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의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들을 밝혀 내어 향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업무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강원과 경기 지역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 940명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322부가 회수되어 32.4%의 응답률을 보였다.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행연구결과를 참조하여 조직 특성변수(직무의 다양성, 직무의 명확성, 직무의양, 자원공급의 적절성, 직무 중요도, 직무의 자율성, 보상의 공정성, 직장의 지원,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직업의 안정성, 승진기회, 소득), 심리적 변수(긍정적 심성, 부정적 심성, ...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의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들을 밝혀 내어 향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업무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강원과 경기 지역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 940명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322부가 회수되어 32.4%의 응답률을 보였다.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행연구결과를 참조하여 조직 특성변수(직무의 다양성, 직무의 명확성, 직무의양, 자원공급의 적절성, 직무 중요도, 직무의 자율성, 보상의 공정성, 직장의 지원,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직업의 안정성, 승진기회, 소득), 심리적 변수(긍정적 심성, 부정적 심성, 자아효능감)로 분류한 후 SPSS Ver 11.0을 활용하여 분산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도의 경우, 학교 급별 근무처나, 근무 지역, 학교 규모, 교육 수준, 현 직장 근무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근무기간은 21년 이상인 경우가 3.64로 가장 높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몰입도의 경우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가설에서 설정된 정(+), 부(-)의 상관관계가 직무의 양과 소득을 제외하고는 모두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가설의 이론적 타당성을 뒷받침 해 주었다.
셋째, 보건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회귀계수 추정결과를 중요도의 순서로 살펴보면, 자아효능감(.248), 직무 중요도(.146), 직무의 다양성(.143), 직업의 안정성(.143), 긍정적 심성(.139), 동료의 지원(.099) 순으로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고, 부정적 심성(-.122)은 직무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회귀계수 추정결과를 중요도 순서로 살펴보면, 직업의 안정성(.218), 긍정적 심성(.178), 상사의 지원(.141), 직장의 지원(.134), 직무의 명확성(.103), 직무 중요도(.098), 직무의 양(.093), 자원공급의 적절성(.087)순으로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109)은 조직몰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향후 보건교사들의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 향상을 위한 동기부여 전략에 활용한다면 그들의 사기 진작과 더불어 보건교사의 업무효율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의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들을 밝혀 내어 향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업무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강원과 경기 지역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 940명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322부가 회수되어 32.4%의 응답률을 보였다.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행연구결과를 참조하여 조직 특성변수(직무의 다양성, 직무의 명확성, 직무의양, 자원공급의 적절성, 직무 중요도, 직무의 자율성, 보상의 공정성, 직장의 지원,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직업의 안정성, 승진기회, 소득), 심리적 변수(긍정적 심성, 부정적 심성, 자아효능감)로 분류한 후 SPSS Ver 11.0을 활용하여 분산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도의 경우, 학교 급별 근무처나, 근무 지역, 학교 규모, 교육 수준, 현 직장 근무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근무기간은 21년 이상인 경우가 3.64로 가장 높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몰입도의 경우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가설에서 설정된 정(+), 부(-)의 상관관계가 직무의 양과 소득을 제외하고는 모두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가설의 이론적 타당성을 뒷받침 해 주었다.
셋째, 보건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회귀계수 추정결과를 중요도의 순서로 살펴보면, 자아효능감(.248), 직무 중요도(.146), 직무의 다양성(.143), 직업의 안정성(.143), 긍정적 심성(.139), 동료의 지원(.099) 순으로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고, 부정적 심성(-.122)은 직무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회귀계수 추정결과를 중요도 순서로 살펴보면, 직업의 안정성(.218), 긍정적 심성(.178), 상사의 지원(.141), 직장의 지원(.134), 직무의 명확성(.103), 직무 중요도(.098), 직무의 양(.093), 자원공급의 적절성(.087)순으로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109)은 조직몰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향후 보건교사들의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 향상을 위한 동기부여 전략에 활용한다면 그들의 사기 진작과 더불어 보건교사의 업무효율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chool health teachers.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322 school health teachers who worked in Ganwon and Kyonggi provinces.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chool health teachers.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322 school health teachers who worked in Ganwon and Kyonggi provinces.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Sept. 25 to Oct. 12 in 2002 and 314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tain two groups of determinant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job autonomy, role variety, workload, resource inadequacy, coworker support, supervisor support, workplace support, promotional chances, job security, job accuracy, reward equity, job importance, income), and psychological variables(positive affectivity, negative affectivity, self efficac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an score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3.48 and 3.41 respectively on a 5-point Likert scal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of school health teachers were age and length of tenure.
Second, all of the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except workload and promotional chanc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all of the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except promotional chances and incom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following variables, listed in order of siz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 self efficacy(.248), job importance(.146), role variety(.143), job security(.143), positive affectivity(.139), negative affectivity(-.122), coworker support(.099).
Fourth, the following variables, listed in order of siz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b security(.218), positive affectivity(.178), supervisor support(.141), workplace support(.134), income(-.109), job accuracy(.103), job importance(.098), workload(.093), resource inadequacy(.087).
Fifth, the varianc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explained by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study are 52.6% and 50.2% respectively.
The above results imply tha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chool health teachers by controlling and supporting various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for assuring the higher quality of school health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chool health teachers.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322 school health teachers who worked in Ganwon and Kyonggi provinces.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Sept. 25 to Oct. 12 in 2002 and 314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tain two groups of determinant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job autonomy, role variety, workload, resource inadequacy, coworker support, supervisor support, workplace support, promotional chances, job security, job accuracy, reward equity, job importance, income), and psychological variables(positive affectivity, negative affectivity, self efficac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an score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3.48 and 3.41 respectively on a 5-point Likert scal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of school health teachers were age and length of tenure.
Second, all of the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except workload and promotional chanc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all of the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except promotional chances and incom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following variables, listed in order of siz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 self efficacy(.248), job importance(.146), role variety(.143), job security(.143), positive affectivity(.139), negative affectivity(-.122), coworker support(.099).
Fourth, the following variables, listed in order of siz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b security(.218), positive affectivity(.178), supervisor support(.141), workplace support(.134), income(-.109), job accuracy(.103), job importance(.098), workload(.093), resource inadequacy(.087).
Fifth, the varianc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explained by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study are 52.6% and 50.2% respectively.
The above results imply tha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chool health teachers by controlling and supporting various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for assuring the higher quality of school health education.
Keyword
#보건교사
#직무만족
#조직몰입
#school health teach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지연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보건관리학과
지도교수
서영준
발행연도
2003
총페이지
v, 55p.
키워드
보건교사,
직무만족,
조직몰입,
school health teach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