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 및 소진 경험의 수준을 밝히고, 스트레스와 소진경험이 직무만족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만족 상황 및 스트레스와 소진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3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인천시내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251명의 초등교사로부터 유효한 응답지를 받았으며, 설문지 분석에 사용된 주요 통계방법은 SPSS/Win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변량분석(...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 및 소진 경험의 수준을 밝히고, 스트레스와 소진경험이 직무만족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만족 상황 및 스트레스와 소진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3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인천시내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251명의 초등교사로부터 유효한 응답지를 받았으며, 설문지 분석에 사용된 주요 통계방법은 SPSS/Win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변량분석(ANOVA), 신뢰도검증도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직무 만족에서 명백하게 만족 또는 불만족 수준을 보이지는 않았다. 대체로 불만족에 가까운 경향을 보였을 따름이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반적인 직무 수행에서 스트레스를 크게 느끼지는 않으나,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직무 만족의 차이는 두드러지게 나타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특기할 만한 점은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하여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 활동에서는 일을 완료해야한다는 압박감, 동료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승진을 위한 경쟁과정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불만을 느끼며, 근무여건에서는 일과시간 외에도 직무와 관계된 문제들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에 원인이 있다고 본다. 셋째, 소진 경험과 관련하여 교사들이 미미한 정도로 소진 경험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진경험의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의 수준이 현저하게 낮았다. 특이한 사항은 학교규모, 교육경력, 최종학력에서 교사들의 소진경험이 차이가 있는데, 학급수가 많은 학교 교사들과 대학원 재학의 교사들이 비인간화되는 경험을, 학급수가 적은 학교 교사들과 대학원 재학의 교사들이 많은 직무로 신체적 탈진감을 경험한다. 또, 저 경력 교사들과 4년제 (교육)대학 졸업 교사가 성취감의 결핍을 느낀다. 이상의 세 가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 초등학교 교사들은 직무 만족, 스트레스, 소진 경험의 수준에 있어서 극단적인 만족과 불만족의 양상이나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의 교육적 역할이나 직무의 중요성에 비추어 여러 가지 정책적, 교육적 개선책의 여지가 많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는 주어진 직무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교사의 스트레스와 소진 경험을 막아, 교사들의 자율적 학교·학급 경영과 지도에 힘쓰도록 하여야겠다. 둘째, 교사로서의 직무와 학생으로서의 학업을 함께 병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대학원생 교사들에게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겠다.4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 및 소진 경험의 수준을 밝히고, 스트레스와 소진경험이 직무만족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만족 상황 및 스트레스와 소진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3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인천시내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251명의 초등교사로부터 유효한 응답지를 받았으며, 설문지 분석에 사용된 주요 통계방법은 SPSS/Win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변량분석(ANOVA), 신뢰도검증도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직무 만족에서 명백하게 만족 또는 불만족 수준을 보이지는 않았다. 대체로 불만족에 가까운 경향을 보였을 따름이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반적인 직무 수행에서 스트레스를 크게 느끼지는 않으나,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직무 만족의 차이는 두드러지게 나타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특기할 만한 점은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하여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 활동에서는 일을 완료해야한다는 압박감, 동료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승진을 위한 경쟁과정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불만을 느끼며, 근무여건에서는 일과시간 외에도 직무와 관계된 문제들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에 원인이 있다고 본다. 셋째, 소진 경험과 관련하여 교사들이 미미한 정도로 소진 경험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진경험의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의 수준이 현저하게 낮았다. 특이한 사항은 학교규모, 교육경력, 최종학력에서 교사들의 소진경험이 차이가 있는데, 학급수가 많은 학교 교사들과 대학원 재학의 교사들이 비인간화되는 경험을, 학급수가 적은 학교 교사들과 대학원 재학의 교사들이 많은 직무로 신체적 탈진감을 경험한다. 또, 저 경력 교사들과 4년제 (교육)대학 졸업 교사가 성취감의 결핍을 느낀다. 이상의 세 가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 초등학교 교사들은 직무 만족, 스트레스, 소진 경험의 수준에 있어서 극단적인 만족과 불만족의 양상이나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의 교육적 역할이나 직무의 중요성에 비추어 여러 가지 정책적, 교육적 개선책의 여지가 많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는 주어진 직무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교사의 스트레스와 소진 경험을 막아, 교사들의 자율적 학교·학급 경영과 지도에 힘쓰도록 하여야겠다. 둘째, 교사로서의 직무와 학생으로서의 학업을 함께 병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대학원생 교사들에게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겠다.4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lif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that determine the job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of the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hen to look into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r ...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lif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that determine the job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of the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hen to look into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study model was made through the review of the preceding related studies. The questionnaire was made and mailed to primary school teachers in Incheon, Korea. We analyzed the results about 3 main items [1)general job satisfaction, 2)relation betwee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3)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statistical methods applied were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General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was average job satisfaction score 3 to 4( a little dissatisfied to a little satisfied ). There was no difference female or male teachers on the job satisfaction. 2. Relation betwee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sis, male teacher experienced more stressed than the female teacher. But the degree of stress in terms of school size, educational experience, last profile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stress-high medium low-revealed that the more stressed the teachers were, the less satisfied the teachers were with their work. 3. 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group of large school size( more than 40 classes ), they had a tendency to more burned-out than the other group. In terms of educational experience, low experienced teacher( less than 10 years ) showed more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ned-out. Elsewhere, according to last profile, more learned teacher had more stress and burnou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burn out-high, medium, low-revealed that the more burnout the teachers were, the less satisfied the teachers were with their work.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e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were not definitely satisfied or dissatisfied with their work.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male prim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more stress. Third, school size, educational experience, last profile affected o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Fourth, the more stressed and burnout the teachers were, the less 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work. This study suggests that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obscure and slightly negative thought for their job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and social role. This research shows political, educational supports are required for the teachers. Futur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competence and the degree of teachers'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re neede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lif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that determine the job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of the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hen to look into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study model was made through the review of the preceding related studies. The questionnaire was made and mailed to primary school teachers in Incheon, Korea. We analyzed the results about 3 main items [1)general job satisfaction, 2)relation betwee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3)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statistical methods applied were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General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was average job satisfaction score 3 to 4( a little dissatisfied to a little satisfied ). There was no difference female or male teachers on the job satisfaction. 2. Relation betwee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sis, male teacher experienced more stressed than the female teacher. But the degree of stress in terms of school size, educational experience, last profile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stress-high medium low-revealed that the more stressed the teachers were, the less satisfied the teachers were with their work. 3. 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group of large school size( more than 40 classes ), they had a tendency to more burned-out than the other group. In terms of educational experience, low experienced teacher( less than 10 years ) showed more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ned-out. Elsewhere, according to last profile, more learned teacher had more stress and burnou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burn out-high, medium, low-revealed that the more burnout the teachers were, the less satisfied the teachers were with their work.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e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were not definitely satisfied or dissatisfied with their work.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male prim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more stress. Third, school size, educational experience, last profile affected o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Fourth, the more stressed and burnout the teachers were, the less 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work. This study suggests that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obscure and slightly negative thought for their job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and social role. This research shows political, educational supports are required for the teachers. Futur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competence and the degree of teachers'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re need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