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교사의 응급간호 경험과 지원요구
The Emergency Care Experience and Demand for Support of School Nurs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8 no.2, 2017년, pp.182 - 195  

윤재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서울신목초등학교) ,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plores school nurses' emergency care experiences and their needs for systemic institutional suppor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2016 from the interviews with five focus groups comprising thirty school nurs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then performed using the col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학교 응급간호 경험을 탐색하여 학교 응급간호에 대해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지원 요구를 확인하여 지원방안을 도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보건교사의 학교 응급간호는 어떠한가?”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에서 발생한 의학적 응급상황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학교는 학생들이 다양한 교육활동을 하면서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곳으로 의학적 응급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1,2]. 학령기 아동 사망의 70%가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데 전체 사고의 10~25%가 학교에서 발생하고 있다[3]. 또한 전국학교 안전공제회 통계에 따르면 학교사고는 2013년 105,088건, 2014년 116,527건, 2015년 120,123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4]. 최근에는 천식, 당뇨, 생명을 위협하는 심한 알레르기, 선천성 기형, 간질 등과 같은 희귀, 만성적인 건강문제들을 갖고 있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다[3,5]. 또한 학교에서 발생한 의학적 응급상황에 대해 적절한 응급조치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그 책임을 학교가져야 한다는 판결이 나오고[6] 학교안전사고와 관련된 각종 민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응급간호란 무엇인가? 응급간호는 신속하게 응급 환자를 관찰하고, 증상을 완화시 키고 악화되지 않도록 중재하는 특별한 간호이며[9] 학교의 응급간호는 많은 의료인과 의료장비가 있는 병원환경에서 수행되는 응급간호와는 다르게 학교특성에 맞게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임용 시부터 혼자 일하게 되는 근무특성상 학교 응급간호에 대한 전문적 지도와 도움을 받을 기회가 없어 보건교사 개인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하여 학교 응급간호를 제공하고 있다[10].
보건교사 개인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하여 학교 응급간호를 제공하고 있는 이유는? 응급간호는 신속하게 응급 환자를 관찰하고, 증상을 완화시 키고 악화되지 않도록 중재하는 특별한 간호이며[9] 학교의 응급간호는 많은 의료인과 의료장비가 있는 병원환경에서 수행되는 응급간호와는 다르게 학교특성에 맞게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임용 시부터 혼자 일하게 되는 근무특성상 학교 응급간호에 대한 전문적 지도와 도움을 받을 기회가 없어 보건교사 개인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하여 학교 응급간호를 제공하고 있다[10]. 이로 인해 보건교사 개인의 능력에 따라 응급간호 수준에 차이가 나게 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현장 지원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lgie R, Sapien R, Fullerton L, Moore B. School nurse online emergency preparedness training: An analysis of knowledge, skills, and confidence.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010;26 (5):368-376. https://doi.org/10.1177/1059840510372090 

  2. Olympia RP, Wan E, Avner JR. The preparedness of schools to respond to emergencies in children: a national survey of school nurses. Pediatrics. 2005;116(6):738-745. https://doi.org/10.1542/peds.2005-1474 

  3. Council on School Health. Medical emergencies occurring at school. Pediatrics. 2008;122(4):887-894. 

  4. School Safety and Insurance Federation. Accident and compensation statistics [Internet]. Seoul: School Safety and Insurance Federation. 2017 [cited 2017 March 3]. Available from: http://www.ssif.or.kr/06_participation/part05.html 

  5. Evans W, Ficca M. The school nurse role in preparing for sudden cardiac arrest in the school setting.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012;28(6):418-422. https://doi.org/10.1177/1059840512451743 

  6. Kim HH, Lee SK, Min YG, Choi SC, Jung YS, Ahn JH.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s of school nurses regarding emergency situations in school: Focus on differences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1;22(5):536-542. 

  7. Flaherty EA. Emergency preparedness: School nurses leading the way. NASN School Nurse. 2013;28(4):192-196. https://doi.org/10.1177/1942602X12466431 

  8. Lee JH, Lee BS. Self role perception of healt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0;21(4):398-408. https://doi.org/10.12799/jkachn.2010.21.4.398 

  9. Wikipedia. Emergency nursing [Internet]. Wikipedia. 2017 [cited 2017 March 3]. Available from: https://en.wikipedia.org/wiki/Emergency_nursing 

  10. Rosenblum RK, Sprague-McRae J. Using principles of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in school nurse continuing education.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014;30(2):97-102. https://doi.org/10.1177/1059840513489710 

  11. Lee JH, Lee BS. Role adaptation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Establishing their own posi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3):305-316. https://doi.org/10.4040/jkan.2014.44.3.305 

  12. Kruger BJ, Radjenovic D, Toker KH, Comeaux J. School nurses who only care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orking in a teacher's world.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009;25(6): 436-444. https://doi.org/10.1177/1059840509349724 

  13. Jang K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201 p. 

  14. Morgan DL, Krueger RA. Focus Group Kit. 1st ed. Shin KN, Jangy EJ, Kim YK, Lee GJ, Choe GM, Kim HY, et al., translator. Seoul: Hyunmoon; 2004. 

  15. Elo S, Kyngas H.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2(1):107-1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16. Charmaz K. Construction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1st ed. Park HS, Lee SK, Lee CW, translator. Seoul: Hakjisa; 2013. 

  17. Kruger BJ, Toker KH, Radjenovic D, Comeaux JM, Macha K. School nursing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Does number of schools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School Health. 2009; 79(8):337-346.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9.00419.x 

  18. Im MY, Lee SY. Job analysis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Korea - Based on DACUM job analysi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4;28(3):619-632. https://doi.org/10.5932/jkphn.2014.28.3.619 

  19. Maughan E, Adams R. Educators' and parents' perception of what school nurses do: The influence of school nurse/student ratios.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011;27(5):355-363. https://doi.org/10.1177/1059840511416368 

  20. Hohenhaus SM. Pediatric emergency preparedness in schools: A report from the 2001 southeastern regional EMSC annual meeting.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1;27(4):353-356. https://doi.org/10.1067/men.2001.117419 

  21. Bittenbender P, Nortier N, Obrien C, Oosterheert J, Smoes J. Emergencies happen, MERTs to the rescue!. NASN School Nurse. 2009;24(6):268-278. https://doi.org/10.1177/1942602x09342442 

  22. Tuck CM, Haynie K, Davis C.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in the school setting: The role of the school nurse [Internet]. Washington: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Nurses. 2011 [cited 2017 January 2]. Available from: https://www.nasn.org/PolicyAdvocacy/PositionPapersandReports/NASNPositionStatementsFullView/tabid/462/smid/824/ArticleID/117/Default.aspx 

  23. Choi UJ. Understanding and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by health educator.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2008;12(2):59-69. 

  24. Elgie R, Sapien R, Fullerton-Gleason L. The new Mexico school nurse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ergency preparedness course: Program description and evaluation.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005;21(4):218-223. https://doi.org/10.1177/10598405050210040601 

  25. Duff CL. The healthcare plan: prevention, preparedness, and response. NASN School Nurse. 2013;28(6):276-277. https://doi.org/10.1177/1942602x13506371 

  26. Cagginello J, Blackborow M, Porter J, Disney J, Andresen K, Tuck C. Unlicensed assistive personnel in the school setting: Position statement. Washington: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Nurses. 2006 [cited 2017 January 3]. Available from: https://www.nasn.org/PolicyAdvocacy/PositionPapersandReports/NASNPositionStatementsFullView/tabid/462/ArticleId/21/Delegation-Nursing-Delegation-to-Unlicensed-Assi stive-Personnel-in-the-School-Setting-Revised-June-2 

  27. Rice SK, Biordi DL, Zeller RA. The relevance of standards of professional school nursing practice.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2005;21(5):293-298. https://doi.org/10.1177/10598405050210050801 

  28. Kano M, Ramirez M, Ybarra WJ, Frias G, Bourque LB. Are schools prepared for emergencies? A baseline assessment of emergency preparedness at school sites in three Los Angeles county school districts. Education and Urban Society. 2007; 39(3):399-422. https://doi.org/10.1177/0013124506298130 

  29. National Association School Nurse (NASN). Framework for 21st century school nursing practice. NASN School Nurse. 2016;31(1):45-53. https://doi.org/10.1177/1942602X15618644 

  30. Newell ME. Educational preparation for the role of the school nurse: Perceptions of school nurses in Washington State [dissertation]. [Minnesota]: Capella University; 2013. 110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