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는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 자아지각,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3, 4세 유아 45명이었다.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은 Waters(1987)의 애착 Q-set을 이영·박경자·나유미(1997)가 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으며, 아동의 자아지각은 Harter와 Pike(1984)의 지각된 능력과 사회적 수용 그림척도(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를 이은해·최혜영·김미해(1990)가 번안한 유치원 아동용 척도로 측정하였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Pease, Clark, 및 Crease(1979)가 개발한 Iowa Social Competency Scale(ISCS)의 교사용 평정 척도를 박윤정(1997)이 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자아지각 척도는 개별 면접으로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능력 척도는 대상 아동의 주교사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
연구는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 자아지각,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3, 4세 유아 45명이었다.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은 Waters(1987)의 애착 Q-set을 이영·박경자·나유미(1997)가 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으며, 아동의 자아지각은 Harter와 Pike(1984)의 지각된 능력과 사회적 수용 그림척도(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를 이은해·최혜영·김미해(1990)가 번안한 유치원 아동용 척도로 측정하였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Pease, Clark, 및 Crease(1979)가 개발한 Iowa Social Competency Scale(ISCS)의 교사용 평정 척도를 박윤정(1997)이 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자아지각 척도는 개별 면접으로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능력 척도는 대상 아동의 주교사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t-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 안정성 점수의 평균은 선행연구들의 평균 범위 내에 있으며, 사회적 능력의 점수도 중간 정도이나 자아지각 점수는 매우 높았다. 애착 안정성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자아지각은 어머니 수용에 대한 자아지각에서만 여아가 남아보다 긍정적이고 다른 영역에서는 성차가 없었다. 사회적 능력은 지도력 영역에서만 남아가 여아보다 더 능력 있다고 평정되었고 다른 영역에서는 성차가 없었다.
둘째, 애착안정성과 자아지각, 애착안정성과 사회적 능력은 여아의 경우에는 관계가 없는 반면 남아의 경우에는 관계가 있었다. 즉, 남아는 어머니에게 안정적으로 애착할수록 자신의 인지적 능력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지도력과 능력이 높다고 교사에 의해 평정되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아동의 자아지각과 사회적 능력은 관계가 있어 자신에 대한 지각이 긍정적인 아동은 사회적 능력이 높다고 교사에 의해 평정되었다.
연구는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 자아지각,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3, 4세 유아 45명이었다.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은 Waters(1987)의 애착 Q-set을 이영·박경자·나유미(1997)가 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으며, 아동의 자아지각은 Harter와 Pike(1984)의 지각된 능력과 사회적 수용 그림척도(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를 이은해·최혜영·김미해(1990)가 번안한 유치원 아동용 척도로 측정하였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Pease, Clark, 및 Crease(1979)가 개발한 Iowa Social Competency Scale(ISCS)의 교사용 평정 척도를 박윤정(1997)이 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자아지각 척도는 개별 면접으로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능력 척도는 대상 아동의 주교사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t-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 안정성 점수의 평균은 선행연구들의 평균 범위 내에 있으며, 사회적 능력의 점수도 중간 정도이나 자아지각 점수는 매우 높았다. 애착 안정성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자아지각은 어머니 수용에 대한 자아지각에서만 여아가 남아보다 긍정적이고 다른 영역에서는 성차가 없었다. 사회적 능력은 지도력 영역에서만 남아가 여아보다 더 능력 있다고 평정되었고 다른 영역에서는 성차가 없었다.
둘째, 애착안정성과 자아지각, 애착안정성과 사회적 능력은 여아의 경우에는 관계가 없는 반면 남아의 경우에는 관계가 있었다. 즉, 남아는 어머니에게 안정적으로 애착할수록 자신의 인지적 능력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지도력과 능력이 높다고 교사에 의해 평정되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아동의 자아지각과 사회적 능력은 관계가 있어 자신에 대한 지각이 긍정적인 아동은 사회적 능력이 높다고 교사에 의해 평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self-perception and social competence.
Subjects were 45 three and four year old children Attachment was assessed using the Attachment Q-set(Waters, 1987). Self-perception was assessed using the Pi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self-perception and social competence.
Subjects were 45 three and four year old children Attachment was assessed using the Attachment Q-set(Waters, 1987). Self-perception was assessed using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Harter & Pike, 1984). Social competence was assessed using the lowa Social Competency Scale(Pease, Clark, a Crease, 1979).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attachment security was comparable with previous studies. Scores of social competence were in the middle of the range. But the scores of self-perception were very high. There was no sex difference in attachment security of preschoolers Significant sex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f-perception on mother's 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Girls had more positive self-perception on mother's acceptance than boys. In addition, boys were rated by teachers as haying higher capability than girls.
Second, there were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security, self-perception and social competence. Girls' attachment security was not correlated with self-perception, and social competence but boy's attachment security was correlated with self-perception and social competence. Boys who were securely attached to mothers had higher cognitive competence and were rated as haying higher leadership and capability by teachers. Children who had positive self-competence were rated as haying higher social competence by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attachment security, self-perception and social competence.
Subjects were 45 three and four year old children Attachment was assessed using the Attachment Q-set(Waters, 1987). Self-perception was assessed using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Harter & Pike, 1984). Social competence was assessed using the lowa Social Competency Scale(Pease, Clark, a Crease, 1979).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attachment security was comparable with previous studies. Scores of social competence were in the middle of the range. But the scores of self-perception were very high. There was no sex difference in attachment security of preschoolers Significant sex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f-perception on mother's 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Girls had more positive self-perception on mother's acceptance than boys. In addition, boys were rated by teachers as haying higher capability than girls.
Second, there were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security, self-perception and social competence. Girls' attachment security was not correlated with self-perception, and social competence but boy's attachment security was correlated with self-perception and social competence. Boys who were securely attached to mothers had higher cognitive competence and were rated as haying higher leadership and capability by teachers. Children who had positive self-competence were rated as haying higher social competence by teachers.
Keyword
#아동
#애착안정성
#자아지각
#사회적 능력
#attachment security
#self-perception
#social competence
학위논문 정보
저자
민정원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아동학과
발행연도
2001
총페이지
v, 81p.
키워드
아동,
애착안정성,
자아지각,
사회적 능력,
attachment security,
self-perception,
social compete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