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선시대 규범서(朝鮮時代 規範書)에 나타난 밥상머리 예절교육(禮節敎育) 내용에 관한 고찰(考察)
Consideration of the Courtesy Education at the Dining Table in the Books of Social Norms of Joseon Dynasty Era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4, 2016년, pp.415 - 426  

주영애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소비자학과) ,  원미연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전통문화콘텐츠 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searched the modern meanings of traditional dining table courtesy education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main values of contemporary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dining table courtesy education stated in the social norms texts of the Joseon dynasty. Among the social norms of the Joseon dynast...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밥상머리교육이란? 밥상머리교육이란 가족이 모여 함께 식사하면서 대화를 통해 가족 사랑과 인성을 키우는 것으로 정의된다[2]. 즉, 가족 사랑과 인성을 키우는 것을 밥상머리교육의 목표로서 강조하는 것이다.
현대에서 밥상머리 예절교육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사회적 배경은? 이는 급격한 사회변화와 글로벌 환경의 영향에 따라 우리의 식생활문화도 크게 변화하여 이미 ‘한국식’ 또는 ‘전통식’이라고 보기 어려운 서구화의 특징이 많아지고 있어, 고유의 밥상머리 예절교육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까닭도 있다. 특히 우리나라가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전 세계의 음식문화가 공존하고 있고, 한국의 전통사회 식사예절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라고도 여겨진다. 또한 각 가정에서는 외식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이유도 크다 할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의 ‘2015년 식품 소비량 및 소비행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음식 소비 방법별 지출액 비중에서, 외식이 30.
규범서에 나타난 밥상머리 예절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등이다. 즉, 규범서에 나타난 밥상머리 예절교육 내용에는 먹을 때 소리를 내지 않고 먹도록 하며, 어른보다 나중에 먹고, 음식을 먹고 난 후에도 예절을 지켜야 한다는 등 어릴 때부터 올바르게 음식 먹는 예의바른 자세를 몸에 익혀야 하고,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아야 함을 경계하고 있다. 타인과 식사 할 때는 겸손한 태도를 취할 것과 염치없는 행동을 삼갈 것을 강조하면서 세세한 주의사항을 일깨웠던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e, H., Ok, S. W., Yang, K. S., & Chung, G. H. (2013). The influence of family meal frequenc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4), 125-149. 

  2. Center for Family-School Partnership Policy Researc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Manual of the education at the dining tabl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 Choi, M. S., & Choe, S. M. (2013). The effect of table manners education on the self-esteem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12(3), 81-103. 

  4. Haeoreum Hangul Geulseohoe. (2004). Yeosaseo. Seoul: Daunsaem. 

  5. Jeong, C. W. (2015).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humane education. Paju: Kyoyookbook. 

  6. Jo, Y. N., & Choi, Y. Y.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ating habits and self-control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fostering activity.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61, 217-233. 

  7. Ju, Y. A. (2009). Research trends of children's manners on the related thesis & dissert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5), 43-57. 

  8. Ju, Y. A., & Park, S. H. (1999). Reflections on the contents of disciplinary books for young children of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omen's Culture, 6, 149-174. 

  9. Ju, Y. H. (2011). Food humanities. Seoul: Humanbooks. 

  10. Kim, S. K. (2014). The difference of junior high students social and moral development upon the education of the table mann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11. Lee, B. (1975). Gyuhapchongseo (Y. W. Jeong, Trans.). Seoul: Pochinchai. 

  12. Lee, D. M. (1993). Sasojeol (J. G. Kim, Trans.). Seoul: Myeongmundang. 

  13. Lee, G. J. (2006). The analects of Confucius. Seoul: Salim. 

  14. Lee, H. A. (2014). Influence of family mealtime on th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Using the data collected by parents.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8(3), 103-116. 

  15. Lee, H. A., & Choi, I. S. (2013). Influence of family mealtime and family functioning on early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3), 1-13. 

  16. Lee, H. H. (2010). A study on the convergence in Korean food culture. The East Asian Ancient Studies, 23, 475-502. 

  17. Lee, K. K. (1976). Koamgahoon (M. S. Lee, Trans.). Seoul: Eulyoo Publishing. 

  18. Lee, S. E., & Yun, M. H. (2014). Characteristics of chopsticks in Korean culinary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4), 481-492. 

  19. Lee, Y. M. (1995). A research of children's education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Y. M. (1989). The research for the education of women as found in the norm of Yi-dynas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Y. M., Lee, K. W., & Oh, Y. J. (2009).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wards family meal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5(1), 41-51. 

  2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2). Teacher's parents interview guide book.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3.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5).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rticle 2, Clause 1-5. Retrieved October 24, 2015, from www.moleg.go.kr 

  24. Oh, J. B. (2003). A study on the changes of table manners: Modern and present ti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25. Park, G. Y. (2013). A case study on table manners. Journal of Sunbimunhwa, 24, 77-85. 

  26. Park, J. Y., Song, H. R., Chun, S. Y., & Kye, S. J. (2015).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for the family friendly culture in healthy families center: Focused on the cooking program of parents and children.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9(4), 121-140. 

  27. Park, J. H. (2014). Comparison of the behavior and the table manner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depending on the meal type: Comparison of family meal, alone meal and meal skipper grou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Pocheon, Korea. 

  28. Park, S. H. (1999). A study on children's education at home: With emphasis on character building books of Chosun dynas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9. Park, S. M. (1986). Dongmongseonseup (G. S. Lee, Trans.). Seoul: Hongshin Publishing. 

  30. Queen Sohye. (1984). Naehun (W. J. Yug, Trans.). Paju: Youlhwadang Publisher. 

  3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Jeungbosallimgyeongje. Suw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32. SBS Special Production Team. (2011). Small miracles at table. Seoul: Readersbook. 

  33. Weinstein, M. (2006). The surprising power of family meals (S. H. Kim, Trans.). Seoul: Hans Media Publishing. 

  34. Yi, I. (2008). Seonghakjibyo, Gyeongmongyogyeol (S. Go, Trans.). Seoul: Dongsuh Press. 

  35. Yoo, A. J. (1986). The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childcar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36. Zhu, X. (1989). Sohak (G. S. Lee, Trans.). Seoul: Hongshin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