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정보화 시대에 있어 창의성은 그 시대를 이끌어 가는 핵심적인 주제이다. 그리고 다변화 시대에 있어 고정적인 지식보다는 시대의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창조적인 지식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할 뿐이다. 우리의 교육에서도 사회의 변화 추세에 발맞추기 위해서 창의성 있는 인간을 기르고자 노력한다. 그래서 모든 교과에서 창의성 있는 교수방법, 교수 전략, 교재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좀더 효율적으로 창의적인 교수 전략에 이르고자 노력한다. 사회과 교육에서도 창의성은 커다란 비중을 차지한다. 일찍이 창의적인 사고력은 비판적인 사고력 및 의사결정력과 함께 고급사고력으로 분류될 만큼 사고력 교육에 있어 중요하다. 그러나 뇌 과학적으로 보면 창의성의 발현에는 생물학적, 심리학적 근거가 있음이 나타난다. 그리고 최근의 연구 동향인 뇌 기능에 관한 분석에 의하면 신경전달물질이나 우뇌 반구의 계발이 창의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사회과 교육에서도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교육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뇌 과학적인 바탕을 마련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뇌 과학이란 뇌의 구조적 특성과 기능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분야이다. 사회과 교과에서는 특성상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면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조사학습을 위주로 하여 과제 수행을 한다. 뇌의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창의성은 좌·우 반구의 연합에 의해서 나타나고, 신경호르몬인 ...
지식 정보화 시대에 있어 창의성은 그 시대를 이끌어 가는 핵심적인 주제이다. 그리고 다변화 시대에 있어 고정적인 지식보다는 시대의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창조적인 지식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할 뿐이다. 우리의 교육에서도 사회의 변화 추세에 발맞추기 위해서 창의성 있는 인간을 기르고자 노력한다. 그래서 모든 교과에서 창의성 있는 교수방법, 교수 전략, 교재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좀더 효율적으로 창의적인 교수 전략에 이르고자 노력한다. 사회과 교육에서도 창의성은 커다란 비중을 차지한다. 일찍이 창의적인 사고력은 비판적인 사고력 및 의사결정력과 함께 고급사고력으로 분류될 만큼 사고력 교육에 있어 중요하다. 그러나 뇌 과학적으로 보면 창의성의 발현에는 생물학적, 심리학적 근거가 있음이 나타난다. 그리고 최근의 연구 동향인 뇌 기능에 관한 분석에 의하면 신경전달물질이나 우뇌 반구의 계발이 창의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사회과 교육에서도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교육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뇌 과학적인 바탕을 마련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뇌 과학이란 뇌의 구조적 특성과 기능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분야이다. 사회과 교과에서는 특성상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면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조사학습을 위주로 하여 과제 수행을 한다. 뇌의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창의성은 좌·우 반구의 연합에 의해서 나타나고, 신경호르몬인 도파민의 작용과 관련이 깊으며, 대뇌 피질에서 이성적 감정의 중추인 전두 연합령과 관련이 큰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사회과의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서 뇌 과학적인 관점에서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작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에 따라 진행된다. 첫째, 창의성 교육의 근거를 뇌 과학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창의성 교육을 부르짖지만 정작 창의성이 어디에서 발현되어지며, 어떤 환경에서 잘 발현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며 특히 사회과에 결부된 연구는 거의 없다. 둘째,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을 뇌 기능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창의성 교육을 이룩하고자 한다. 사람들은 태어나면서 분명히 한쪽 뇌의 우세로 태어났다. 그러나 자라면서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그러한 뇌의 우세는 사그라 들거나 더욱 계발 될 수 있는데 사회과 교육에서는 교과의 특성상 분석적이고 통계적이고 논리적인 즉 디지털적인 요소가 거의 대부분으로서 좌뇌만을 키워주는 경향이 있어왔다. 셋째, 창의성에 대한 뇌 과학적인 발견은 사회과 교수방법이나 교재 구성에도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다. 교재 구성의 내용이 왜 들어가야 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분야별로 완비되어 있는 것도 많지만 어떤 분야는 명확한 근거가 없이 설정되어지고 진행되어지는 경우도 많다. 특히 창의성 관련 내용 교재구성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명확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연구 문헌을 중심으로 창의성과 뇌과학, 창의성과 사회과 교육, 뇌과학과 사회과의 관련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둘째로, 교재 구성에 대한 실태를 알기 위해서 한 학년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재 구성의 편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로, 학생들의 성향과 교사들의 교수 방식의 성향을 분석하여서 기존의 사회과 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로, 실태조사와 이론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과 창의성 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뇌과학적으로 사회과 창의성 학습 교재를 구성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로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외국 문헌과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해서 연구되어진다. 그리고 실태분석을 위해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분석과 학생들과 교사들의 설문방식으로 진행된다. 문헌을 중심으로 볼 때 창의성과 관련이 있는 뇌의 중추로는 대뇌피질의 전두엽과 뇌간의 일부인 중뇌와 관련이 있으며 시냅스의 작용과 신경전달물질 등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뇌의 기능 분화와 관련지어 볼 때 창의성의 초기 발현은 좌뇌 영역보다는 우뇌 영역에서 발휘되어지는 것으로 연구되어졌다. 감정의 보고, 정서의 보고인 대뇌변연계는 인간의 희노애락 중 무의식적이고 본능적인 부분을 관장하며 대뇌변연계는 전두엽에서 창의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촉매역할을 한다. 또한 세포와 세포간의 연결은 시냅스의 작용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시냅스의 복잡한 연결은 사고의 연접을 강화하여 새로운 생각을 많이 떠오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창의성과 관련된 주된 호르몬은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신경전달물질은 대략 50가지 정도인데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에 의해서 우리의 행동과 사고가 규정되어지기도 한다. 도파민 신경전달물질은 자가 수용체가 없는 물질로 정보의 전달만 계속되지 스스로 유리된 신경전달물질을 받아들이는 능력이 없다. 그런데 창의성은 도파민 신경전달물질이 무한히 유리되어 신경 활동의 매개 역할을 할 때 발생되는 것으로 연구되어 지고 있다. 좌·우뇌의 기능분화에 대한 연구에서 볼 때 좌뇌는 언어적, 계열적, 시간적, 논리적, 분석적, 이성적이며 디지털적이고 우뇌는 비언어적, 시-공간적, 동시적, 형태적, 종합적, 직관적으로서 아날로그적이다. 즉 창의성은 우뇌의 직관과 공간, 형태적인 요소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떠오르는 영감으로 비유했다. 이상과 같이 뇌 과학적으로 볼 때 창의성과 관련된 요소는 여러 입장에서 파악되어진다. 특히 학습상황에 가장 도입하기 쉽고 연구된 분야가 많은 것이 좌·우뇌 반구의 인지양식에 관한 것이다. 분명히 좌·우뇌의 인지 양식에 관한 차이는 있는 듯 싶으며 성 차나 나이 차나 생활환경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교과서 분석과 지도서 분석은 5학년 1, 2학기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가지고 했다. 좌·우뇌적인 요소로 분석했는데 좌뇌적인 요소가 우뇌적인 요소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성향과 교사의 교수방식에 관한 설문에서는 학생들은 사회과 학습을 하는데 있어 우뇌적인 요소를 더 많이 좋아했으나 교사들의 교수방식은 좌뇌적인 것을 많이 하고 있었다. 사회과 창의성 학습 방법에서는 교과서의 분석 상 좌뇌적인 요소로 많이 구성되어졌기 때문에 우뇌를 활성화시키는 측면에서 창의성 학습 방법이 고려되어진다. 그래서 이미지 기억을 통한 학습 방법, 공상을 통한 학습 방법, 직접 경험등을 통한 학습 방법이 제안되어졌다. 그러나 창의성은 디지털적인 요소와 아날로그적인 요소가 합쳐졌을 때 결실을 맺을 수 있기 때문에 홀로그램적인 즉 전뇌적인 뇌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회과 창의성 학습에 관한 교재로는 우뇌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하여 고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실험 연구가 아니라 연구되어진 문헌을 중심으로 하여 뇌 기능상 창의성 관련 기제를 분석하여 보고 학습에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실험을 한다면 약간의 다른 차이가 생길지도 모른다는 것을 밝혀둔다.
지식 정보화 시대에 있어 창의성은 그 시대를 이끌어 가는 핵심적인 주제이다. 그리고 다변화 시대에 있어 고정적인 지식보다는 시대의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창조적인 지식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할 뿐이다. 우리의 교육에서도 사회의 변화 추세에 발맞추기 위해서 창의성 있는 인간을 기르고자 노력한다. 그래서 모든 교과에서 창의성 있는 교수방법, 교수 전략, 교재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좀더 효율적으로 창의적인 교수 전략에 이르고자 노력한다. 사회과 교육에서도 창의성은 커다란 비중을 차지한다. 일찍이 창의적인 사고력은 비판적인 사고력 및 의사결정력과 함께 고급사고력으로 분류될 만큼 사고력 교육에 있어 중요하다. 그러나 뇌 과학적으로 보면 창의성의 발현에는 생물학적, 심리학적 근거가 있음이 나타난다. 그리고 최근의 연구 동향인 뇌 기능에 관한 분석에 의하면 신경전달물질이나 우뇌 반구의 계발이 창의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사회과 교육에서도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교육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뇌 과학적인 바탕을 마련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뇌 과학이란 뇌의 구조적 특성과 기능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분야이다. 사회과 교과에서는 특성상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면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조사학습을 위주로 하여 과제 수행을 한다. 뇌의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창의성은 좌·우 반구의 연합에 의해서 나타나고, 신경호르몬인 도파민의 작용과 관련이 깊으며, 대뇌 피질에서 이성적 감정의 중추인 전두 연합령과 관련이 큰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사회과의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서 뇌 과학적인 관점에서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작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에 따라 진행된다. 첫째, 창의성 교육의 근거를 뇌 과학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창의성 교육을 부르짖지만 정작 창의성이 어디에서 발현되어지며, 어떤 환경에서 잘 발현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며 특히 사회과에 결부된 연구는 거의 없다. 둘째,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을 뇌 기능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창의성 교육을 이룩하고자 한다. 사람들은 태어나면서 분명히 한쪽 뇌의 우세로 태어났다. 그러나 자라면서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그러한 뇌의 우세는 사그라 들거나 더욱 계발 될 수 있는데 사회과 교육에서는 교과의 특성상 분석적이고 통계적이고 논리적인 즉 디지털적인 요소가 거의 대부분으로서 좌뇌만을 키워주는 경향이 있어왔다. 셋째, 창의성에 대한 뇌 과학적인 발견은 사회과 교수방법이나 교재 구성에도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다. 교재 구성의 내용이 왜 들어가야 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분야별로 완비되어 있는 것도 많지만 어떤 분야는 명확한 근거가 없이 설정되어지고 진행되어지는 경우도 많다. 특히 창의성 관련 내용 교재구성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명확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연구 문헌을 중심으로 창의성과 뇌과학, 창의성과 사회과 교육, 뇌과학과 사회과의 관련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둘째로, 교재 구성에 대한 실태를 알기 위해서 한 학년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재 구성의 편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로, 학생들의 성향과 교사들의 교수 방식의 성향을 분석하여서 기존의 사회과 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로, 실태조사와 이론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과 창의성 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뇌과학적으로 사회과 창의성 학습 교재를 구성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로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외국 문헌과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해서 연구되어진다. 그리고 실태분석을 위해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분석과 학생들과 교사들의 설문방식으로 진행된다. 문헌을 중심으로 볼 때 창의성과 관련이 있는 뇌의 중추로는 대뇌피질의 전두엽과 뇌간의 일부인 중뇌와 관련이 있으며 시냅스의 작용과 신경전달물질 등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뇌의 기능 분화와 관련지어 볼 때 창의성의 초기 발현은 좌뇌 영역보다는 우뇌 영역에서 발휘되어지는 것으로 연구되어졌다. 감정의 보고, 정서의 보고인 대뇌변연계는 인간의 희노애락 중 무의식적이고 본능적인 부분을 관장하며 대뇌변연계는 전두엽에서 창의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촉매역할을 한다. 또한 세포와 세포간의 연결은 시냅스의 작용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시냅스의 복잡한 연결은 사고의 연접을 강화하여 새로운 생각을 많이 떠오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창의성과 관련된 주된 호르몬은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신경전달물질은 대략 50가지 정도인데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에 의해서 우리의 행동과 사고가 규정되어지기도 한다. 도파민 신경전달물질은 자가 수용체가 없는 물질로 정보의 전달만 계속되지 스스로 유리된 신경전달물질을 받아들이는 능력이 없다. 그런데 창의성은 도파민 신경전달물질이 무한히 유리되어 신경 활동의 매개 역할을 할 때 발생되는 것으로 연구되어 지고 있다. 좌·우뇌의 기능분화에 대한 연구에서 볼 때 좌뇌는 언어적, 계열적, 시간적, 논리적, 분석적, 이성적이며 디지털적이고 우뇌는 비언어적, 시-공간적, 동시적, 형태적, 종합적, 직관적으로서 아날로그적이다. 즉 창의성은 우뇌의 직관과 공간, 형태적인 요소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떠오르는 영감으로 비유했다. 이상과 같이 뇌 과학적으로 볼 때 창의성과 관련된 요소는 여러 입장에서 파악되어진다. 특히 학습상황에 가장 도입하기 쉽고 연구된 분야가 많은 것이 좌·우뇌 반구의 인지양식에 관한 것이다. 분명히 좌·우뇌의 인지 양식에 관한 차이는 있는 듯 싶으며 성 차나 나이 차나 생활환경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교과서 분석과 지도서 분석은 5학년 1, 2학기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가지고 했다. 좌·우뇌적인 요소로 분석했는데 좌뇌적인 요소가 우뇌적인 요소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성향과 교사의 교수방식에 관한 설문에서는 학생들은 사회과 학습을 하는데 있어 우뇌적인 요소를 더 많이 좋아했으나 교사들의 교수방식은 좌뇌적인 것을 많이 하고 있었다. 사회과 창의성 학습 방법에서는 교과서의 분석 상 좌뇌적인 요소로 많이 구성되어졌기 때문에 우뇌를 활성화시키는 측면에서 창의성 학습 방법이 고려되어진다. 그래서 이미지 기억을 통한 학습 방법, 공상을 통한 학습 방법, 직접 경험등을 통한 학습 방법이 제안되어졌다. 그러나 창의성은 디지털적인 요소와 아날로그적인 요소가 합쳐졌을 때 결실을 맺을 수 있기 때문에 홀로그램적인 즉 전뇌적인 뇌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회과 창의성 학습에 관한 교재로는 우뇌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하여 고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실험 연구가 아니라 연구되어진 문헌을 중심으로 하여 뇌 기능상 창의성 관련 기제를 분석하여 보고 학습에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실험을 한다면 약간의 다른 차이가 생길지도 모른다는 것을 밝혀둔다.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creativity is the main subject that leads the times and creative knowledge, which meets the change of the times, rather than fixed one, is only thing that is needed in this diversification age. To keep pace with the change of the society, there's effort to raise cre...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creativity is the main subject that leads the times and creative knowledge, which meets the change of the times, rather than fixed one, is only thing that is needed in this diversification age. To keep pace with the change of the society, there's effort to raise creative human in education, too. So, in every course of studies, creative teaching method, teaching strategy, curriculum study are carried out and there's effort to reach creative teaching strategy more easily. Also in educating social studies, creativity takes important role. For a long-time, creative thinking faculty has been classified into the high-class thought with critical and decision making capacity, which reveals creative thinking faculty's importance. However, in the view of brain science, there's biological, psychological ground in revelation of creativ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brain function, the late trend of the study, development of neurotransmitter or right brain is linked with creativity. In sociai studies education, there's lots of endeavor to develop creativity, too, but it seems that brain scientific ground hasn't been arranged, yet. Brain science is the field that quests intensively structural specificity and function of brain. In social studies, logical and analytic aspect is mainstream and subject is carried out putting first importance in investigative learning. In the brain functional aspect, the creativity comes out by joint of right and left brain, and correlated deeply with the operation of dopamine, neurohormone and with frontal association centre. This research is set about to give basis in the brain scientific aspect in order to develop creativity of the social studies and will process according to following research subject. First, the foundation of the creativity education is analyzed brain-scientifically. Although creativity education is stressed, researches about source and environment of revelation aren't enough and there's nearly nothing related to social studies. Second, this research tried to accomplish effective creativity education by analyzing brain functionally. People's one side of the brain is superior to the other side when he was born. However, as growing up, the superiority of one side of the brain can vanish or be more developed. Social studies which is composed by digital facts-analytic, statistic and logical facts- has tended to develop only left-brain in the course of nature. Third, the brain scientific discovery about creativity will be very suggestive to the social studies teaching method or curriculum organizing. Although some of the fields have clear reasons why certain contents of the curriculum is concluded, there're lots of cases that contents are set and progressed without definitive reason in certain fields. Especially about the curriculum organizing of which contents are related with creativity, the scientific base isn't definitive. Judging from this object, following research content is set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will find 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brain- science, creativity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brain-science and social studies, mainly consult documents which have been studied until now, Second, by analyzing society textbook of a grade, this research will analyze tendency of curriculum organization to learn the actual condition of curriculum organization, Third, this research will present the problem of the existing sociai studies education by analyzing tendency of students and that of teacher's teaching method. Forth, being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actual condition and theoretical ground, creativity learning method of social studies will be presented and creativity learning curriculum will be composed brain-scientifically. This research is mainly studied laying stress on foreign and domestic documents which have been studied by now.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this research is progressed by the analysis of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 and teachers' response to questionnaire. With priority given to documents, creativity is related to the frontal lobe of the cerebral cortex and the midbrain part of brain stem. And it is changed according to working of synapse and neurotransmitter. Being related to the differentiation of the brain function, initial revelation of creativity is displayed at the right brain area rather than left-brain area. Limbic system, which is the treasury of feeling and emotion, manages unconscious and instinctive part and plays a role as a catalyzer to help revealing creativity at frontal lobe. The joint between cells is possible with working of synapse, the complex connection of synapses intensify connection of thought and facilitates occurring new idea. The chief hormone, which is related to the creativity, is dopamine, the neurotransmitter. The number of neurotransmitter is about 50, and by secretion of those neurotransmitter, our action and thought can be proscribed. Dopamine neurotransmitter, which doesn't have self-receptor, can only transmit information, not being able to receive isolated neurotransmitter by itself. However, it is being studied that the creativity is produced when dopamine neurotransmitter is infinitely isolated and play a role as a mediation of neural activity. At the aspect of the research about divergence of right and left-brain, left-brain is linguistic, systematic, logical, analytic, reasonable and digital. Right brain is spatiotemporal, synchronous, formal, synthetic, intuitional, so analogical. Creativity is compared to an inspiration, which is come out unconsciously by intuitional, spatial, formal factors of the right brain. As mentioned above, in the brain-scientific view, factors related to the creativity are grasped in various views. Especially what is easiest to invite to the learning situation and has many researched fields is about cognition style. Definitely there's difference in the cognition style of right and left brain and also sex, age, and living environment make difference. Analysis of textbook and manual was carried out with teacher's manuals and textbooks of fifth grade's first and second semester. Analyzed by factors of right and left-brain, it was found that left-brain factor is more frequently presented than right brain factor. At the questionnaire about the tendency of student and teacher's teaching method, while students preferred right brain factor, teaching methods included many of left-brain factors. Since creativity learning method of social studies is composed with many of left-brain factors, to activate right brain factors is considered as a creativity learning method. So these learning methods are suggested; methods through memorizing image, through imagination and direct experience. However, as creativity is able to achieve success by combining digital and analogical factors, hologramic, which is whole brain development is needed. But, the curriculum about the creativity learning of social studies is designed laying stress on activating right brain. It's noticed that in case of experiment there could be a bit of differences because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brain functional creativity-related devise and import to learning not by experiments but by using studied documents.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creativity is the main subject that leads the times and creative knowledge, which meets the change of the times, rather than fixed one, is only thing that is needed in this diversification age. To keep pace with the change of the society, there's effort to raise creative human in education, too. So, in every course of studies, creative teaching method, teaching strategy, curriculum study are carried out and there's effort to reach creative teaching strategy more easily. Also in educating social studies, creativity takes important role. For a long-time, creative thinking faculty has been classified into the high-class thought with critical and decision making capacity, which reveals creative thinking faculty's importance. However, in the view of brain science, there's biological, psychological ground in revelation of creativ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brain function, the late trend of the study, development of neurotransmitter or right brain is linked with creativity. In sociai studies education, there's lots of endeavor to develop creativity, too, but it seems that brain scientific ground hasn't been arranged, yet. Brain science is the field that quests intensively structural specificity and function of brain. In social studies, logical and analytic aspect is mainstream and subject is carried out putting first importance in investigative learning. In the brain functional aspect, the creativity comes out by joint of right and left brain, and correlated deeply with the operation of dopamine, neurohormone and with frontal association centre. This research is set about to give basis in the brain scientific aspect in order to develop creativity of the social studies and will process according to following research subject. First, the foundation of the creativity education is analyzed brain-scientifically. Although creativity education is stressed, researches about source and environment of revelation aren't enough and there's nearly nothing related to social studies. Second, this research tried to accomplish effective creativity education by analyzing brain functionally. People's one side of the brain is superior to the other side when he was born. However, as growing up, the superiority of one side of the brain can vanish or be more developed. Social studies which is composed by digital facts-analytic, statistic and logical facts- has tended to develop only left-brain in the course of nature. Third, the brain scientific discovery about creativity will be very suggestive to the social studies teaching method or curriculum organizing. Although some of the fields have clear reasons why certain contents of the curriculum is concluded, there're lots of cases that contents are set and progressed without definitive reason in certain fields. Especially about the curriculum organizing of which contents are related with creativity, the scientific base isn't definitive. Judging from this object, following research content is set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will find 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brain- science, creativity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brain-science and social studies, mainly consult documents which have been studied until now, Second, by analyzing society textbook of a grade, this research will analyze tendency of curriculum organization to learn the actual condition of curriculum organization, Third, this research will present the problem of the existing sociai studies education by analyzing tendency of students and that of teacher's teaching method. Forth, being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actual condition and theoretical ground, creativity learning method of social studies will be presented and creativity learning curriculum will be composed brain-scientifically. This research is mainly studied laying stress on foreign and domestic documents which have been studied by now.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this research is progressed by the analysis of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 and teachers' response to questionnaire. With priority given to documents, creativity is related to the frontal lobe of the cerebral cortex and the midbrain part of brain stem. And it is changed according to working of synapse and neurotransmitter. Being related to the differentiation of the brain function, initial revelation of creativity is displayed at the right brain area rather than left-brain area. Limbic system, which is the treasury of feeling and emotion, manages unconscious and instinctive part and plays a role as a catalyzer to help revealing creativity at frontal lobe. The joint between cells is possible with working of synapse, the complex connection of synapses intensify connection of thought and facilitates occurring new idea. The chief hormone, which is related to the creativity, is dopamine, the neurotransmitter. The number of neurotransmitter is about 50, and by secretion of those neurotransmitter, our action and thought can be proscribed. Dopamine neurotransmitter, which doesn't have self-receptor, can only transmit information, not being able to receive isolated neurotransmitter by itself. However, it is being studied that the creativity is produced when dopamine neurotransmitter is infinitely isolated and play a role as a mediation of neural activity. At the aspect of the research about divergence of right and left-brain, left-brain is linguistic, systematic, logical, analytic, reasonable and digital. Right brain is spatiotemporal, synchronous, formal, synthetic, intuitional, so analogical. Creativity is compared to an inspiration, which is come out unconsciously by intuitional, spatial, formal factors of the right brain. As mentioned above, in the brain-scientific view, factors related to the creativity are grasped in various views. Especially what is easiest to invite to the learning situation and has many researched fields is about cognition style. Definitely there's difference in the cognition style of right and left brain and also sex, age, and living environment make difference. Analysis of textbook and manual was carried out with teacher's manuals and textbooks of fifth grade's first and second semester. Analyzed by factors of right and left-brain, it was found that left-brain factor is more frequently presented than right brain factor. At the questionnaire about the tendency of student and teacher's teaching method, while students preferred right brain factor, teaching methods included many of left-brain factors. Since creativity learning method of social studies is composed with many of left-brain factors, to activate right brain factors is considered as a creativity learning method. So these learning methods are suggested; methods through memorizing image, through imagination and direct experience. However, as creativity is able to achieve success by combining digital and analogical factors, hologramic, which is whole brain development is needed. But, the curriculum about the creativity learning of social studies is designed laying stress on activating right brain. It's noticed that in case of experiment there could be a bit of differences because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brain functional creativity-related devise and import to learning not by experiments but by using studied docum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