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산지별 미나리의 성분 특성 및 항세균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watercress(Oenanthe javanica D.C.) harvested from different culture fields원문보기
재배환경이 다른 산지별 3종류의 미나리, 즉 논에서 보통 수경재배되는 전주 물미나리, 시설하우스에서 용수를 조절하면서 수경재배되는 동곡 돌미나리 및 밭에서 보통 재배되는 화순 불미나리의 부위별 화학성분 분석과 이들의 항균활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위별 수분함량은 줄기, 뿌리, 잎의 순이었고 불미나리는 모든 부위에서 물미나리보다 수분함량이 낮았다.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잎이 가장 높았고 조회분 함량은 뿌리가 가장 높았으며 조섬유의 함량은 줄기가 가장 높았다. 미나리의 주된 무기성분은 K, Ca, Na, Mg인데 K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줄기나 잎에 비해 뿌리에 적게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Ca은 뿌리>잎>줄기 순으로 높게 함유되어 있었고 Na와 Mg은 줄기와 잎에 비해 뿌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Zn과 Fe는 줄기나 잎에 비해 뿌리에 아주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Cu는 산지나 부위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
재배환경이 다른 산지별 3종류의 미나리, 즉 논에서 보통 수경재배되는 전주 물미나리, 시설하우스에서 용수를 조절하면서 수경재배되는 동곡 돌미나리 및 밭에서 보통 재배되는 화순 불미나리의 부위별 화학성분 분석과 이들의 항균활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위별 수분함량은 줄기, 뿌리, 잎의 순이었고 불미나리는 모든 부위에서 물미나리보다 수분함량이 낮았다.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잎이 가장 높았고 조회분 함량은 뿌리가 가장 높았으며 조섬유의 함량은 줄기가 가장 높았다. 미나리의 주된 무기성분은 K, Ca, Na, Mg인데 K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줄기나 잎에 비해 뿌리에 적게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Ca은 뿌리>잎>줄기 순으로 높게 함유되어 있었고 Na와 Mg은 줄기와 잎에 비해 뿌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Zn과 Fe는 줄기나 잎에 비해 뿌리에 아주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Cu는 산지나 부위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및 sucrose가 검출되었는데 그 함량은 화순 불미나리>전주 물미나리>동곡 돌미나리의 순으로 높았으며, 부위별로는 잎>줄기>뿌리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당별로는 fructose>glucose> sucrose 순 이었으나 sucrose는 부위에 상관없이 그 함량이 낮았다. 수용성 비타민은 iitamin C>thiamin>biotin 순으로 함량이 높았고 niacin, pyridoxin, folic acid, riboflavin의 함량은 비교적 낮았다. Vitamin C는 잎에 가장 많았고 뿌리에 가장 적었으며 biotin은 잎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반면에 줄기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Niacin은 화순 불미나리 잎에서 100g당 6.09mg으로 아주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전주 물미나리의 줄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은 주로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가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다른 12종의 유기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 총량은 전주 물미나리의 잎이 100g당 639.1m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고 동곡 돌미나리의 줄기가 100g당 97.2mg으로 가장 낮았다. 지방산 조성은 부위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포화지방산은 뿌리, 줄기, 잎의 순으로 높았으며 주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였다. 잎과 줄기에서는 뿌리와는 달리 pentadecano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줄기에서는 myristic acid도 검출되지 않았다.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줄기와 뿌리에서는 linoleic acid가, 잎에서는 linolenic acid가 가장 높은 구성비를 보였으며, 뿌리는 줄기와 잎에 비해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매우 낮은 경향을 보였다. 산지별로는 linoleic acid가 화순 불미나리에서 가장 높았고 linolenic acid는 동곡 돌미나리가 가장 높았다. 잎의 경우 산지에 관계없이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으며 palmitic acid는 산지별 차이가 없었으나 동곡 돌미나리에 비해 전주 물미나리와 화순 불미나리는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뿌리는 linoleic acid의 함량이 화순 불미나리, 동곡 돌미나리, 전주 물미나리순으로 높았고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의 함량은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산 함량은 잎>뿌리>줄기의 순이었고 줄기의 경우 전주 물미나리의 glutamic acid가 100g당 115.1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에 다른 두 미나리에서는 proline이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잎의 경우는 모두 glutamic acid가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화순 불미나리는 다른 두 미나리에 비해 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뿌리의 경우 glutamic acid, serine, glycine, aspartic acid가 주요 구성 아미노산이었는데 줄기나 잎에 비해 serine의 함량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각 산지별 미나리의 부위별 methanol추출물의 Shigella dysenteriae ATCC 9361에 대한 항세균 활성은 부위별로는 잎이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산지별로는 부위에 관계없이 두 물미나리에 비해 불미나리의 활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나리의 methanol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항세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염기성 획분과 산성 획분은 전혀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중성 획분과 페놀성 획분은 강한 항세균 활성을 나타냈다. 잎의 중성 획분에 대한 MIC를 측정한 결과 화순 불미나리 (550 ㎍/disc)>동곡 돌미나리 (700 ㎍/disc)>전주 물미나리 (850 ㎍/disc) 순으로 나타났다. 페놀성 획분에 대한 MIC는 화순 불미나리가 400 ㎍/disc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재배환경이 다른 산지별 3종류의 미나리, 즉 논에서 보통 수경재배되는 전주 물미나리, 시설하우스에서 용수를 조절하면서 수경재배되는 동곡 돌미나리 및 밭에서 보통 재배되는 화순 불미나리의 부위별 화학성분 분석과 이들의 항균활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위별 수분함량은 줄기, 뿌리, 잎의 순이었고 불미나리는 모든 부위에서 물미나리보다 수분함량이 낮았다.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잎이 가장 높았고 조회분 함량은 뿌리가 가장 높았으며 조섬유의 함량은 줄기가 가장 높았다. 미나리의 주된 무기성분은 K, Ca, Na, Mg인데 K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줄기나 잎에 비해 뿌리에 적게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Ca은 뿌리>잎>줄기 순으로 높게 함유되어 있었고 Na와 Mg은 줄기와 잎에 비해 뿌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Zn과 Fe는 줄기나 잎에 비해 뿌리에 아주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Cu는 산지나 부위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및 sucrose가 검출되었는데 그 함량은 화순 불미나리>전주 물미나리>동곡 돌미나리의 순으로 높았으며, 부위별로는 잎>줄기>뿌리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당별로는 fructose>glucose> sucrose 순 이었으나 sucrose는 부위에 상관없이 그 함량이 낮았다. 수용성 비타민은 iitamin C>thiamin>biotin 순으로 함량이 높았고 niacin, pyridoxin, folic acid, riboflavin의 함량은 비교적 낮았다. Vitamin C는 잎에 가장 많았고 뿌리에 가장 적었으며 biotin은 잎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반면에 줄기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Niacin은 화순 불미나리 잎에서 100g당 6.09mg으로 아주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전주 물미나리의 줄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은 주로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가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다른 12종의 유기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 총량은 전주 물미나리의 잎이 100g당 639.1m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고 동곡 돌미나리의 줄기가 100g당 97.2mg으로 가장 낮았다. 지방산 조성은 부위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포화지방산은 뿌리, 줄기, 잎의 순으로 높았으며 주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였다. 잎과 줄기에서는 뿌리와는 달리 pentadecano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줄기에서는 myristic acid도 검출되지 않았다.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줄기와 뿌리에서는 linoleic acid가, 잎에서는 linolenic acid가 가장 높은 구성비를 보였으며, 뿌리는 줄기와 잎에 비해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매우 낮은 경향을 보였다. 산지별로는 linoleic acid가 화순 불미나리에서 가장 높았고 linolenic acid는 동곡 돌미나리가 가장 높았다. 잎의 경우 산지에 관계없이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으며 palmitic acid는 산지별 차이가 없었으나 동곡 돌미나리에 비해 전주 물미나리와 화순 불미나리는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뿌리는 linoleic acid의 함량이 화순 불미나리, 동곡 돌미나리, 전주 물미나리순으로 높았고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의 함량은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산 함량은 잎>뿌리>줄기의 순이었고 줄기의 경우 전주 물미나리의 glutamic acid가 100g당 115.1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에 다른 두 미나리에서는 proline이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잎의 경우는 모두 glutamic acid가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화순 불미나리는 다른 두 미나리에 비해 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뿌리의 경우 glutamic acid, serine, glycine, aspartic acid가 주요 구성 아미노산이었는데 줄기나 잎에 비해 serine의 함량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각 산지별 미나리의 부위별 methanol추출물의 Shigella dysenteriae ATCC 9361에 대한 항세균 활성은 부위별로는 잎이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산지별로는 부위에 관계없이 두 물미나리에 비해 불미나리의 활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나리의 methanol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항세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염기성 획분과 산성 획분은 전혀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중성 획분과 페놀성 획분은 강한 항세균 활성을 나타냈다. 잎의 중성 획분에 대한 MIC를 측정한 결과 화순 불미나리 (550 ㎍/disc)>동곡 돌미나리 (700 ㎍/disc)>전주 물미나리 (850 ㎍/disc) 순으로 나타났다. 페놀성 획분에 대한 MIC는 화순 불미나리가 400 ㎍/disc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The result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in each part of Watercress(Oenanthe javanica D.C.) grown and harvested from different culture fields under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were studied are as follows; In comparative study of proximate analysis of watercress in parts, moi...
The result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in each part of Watercress(Oenanthe javanica D.C.) grown and harvested from different culture fields under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were studied are as follows; In comparative study of proximate analysis of watercress in parts, moisture contained more in stem than in root or in leaf, but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were lower in stem than in root or in leaf. Crude ash in root contained up to about double amount in leaf or stem. Based on the culture fields, watercress cultivated in water field in Jeonju and Donggok had more water than that cultivated in semi-dried culture field in Hwasun, but crude lipid and ash contents were lower. Major mineral elements in watercress were Fe, Mg, Ca, and K, and their contents in root was higher than those in others. Especially, Fe in roo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stem or in leaf. Total free sugar, composed mainly with fructose and glucose, was the highest in watercress from Hwasun and followed the watercress from Jeonju and Donggok in order. Free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leaf and the lowest in root. Major water-soluble vitamins were vitamin C, thiamin and biotin and the content of vitamin C was higher than others. These vitamins contained more in leaf than in stem or root. Niacin contained 6.09 mg/100 g in leaf of watercress from Hwasun, which was much higher than others, but it could't detect in stem of watercress from Jeonju. Organic acids detected were oxalic acid, citric acid and malic acid and other 12 organic acids had not detected. Total content of organic acids was the highest in the leaf of watercress from Jeonju as 639.1 mg/100 g, and the lowest one was the stem of watercress from Donggok as 97.2 mg/100 g.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watercresses from different parts and culture fields.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palmitic acid were major fatty acids contained in watercress and it took about 80% of the total content. Linoleic acid was the highest one in stem or in root, and linolenic acid was the highest in leaf. Fatty acid composition in leaf was ordered with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and palmitic acid, but in root linoleic acid, palmitic acid and linolenic acid contained in order. Amino acid content in leaf was higher than that in root and in stem. Glutamic acid and proline were major amino acids in stem of watercress from Jeonju) and in stem of watercresses from Hwasun and Donggok, respectively. In leaves of all three watercresses glutam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and also it contained considerable amount of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glycine and aspartic acid were major amino acids in roots, and serine content was specifically high in root as compared to in leaf and stem. Methanol extract of the leaf was more effective on inhibiting the growth of the tested bacteria than that of root or stem, at the concentration of 0.5 g eq./disc, and the extract of watercress from Hwasun was the most effective one as compared to others Neutral and phenolic fractions fractionated from methanol extract of watercress were considerably effective on inhibiting the growth of the tested bacteria, but acidic and basic fractions did not show any inhibitory effect. Phenolic and neutral fraction had very strong inhibition on the growth of Shigella dysenteriae ATCC 9361 with MIC of 400 ㎍/disc and 550 ㎍/disc, respectively.
The result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in each part of Watercress(Oenanthe javanica D.C.) grown and harvested from different culture fields under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were studied are as follows; In comparative study of proximate analysis of watercress in parts, moisture contained more in stem than in root or in leaf, but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were lower in stem than in root or in leaf. Crude ash in root contained up to about double amount in leaf or stem. Based on the culture fields, watercress cultivated in water field in Jeonju and Donggok had more water than that cultivated in semi-dried culture field in Hwasun, but crude lipid and ash contents were lower. Major mineral elements in watercress were Fe, Mg, Ca, and K, and their contents in root was higher than those in others. Especially, Fe in roo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stem or in leaf. Total free sugar, composed mainly with fructose and glucose, was the highest in watercress from Hwasun and followed the watercress from Jeonju and Donggok in order. Free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leaf and the lowest in root. Major water-soluble vitamins were vitamin C, thiamin and biotin and the content of vitamin C was higher than others. These vitamins contained more in leaf than in stem or root. Niacin contained 6.09 mg/100 g in leaf of watercress from Hwasun, which was much higher than others, but it could't detect in stem of watercress from Jeonju. Organic acids detected were oxalic acid, citric acid and malic acid and other 12 organic acids had not detected. Total content of organic acids was the highest in the leaf of watercress from Jeonju as 639.1 mg/100 g, and the lowest one was the stem of watercress from Donggok as 97.2 mg/100 g.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watercresses from different parts and culture fields.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palmitic acid were major fatty acids contained in watercress and it took about 80% of the total content. Linoleic acid was the highest one in stem or in root, and linolenic acid was the highest in leaf. Fatty acid composition in leaf was ordered with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and palmitic acid, but in root linoleic acid, palmitic acid and linolenic acid contained in order. Amino acid content in leaf was higher than that in root and in stem. Glutamic acid and proline were major amino acids in stem of watercress from Jeonju) and in stem of watercresses from Hwasun and Donggok, respectively. In leaves of all three watercresses glutam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and also it contained considerable amount of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glycine and aspartic acid were major amino acids in roots, and serine content was specifically high in root as compared to in leaf and stem. Methanol extract of the leaf was more effective on inhibiting the growth of the tested bacteria than that of root or stem, at the concentration of 0.5 g eq./disc, and the extract of watercress from Hwasun was the most effective one as compared to others Neutral and phenolic fractions fractionated from methanol extract of watercress were considerably effective on inhibiting the growth of the tested bacteria, but acidic and basic fractions did not show any inhibitory effect. Phenolic and neutral fraction had very strong inhibition on the growth of Shigella dysenteriae ATCC 9361 with MIC of 400 ㎍/disc and 550 ㎍/disc, respective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