mineral. Petr., 88, 372-385.
Lee, J.H. Ahn, J.H., and Peacor, D.R. (1985) Textures in layered silicates : progressive changes through diagenesis and low-temperature metamorphism. J. Sediment. Petrol., 55, 532-540.
Lee, S.W. (1998) Mineralogical studies on the diagenesis of the shale in the Sindong group at the Kyongsang Basin : XRD, EPMA and TEM study. M.D.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Lee, Y.B. (1993) Mineralogical studies of phyllosilicates on the diagenesis and metamorphism of the Jigunsan and the Manhang formation : EPMA/TEM study. M.D.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Livi, K.T., Christidis, G.E., Arkai, P., and Veblen, D.R. (2008) White mica domain formation : A model for paragonite, margarite and muscovite formation during prograde metamorphism. Am. Mineral., 93, 520-527.
Srodon, J. and Eberl, D.D. (1984) Illite. In: Bailey, S.W. (ed.) Micas, Reviews in Mineralogy, Vol. 13, Mineral. Soc. America, 495-544.
Woo, J. and Chough, S.K. (2007) Depositional process and sequence stratigraphy of the Jigunsan Formation (Middle Ordovician), Taebaeksan Basin, mideast Korea : implications for basin geometry and sequence development. Geosciences Journal, 11, 331-355.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