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사수도 슴새의 번식 밀도, 취식 여행과 급이 형태 Breeding density, foraging trip and provisioning pattern of Streaked Shearwaters (Calonectris leucomelas) on the Sasu-islet원문보기
1998년 8월 9-14일과 1999년 8월 7-29일동안 사수도에서 슴새 (Calonectris leucomelas)의 번식 밀도, 취식 여행 및 급이 형태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둥지 밀도는 이륙장소 인근 지역이 그 외의 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t-test, t=-3.9, P<0.001). 사용 둥지(어미, 알 또는 새끼가 주간에 둥지에 있는)는 조사 둥지(n=349) 중에서 19.8%(n=69)를 차지하였고, 80.2%의 둥지(n=28...
1998년 8월 9-14일과 1999년 8월 7-29일동안 사수도에서 슴새 (Calonectris leucomelas)의 번식 밀도, 취식 여행 및 급이 형태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둥지 밀도는 이륙장소 인근 지역이 그 외의 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t-test, t=-3.9, P<0.001). 사용 둥지(어미, 알 또는 새끼가 주간에 둥지에 있는)는 조사 둥지(n=349) 중에서 19.8%(n=69)를 차지하였고, 80.2%의 둥지(n=280)는 비어있었다. 슴새의 알과 새끼에 대한 집쥐 (Rattus norvegicus)의 포식을 확인하였으며, 번식 실패(n=31) 중, 집쥐의 포식에 의한 비율은 83.8%(n=26)로 매우 높아, 슴새의 번식 성공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한 둥지 내에서 부리의 길이 및 몸무게로 암수를 구별하여, 총 58쌍의 슴새를 측정하였다. 수컷은 암컷보다 부리, 두취장, 부척, 꼬리, 날개 그리고 무게가 유의하게 크고 무거웠다(t-test, P<0.001). 부화 시기는 7월 29일부터 8월 20일까지 부화하여(n=36), 긴 번식 기간과 비교하여, 동시적 부화를 하였다. 부화 후 6일까지 평균 60.6%(n=104)의 어미가 주간에 새끼를 품어주었다. 어미의 취식 여행(n=137)은, 1일이 111회(81.1%)로 가장 많았다. 연속적인 어미의 하루여행이, 몸무게 변동에는 별 영향이 없어, 1일 여행이 새끼와 자신을 위한 먹이 획득에 충분한 기간으로 생각한다. 야간에 새끼에게 전달되는 먹이 무게는 각각의 밤, 18-06시 사이에, 4시간 간격으로 기록된 양의 무게 합으로 결정되며(SUM, after Ricklefs et al., 1985). SUM은 24시간동안의 몸무게 변화 NET와는 직선관계에 있었다. NET= 0.50SUM - 13.1 (r2= 0.70). 부화 후부터 23일까지, 새끼에게 급이되는 먹이 크기(meal size)와 SUM은 평균 35.3g/day과 48.0g/day이였다. 먹이 크기와 SUM은 새끼의 나이에 따라 초반에 증가하였다. 하루 밤 동안 평균 93.4%의 새끼가 급이를 받았으며, 급이 간격은 1.1±0.2일이다. 새끼가 하루에 제자리성장을 위한 먹이 크기는 평균 29.2g이 제자리성장을 위해 사용되었고, SUM 중, 55.8%가 생물량의 필요물로 전용되었다. 어미가 새끼를 품어 주는 시기에, 일부 새끼의 무게가 평균 11.7g(SD=7.4, n=10) 증가하였으며, 부화 후 8일 동안 06-18시 사이의, 새끼 무게 감소는, 어미가 품어주는 경우와 새끼 혼자 둥지에 있던 경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test, t=6.17, P<0.001). 따라서 어미는 새끼 품어주는 시기에 새끼에게 주간에 급이를 한 것이 확실하다. 2일과 3일된 새끼에게 급이 된 평균 전체 먹이의 양(주간과 야간의 급이)과 둥지에서 어미의 몸무게 감소를 합치면 61.7g이고, 이것은 15-23일된 새끼의 야간의 평균 SUM (68.7g)과 비슷하였다. 따라서 어미가 가져오는 총 먹이의 양은, 부화 직후와 새끼가 성장한 후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부화 후 야간의 SUM이 증가한 것은 새로 태어나 새끼는, 성장한 새끼들보다 요구하는 먹이 크기와 소화 능력이 적기 때문에 나누어 급이 할 필요가 있고, 어미 역시 먹이를 구하지 못하는 주간에, 자신을 위한 먹이를 비축할 것이다. 따라서 새끼의 먹이 크기가 증가하는 부화 직후의 시기는 새끼의 요구량에 따라 먹이를 더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어미와 새끼간의 먹이의 할당 결과로 생각한다.
1998년 8월 9-14일과 1999년 8월 7-29일동안 사수도에서 슴새 (Calonectris leucomelas)의 번식 밀도, 취식 여행 및 급이 형태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둥지 밀도는 이륙장소 인근 지역이 그 외의 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t-test, t=-3.9, P<0.001). 사용 둥지(어미, 알 또는 새끼가 주간에 둥지에 있는)는 조사 둥지(n=349) 중에서 19.8%(n=69)를 차지하였고, 80.2%의 둥지(n=280)는 비어있었다. 슴새의 알과 새끼에 대한 집쥐 (Rattus norvegicus)의 포식을 확인하였으며, 번식 실패(n=31) 중, 집쥐의 포식에 의한 비율은 83.8%(n=26)로 매우 높아, 슴새의 번식 성공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한 둥지 내에서 부리의 길이 및 몸무게로 암수를 구별하여, 총 58쌍의 슴새를 측정하였다. 수컷은 암컷보다 부리, 두취장, 부척, 꼬리, 날개 그리고 무게가 유의하게 크고 무거웠다(t-test, P<0.001). 부화 시기는 7월 29일부터 8월 20일까지 부화하여(n=36), 긴 번식 기간과 비교하여, 동시적 부화를 하였다. 부화 후 6일까지 평균 60.6%(n=104)의 어미가 주간에 새끼를 품어주었다. 어미의 취식 여행(n=137)은, 1일이 111회(81.1%)로 가장 많았다. 연속적인 어미의 하루여행이, 몸무게 변동에는 별 영향이 없어, 1일 여행이 새끼와 자신을 위한 먹이 획득에 충분한 기간으로 생각한다. 야간에 새끼에게 전달되는 먹이 무게는 각각의 밤, 18-06시 사이에, 4시간 간격으로 기록된 양의 무게 합으로 결정되며(SUM, after Ricklefs et al., 1985). SUM은 24시간동안의 몸무게 변화 NET와는 직선관계에 있었다. NET= 0.50SUM - 13.1 (r2= 0.70). 부화 후부터 23일까지, 새끼에게 급이되는 먹이 크기(meal size)와 SUM은 평균 35.3g/day과 48.0g/day이였다. 먹이 크기와 SUM은 새끼의 나이에 따라 초반에 증가하였다. 하루 밤 동안 평균 93.4%의 새끼가 급이를 받았으며, 급이 간격은 1.1±0.2일이다. 새끼가 하루에 제자리성장을 위한 먹이 크기는 평균 29.2g이 제자리성장을 위해 사용되었고, SUM 중, 55.8%가 생물량의 필요물로 전용되었다. 어미가 새끼를 품어 주는 시기에, 일부 새끼의 무게가 평균 11.7g(SD=7.4, n=10) 증가하였으며, 부화 후 8일 동안 06-18시 사이의, 새끼 무게 감소는, 어미가 품어주는 경우와 새끼 혼자 둥지에 있던 경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test, t=6.17, P<0.001). 따라서 어미는 새끼 품어주는 시기에 새끼에게 주간에 급이를 한 것이 확실하다. 2일과 3일된 새끼에게 급이 된 평균 전체 먹이의 양(주간과 야간의 급이)과 둥지에서 어미의 몸무게 감소를 합치면 61.7g이고, 이것은 15-23일된 새끼의 야간의 평균 SUM (68.7g)과 비슷하였다. 따라서 어미가 가져오는 총 먹이의 양은, 부화 직후와 새끼가 성장한 후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부화 후 야간의 SUM이 증가한 것은 새로 태어나 새끼는, 성장한 새끼들보다 요구하는 먹이 크기와 소화 능력이 적기 때문에 나누어 급이 할 필요가 있고, 어미 역시 먹이를 구하지 못하는 주간에, 자신을 위한 먹이를 비축할 것이다. 따라서 새끼의 먹이 크기가 증가하는 부화 직후의 시기는 새끼의 요구량에 따라 먹이를 더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어미와 새끼간의 먹이의 할당 결과로 생각한다.
Breeding density, foraging trip, provisioning pattern of the Streaked Shearwaters (Calonectris leucomelas) were carried out on the Sasu-islet Cheju island, Korea during 9-14 August 1999 and 7-29 August 1999. Burrow density of take off sites(within 20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n other sites(exce...
Breeding density, foraging trip, provisioning pattern of the Streaked Shearwaters (Calonectris leucomelas) were carried out on the Sasu-islet Cheju island, Korea during 9-14 August 1999 and 7-29 August 1999. Burrow density of take off sites(within 20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n other sites(except take off sites) of Streaked Shearwaters(t-test t=-3.9, P<0.001). Out of 349 burrows, active burrows were only 69(19.8%). Predation of Norway Rats (Rattus norvegicus) on eggs and chicks were observed. This led to breeding failure(26 failed nests, 93.8%). The sex of Streaked Shearwaters(58 pairs) were discriminated in burrows on the basis of bill length and body weight. Length of bill, nape, tarsus, tail wing and weight of males were significantly larger and heavier than those of females(t-test, P<0.001). The hatching period of Streaked Shearwaters(n=36) is relatively synchronized, occurring between 29 June to 20 August. A mean of 60.6% of chicks were brooded (n=104) by parent between the hatching day to 6 day old, with a maximum of 14days. In surveyed foraging trips(n=137), foraging trips of one day duration were 80.1%(n=111). Several successive foraging trips of 1 day duration did not effect on adult body condition in terms of weight. Meal sizes were estimated from the sum of positive mass increments recorded over 4-h intervals(SUM). Mass increments over 24-h(NET)were linearly related to SUMs by the equation NET= 0.50SUM - 13.1 (r2= 0.70). Individual meals fed to chicks average 35.3g and SUM was 48.0g/day. Meal size and SUM were increased during a few days post-hatching. A mean of 93.4% of chicks were fed each night and the mean interval between feeds was 1.1nights. On average, chicks required 29.2g of food/day to maintain constant mass, and converted 55.8% of their intake of food above this requirement into biomass. During brooding period, some chick's masses increased, on average 11.7g(SD=7.4, n=10) during 06-18h. The average mass loss of chicks with or without par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t-test, t=6.17, P<0.001) during the hatching day to 8 day old. This indicates that parents fed chicks during the brooding periods. Mean SUM of 2-3day old chicks(received in night and day time) and mean mass loss of parents during brooding were total 61.7g, and it was similar mean SUM(68.7g) of 15-23day old chicks(received in night). Therefore, SUM does not increase during a some days after hatching, but it is result of allocation between adult self-feeding and chick feeding.
Breeding density, foraging trip, provisioning pattern of the Streaked Shearwaters (Calonectris leucomelas) were carried out on the Sasu-islet Cheju island, Korea during 9-14 August 1999 and 7-29 August 1999. Burrow density of take off sites(within 20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n other sites(except take off sites) of Streaked Shearwaters(t-test t=-3.9, P<0.001). Out of 349 burrows, active burrows were only 69(19.8%). Predation of Norway Rats (Rattus norvegicus) on eggs and chicks were observed. This led to breeding failure(26 failed nests, 93.8%). The sex of Streaked Shearwaters(58 pairs) were discriminated in burrows on the basis of bill length and body weight. Length of bill, nape, tarsus, tail wing and weight of males were significantly larger and heavier than those of females(t-test, P<0.001). The hatching period of Streaked Shearwaters(n=36) is relatively synchronized, occurring between 29 June to 20 August. A mean of 60.6% of chicks were brooded (n=104) by parent between the hatching day to 6 day old, with a maximum of 14days. In surveyed foraging trips(n=137), foraging trips of one day duration were 80.1%(n=111). Several successive foraging trips of 1 day duration did not effect on adult body condition in terms of weight. Meal sizes were estimated from the sum of positive mass increments recorded over 4-h intervals(SUM). Mass increments over 24-h(NET)were linearly related to SUMs by the equation NET= 0.50SUM - 13.1 (r2= 0.70). Individual meals fed to chicks average 35.3g and SUM was 48.0g/day. Meal size and SUM were increased during a few days post-hatching. A mean of 93.4% of chicks were fed each night and the mean interval between feeds was 1.1nights. On average, chicks required 29.2g of food/day to maintain constant mass, and converted 55.8% of their intake of food above this requirement into biomass. During brooding period, some chick's masses increased, on average 11.7g(SD=7.4, n=10) during 06-18h. The average mass loss of chicks with or without par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t-test, t=6.17, P<0.001) during the hatching day to 8 day old. This indicates that parents fed chicks during the brooding periods. Mean SUM of 2-3day old chicks(received in night and day time) and mean mass loss of parents during brooding were total 61.7g, and it was similar mean SUM(68.7g) of 15-23day old chicks(received in night). Therefore, SUM does not increase during a some days after hatching, but it is result of allocation between adult self-feeding and chick feed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