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읽기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읽기 능력이란 아동이 정보를 단순히 수용하는 능력이 아니라, 자신의 관점에 입각하여 정보를 해석하고 비판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는 문제해결능력이다. 이는 아동이 자신의 선행지식을 바탕으로 적절한 전략을 활용하여 사고, 평가, 판단, 추론, 이해하는 읽기 성취 즉, 기초기능과 이해기능의 영역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는 아동의 성취수준과 성별에 따른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효과를 기초기능영역과 이해기능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잃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아동의 성취수준에 따라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취수준에 따라 기초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취수준에 따라 이해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아동의 성에 따라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에 따라 기초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2-2.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에 따라 이해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선정된 연구대상은 서울시 마포구에 위치한 ㄱ 초등학교 2학급으로 실험집단 26명, 통제집단 26명 총 52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을 성취수준에 따라 상집단 9명, 하집단 9명씩 나누었다. 자료분석방법은 ...
본 논문은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읽기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읽기 능력이란 아동이 정보를 단순히 수용하는 능력이 아니라, 자신의 관점에 입각하여 정보를 해석하고 비판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는 문제해결능력이다. 이는 아동이 자신의 선행지식을 바탕으로 적절한 전략을 활용하여 사고, 평가, 판단, 추론, 이해하는 읽기 성취 즉, 기초기능과 이해기능의 영역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는 아동의 성취수준과 성별에 따른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효과를 기초기능영역과 이해기능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잃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아동의 성취수준에 따라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취수준에 따라 기초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취수준에 따라 이해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아동의 성에 따라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에 따라 기초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2-2.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에 따라 이해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선정된 연구대상은 서울시 마포구에 위치한 ㄱ 초등학교 2학급으로 실험집단 26명, 통제집단 26명 총 52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을 성취수준에 따라 상집단 9명, 하집단 9명씩 나누었다. 자료분석방법은 공분산분석(ANCOVA)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체적 언어접근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아동의 읽기 성취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공분산분석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총체적 언어접근법을 아동의 읽기 성취도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익기 성취도의 각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기초기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기초기능 영역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해기능 영역에서는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성취수준에 따라 아동의 이해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총체적 언어접근법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공분산분석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읽기 학업성취도의 하위영역인 기초기능과 이해기능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아동의 성에 따른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아동의 성취수준에 따라 읽기 성취도, 특히 하위요인인 이해기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상집단은 자신이 이미 습득한 기초기능을 바탕으로 풍부한 문해 환경 속에서 이를 점검하고 활용하면서 읽기 학습을 흥미롭게 대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하집단의 경우에도 읽기 성취도 하위 영역 중 이해기능 영역에서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독서저널 쓰기와 같이 다른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글을 대하는 태도와 자기 의견의 표현 기회를 통해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취수준에 따른 읽기 성취도에서 실험집단 하집단의 사후검사 평균 (20.00)은 통제집단 하집단의 사후검사 평균 (22.22)보다 낮았다. 이는 읽기 성취도의 하위 영역인 기초기능영역에서 실험집단의 하집단(10.80)이 통제집단의 하집단 (14.86)보다 점수가 낮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 접근법이 기초독본과 파닉스 교수법이 기초기능영역에서는 더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효과를 아동의 성별에 따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언어능력과 성별과의 연구에서처럼, 읽기 능력에서도 여아, 남아라는 성별차이보다 개인차가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This study aims to prove whether whole language approach is effective for improving reading achievement or not.
Reading abilities are not the abilities for children to accommodate informations in any readings ,but problem-solving abilities to organize new meanings through interpreting and criticizing informations, based on their own perspectives.
For this, children are required to have reading achievement(basic skill abilities and reading comprehension) related to it, by applying their own adequate strategies based on prior knowledges.
For this Purpose, the attempte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in reading achievement by prior knowledges level?
1-1 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on reading basic skill by prior knowledges level?
1-2 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in reading comprehension by prior knowledges level?
2.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on reading achievement by sexual difference?
1-1 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on reading basic skill by se텨미 difference?
1-2 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by sexual difference?
For the question to answer, two class four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the instruments use for assessment reading abilities were reading achievement test.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while language approach and control group was applied traditional language arts.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ANCOVA.
The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
1.Whole language approach had effectiveness in reading achievement.
Whole language approach had effectiveness on reading achievement by prior knowledges level. For basic skill abilities, while language approach had no effectiveness in reading achievement by prior knowledged level.
2. Whole language approach had co effectiveness on reading achievement by sexual difference.
The conclusion can bo drawn that whole language approach is effective to improve reading achievement. Expecially whole language approach is effective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But sexual difference of children does not affect reading achievement.
본 논문은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읽기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읽기 능력이란 아동이 정보를 단순히 수용하는 능력이 아니라, 자신의 관점에 입각하여 정보를 해석하고 비판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는 문제해결능력이다. 이는 아동이 자신의 선행지식을 바탕으로 적절한 전략을 활용하여 사고, 평가, 판단, 추론, 이해하는 읽기 성취 즉, 기초기능과 이해기능의 영역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는 아동의 성취수준과 성별에 따른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효과를 기초기능영역과 이해기능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잃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아동의 성취수준에 따라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취수준에 따라 기초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취수준에 따라 이해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아동의 성에 따라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에 따라 기초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2-2.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성에 따라 이해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선정된 연구대상은 서울시 마포구에 위치한 ㄱ 초등학교 2학급으로 실험집단 26명, 통제집단 26명 총 52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을 성취수준에 따라 상집단 9명, 하집단 9명씩 나누었다. 자료분석방법은 공분산분석(ANCOVA)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체적 언어접근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아동의 읽기 성취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공분산분석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총체적 언어접근법을 아동의 읽기 성취도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익기 성취도의 각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기초기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아동의 기초기능 영역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해기능 영역에서는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성취수준에 따라 아동의 이해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총체적 언어접근법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공분산분석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읽기 학업성취도의 하위영역인 기초기능과 이해기능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아동의 성에 따른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아동의 성취수준에 따라 읽기 성취도, 특히 하위요인인 이해기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상집단은 자신이 이미 습득한 기초기능을 바탕으로 풍부한 문해 환경 속에서 이를 점검하고 활용하면서 읽기 학습을 흥미롭게 대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하집단의 경우에도 읽기 성취도 하위 영역 중 이해기능 영역에서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독서저널 쓰기와 같이 다른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글을 대하는 태도와 자기 의견의 표현 기회를 통해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취수준에 따른 읽기 성취도에서 실험집단 하집단의 사후검사 평균 (20.00)은 통제집단 하집단의 사후검사 평균 (22.22)보다 낮았다. 이는 읽기 성취도의 하위 영역인 기초기능영역에서 실험집단의 하집단(10.80)이 통제집단의 하집단 (14.86)보다 점수가 낮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 접근법이 기초독본과 파닉스 교수법이 기초기능영역에서는 더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효과를 아동의 성별에 따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언어능력과 성별과의 연구에서처럼, 읽기 능력에서도 여아, 남아라는 성별차이보다 개인차가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This study aims to prove whether whole language approach is effective for improving reading achievement or not.
Reading abilities are not the abilities for children to accommodate informations in any readings ,but problem-solving abilities to organize new meanings through interpreting and criticizing informations, based on their own perspectives.
For this, children are required to have reading achievement(basic skill abilities and reading comprehension) related to it, by applying their own adequate strategies based on prior knowledges.
For this Purpose, the attempte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in reading achievement by prior knowledges level?
1-1 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on reading basic skill by prior knowledges level?
1-2 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in reading comprehension by prior knowledges level?
2.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on reading achievement by sexual difference?
1-1 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on reading basic skill by se텨미 difference?
1-2 Does whole language approach a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by sexual difference?
For the question to answer, two class four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the instruments use for assessment reading abilities were reading achievement test.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while language approach and control group was applied traditional language arts.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ANCOVA.
The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
1.Whole language approach had effectiveness in reading achievement.
Whole language approach had effectiveness on reading achievement by prior knowledges level. For basic skill abilities, while language approach had no effectiveness in reading achievement by prior knowledged level.
2. Whole language approach had co effectiveness on reading achievement by sexual difference.
The conclusion can bo drawn that whole language approach is effective to improve reading achievement. Expecially whole language approach is effective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But sexual difference of children does not affect reading achieve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