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인류세 이전 토양생성률과 20세기 후반 토양유실률 비교를 통한 토양경관 지속가능성 전망
A Perspective on the Sustainability of Soil Landscape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Anthropocene Soil Production and Late 20th Century Soil Loss Rates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0 no.2, 2015년, pp.165 - 183  

변종민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성영배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5세기 이래로 인간의 토지이용으로 인한 토양유실은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토양유실이 계속되면 언제까지 토양이 유지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우리는 정작 답할 수 없었다. 이는 토양생성률을 정량화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 우주선유발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토양생성률을 정량화하는 기법이 등장하였고 국내에도 이를 적용한 시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우주선유발 동위원소를 이용한 토양생성률 및 토양생성함수 도출 원리를 소개하고, 국내 토양생성률 연구결과를 20세기 이후의 토양유실률 자료와 비교 분석하여 토양의 지속가능기간을 예측해보았다. 대관령 고원에서 추정한 인류세 이전의 토양생성률은 평균 $0.05[mm\;yr^{-1}]$으로 밝혀졌으며, 20세기 후반 인간의 토지이용이 집약적으로 나타나는 농경지에서의 토양유실률은 이에 비해 많게는 60배나 상회하였다. 현재의 토지이용이 유지될 경우, 대하천 상류지역 농경지의 표층토양은 빠르면 수십 년내 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well known that, since the 15th century, the amount of soil loss in our country due to change in land use by human has increased more rapidly than ever before. However we cannot answer the question 'How long can the soil persist under the current rates of soil loss?', because it was difficult ...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류세란 무엇인가? 산림이 제거되고 들어선 농경지의 토양은 지표유출에 의한 침식에 상당히 취약하여 쉽게 유실되었으며, 농경지와 함께 들어선 인공 구조물들 또한 광범위하게 지표 토양을 제거해왔다. 지구 역사에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퍼져나가면서 인간의 영향력이 이처럼 커진 지질시대를 ‘인류세(人類世, Anthropocene)’라 부른다(Zalasiewicz et al., 2011).
토양의 모재란 무엇인가? 토양의 모재는 지하 깊은 곳에서 형성된 암석이다. 지표의 침식으로 인해 심부에 있던 암석이 점차 지표면 가까이 도달하게 되면, 생성 당시와는 다른 압력, 온도, 수분, 그리고 생물 환경에 놓이게 된다.
15~17세기를 본격적인 인류세의 시작이라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렇다면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에서는 어느 시기가 본격적인 인류세라고 명할 수 있을까? 정밀한 구분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의견 수렴이 필요하겠지만,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퍼져나가면서 대규모의 토지이용이 시작된 시기를 기준으로 삼는다면 15세기에서 17세기를 본격적인 인류세의 시작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이 시기에 이르러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고(권태환·신용하, 1977; 이영구·이호철, 1987, 1988), 왜란과 호란으로 인해 대규모 인구이동까지 발생하면서(최영준, 1997), 비교적 개간이 쉬웠던 하천 하류뿐만이 아니라 산간지역에까지 인구가 정착하면서 상당한 규모의 벌목과 화전이 발생했기 때문이다(이우연, 2003). 그 결과 17세기 후반에는“이전에 갈아먹지 않던 땅도 모조리 개간하지 않은 곳이 없다”거나 “산간이나 해택(海澤) 연안이 모두 기경(起耕)되어 한 이랑도 노는 땅이 없다”고 할 만큼 경지가 확대되었다(이우연, 2003, 37에서 재인용).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