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용-전념 집단 치료를 불안문제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치료의 이론에 근거해 치료과정 변인을 구체화하여 고찰하였으며, 불안 및 우울 등 호소문제 및 정신건강 상태 뿐 아니라 치료과정 변인의 치료 후 변화 또한 검증하였다. 치료집단은 대학생 및 대학원생과 졸업생 등 일반성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결과 분석에는 치료 집단 27명과 통제집단 27명 총 54명의 자료가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수용-전념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상태불안...
본 연구는 수용-전념 집단 치료를 불안문제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치료의 이론에 근거해 치료과정 변인을 구체화하여 고찰하였으며, 불안 및 우울 등 호소문제 및 정신건강 상태 뿐 아니라 치료과정 변인의 치료 후 변화 또한 검증하였다. 치료집단은 대학생 및 대학원생과 졸업생 등 일반성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결과 분석에는 치료 집단 27명과 통제집단 27명 총 54명의 자료가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수용-전념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상태불안, 특성불안과 우울 등 정서적 불편감이 완화되었으며, 불안통제감 및 불안민감성 등 불안관련 취약성 또한 유의하게 변화되었다. 이러한 치료 효과는 10주 이후 추후에도 유의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특히 수용-전념치료(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CT)에서 불안에 대한 치료과정 변인으로 가정하고 있는 마음챙김과 사고억제 및 수용행동 그리고 자기자비 또한 치료 후 증진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수용-전념 집단 치료를 불안문제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치료의 이론에 근거해 치료과정 변인을 구체화하여 고찰하였으며, 불안 및 우울 등 호소문제 및 정신건강 상태 뿐 아니라 치료과정 변인의 치료 후 변화 또한 검증하였다. 치료집단은 대학생 및 대학원생과 졸업생 등 일반성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결과 분석에는 치료 집단 27명과 통제집단 27명 총 54명의 자료가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수용-전념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상태불안, 특성불안과 우울 등 정서적 불편감이 완화되었으며, 불안통제감 및 불안민감성 등 불안관련 취약성 또한 유의하게 변화되었다. 이러한 치료 효과는 10주 이후 추후에도 유의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특히 수용-전념치료(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CT)에서 불안에 대한 치료과정 변인으로 가정하고 있는 마음챙김과 사고억제 및 수용행동 그리고 자기자비 또한 치료 후 증진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hypothesized process variables of ACT for Anxiety and examined the effects of a counseling program on anxiety, which was also based on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CT). In the ACT, process variables were hypothesized to be changed through receiving a treatment and exhibit a therapeutic effect on emotional distress. In doing so,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to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s well as general public for 10 sessions. The analysis included 27 from the treatment group and 27 from the control group.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 reported more decreases in anxiety, depression, anxiety sensitivity, and anxiety controll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process variables in ACT for anxiety such as mindfulness, thought suppression,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increased after receiving treatment.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This study hypothesized process variables of ACT for Anxiety and examined the effects of a counseling program on anxiety, which was also based on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CT). In the ACT, process variables were hypothesized to be changed through receiving a treatment and exhibit a therapeutic effect on emotional distress. In doing so,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to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s well as general public for 10 sessions. The analysis included 27 from the treatment group and 27 from the control group.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 reported more decreases in anxiety, depression, anxiety sensitivity, and anxiety controll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process variables in ACT for anxiety such as mindfulness, thought suppression,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increased after receiving treatment.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