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와 한국의 도시 이데올로기
Gangnam -ization and Korean Urban Ideology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2, 2016년, pp.287 - 306  

박배균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장진범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본 논문은 아파트 단지와 신도시 개발로 대변되는 한국의 현대적 도시화를 도시 이데올로기와의 관련성 속에서 설명하려는 것이다. 특히, '강남 만들기(강남의 물리적 건설과 담론적 재현)'와 '강남 따라하기(강남 재현의 도시적 보편화와 강남의 공간적 복제)'라는 이데올로기적 과정이 한국의 도시 중산층들로 하여금 도시를 특정한 방식으로 규정하고 상상하며, 특정한 도시 공간의 모습을 욕망하고 소비하게 만들었고, 이 과정이 현재 한국의 도시화 과정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음을 밝히려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도시 중산층 거주지 3곳(서울 강남, 성남 분당, 부산 해운대)에서 22명의 도시거주자들을 심층면접하여 그들이 도시를 상상, 재현, 욕망하는 방식을 조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Korean urbanization,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apartment complexes and new towns, in relation to urban ideology in Korea.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impacts of the ideological processes of Gangnam-ization on the ways in which 'the urban' ha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파트라는 주거양식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사회비평적 글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이를 반영하여 최근 들어 아파트라는 주거양식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사회비평적 글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한국을 아파트 공화국이라 칭하기도 하고(발레리 줄레조, 2007), 아파트가 우리나라 중산층 문화 형성의 근거지로 묘사되기도 하며(박해천, 2013), 아파트 거주가 우리나라 도시의 공동체성을 파괴한 주범으로 지적되기도 한다(박철수, 2013).
1980년대를 기점으로 한국의 현대 도시의 변화는? 한국의 현대 도시를 특징짓는 핵심적 키워드는 아마 ‘아파트’일 것이다. 1980년대 이전까지는 단독주택이 지배적 주거양식이었으나, 1980년대 이후 아파트와 연립주택의 건설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1989년부터 시작된 수도권 신도시 건설을 계기로 아파트 공급이 급격히 늘어났고, 현재는 아파트가 한국 도시의 지배적 주거양식이 되었다.
한국의 현대 도시는 어떤 것의 결과물이라 볼 수 있는가? 이처럼 고층 아파트와 신도시로 대변되는 한국의 현대 도시는 아파트 단지, 신도시, 택지지구 등과 같은 예외적 공간의 건설에 기반을 둔 공간선택적 압축 도시화의 결과물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압축적 도시화를 단순히 물리적 도시공간의 건설과 관련된 현상과 과정으로만 환원시켜 이해하면 도시의 중요한 특징을 놓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내희, 2004, 강남의 계급과 문화, 황해문화, 42, 62-84. 

  2. 강준만, 2004, 강남은 한국 자본주의의 엔진인가?, 인물과 사상, 73, 116-167. 

  3. 길혜연(역), 2007, 아파트 공화국: 프랑스 지리학자가 본 한국의 아파트, 후마니타스, 서울(Valerie Gelezeau and Jean-Robert Pitte, 2003, Seoul, ville geante, cites radieuses, OpenEdition Books.) 

  4. 김남일.백선기, 2008, 언론매체의 '강남권역'신화 형성과 이데올로기, 언론과사회, 16(2), 2-36. 

  5. 김아람, 2013, 1970년대 주택정책의 성격과 개발의 유산, 역사문제연구, 29, 47-84. 

  6. 김형국, 2004, 강남의 탄생, 황해문화, 42, 10-24. 

  7. 박철수, 2013, 아파트: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사회, 마티, 서울. 

  8. 박해천, 2011, 콘크리트 유토피아, 자음과 모음, 서울. 

  9. 박해천, 2013, 아파트 게임: 그들이 중산층이 될 수 있었던 이유, 휴머니스트, 서울. 

  10. 안창모, 2010, 강남개발과 강북의 탄생과정 고찰, 서울학연구, 41, 63-97. 

  11. 이동헌.이향아, 2011, 강남의 심상규모와 경계짓기의 논리, 서울학연구, 42, 123-171. 

  12. 이영민, 2006, 서울 강남의 사회적 구성과 정체성의 정치: 매스미디어를 통한 외부적 범주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 1-14. 

  13. 전강수, 2012.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강남개발, 역사문제연구, 28, 9-38. 

  14. 전상인, 2009,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한국의 주거 사회학, 이숲, 서울. 

  15. 조명래, 2002, 현대 사회의 도시론. 한울, 서울. 

  16. 조명래, 2004, 신상류층의 방주로서의 강남, 황해문화, 42, 25-40. 

  17. Brenner, N. and Schmid, C., 2014, The 'Urban Age' in Ques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IJURR), 38(3), 731-755. 

  18. Douglas, M., 2008(1966), Purity and Danger: An Analysis of Concepts of Pollution and Taboo, Routledge. 

  19. Lefebvre, H., 2003, The urban revolution, Minnesota University Press, Minneapolis. 

  20. Merrifield, A., 2013, The urban question under planetary urban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7(3), 909-922. 

  21. Schmid, C., 2012, Henri Lefebvre, the Right to the City, and the New Metropolitan Mainstream, in Brenner, N., Marcuse, P. and Mayer, M. (eds.), Cities for People, Not for Profit: Critical Urban Theory and the Right to the City, Routledge, New York, 42-62. 

  22. UN(United Nations), 2014,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2014: Highlights, United Nations. 

  23. Wachsmuth, D., 2013, City as ideology: reconciling the explosion of the city form with the tenacity of the city concept,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31, 1-16. 

  24. Wirth, L., 1938, Urbanism as a Way of Lif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44(1), 1-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