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줄넘기 운동부하에 의한 남자고등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고등학교 재학중인 2학년 남학생 34명중 2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 단에 11명, 비교집단에 11명으로 나누어 4주간씩 12주간, 제3단계 처치방법으로 줄넘기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후 기초체력의 요인별 측정치를 통계적으로 반복 측정 변량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악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배근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순발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근지구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민첩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유연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일곱째, 평형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지속적인 줄넘기 운동 경험은 기초체력 중 악력과 배근력, 순발력, 민첩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특히, 청소년 시기의 줄넘기 운동은 효과 측면에서 기초체력 증진은 물론 건강 유지에 좋은 운동으로 인정되므로 줄넘기 운동을 생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줄넘기 운동을 대상에 따라 과학적인 ...
본 연구는 줄넘기 운동부하에 의한 남자고등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고등학교 재학중인 2학년 남학생 34명중 2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 단에 11명, 비교집단에 11명으로 나누어 4주간씩 12주간, 제3단계 처치방법으로 줄넘기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후 기초체력의 요인별 측정치를 통계적으로 반복 측정 변량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악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배근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순발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근지구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민첩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유연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일곱째, 평형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지속적인 줄넘기 운동 경험은 기초체력 중 악력과 배근력, 순발력, 민첩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특히, 청소년 시기의 줄넘기 운동은 효과 측면에서 기초체력 증진은 물론 건강 유지에 좋은 운동으로 인정되므로 줄넘기 운동을 생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줄넘기 운동을 대상에 따라 과학적인 운동 처방과 계획에 근거한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여 흥미를 유발시키고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줄넘기 운동부하에 의한 남자고등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고등학교 재학중인 2학년 남학생 34명중 2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 단에 11명, 비교집단에 11명으로 나누어 4주간씩 12주간, 제3단계 처치방법으로 줄넘기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후 기초체력의 요인별 측정치를 통계적으로 반복 측정 변량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악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배근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순발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근지구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민첩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유연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일곱째, 평형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지속적인 줄넘기 운동 경험은 기초체력 중 악력과 배근력, 순발력, 민첩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특히, 청소년 시기의 줄넘기 운동은 효과 측면에서 기초체력 증진은 물론 건강 유지에 좋은 운동으로 인정되므로 줄넘기 운동을 생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줄넘기 운동을 대상에 따라 과학적인 운동 처방과 계획에 근거한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여 흥미를 유발시키고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the effect of rope-skipping on high school students' physical strength. 22 male students out of 34 in 2nd grade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 11 students were grouped as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Through the rope-skipping for 12 week...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the effect of rope-skipping on high school students' physical strength. 22 male students out of 34 in 2nd grade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 11 students were grouped as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Through the rope-skipping for 12 weeks (each step consisted of 4 weeks, making totally 3 steps), the following differences in physical strength were measured statistically and repeatedly between the two group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IP STRENGTH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Second, BACK STRENGTH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Third, STANDING BROAD OR LONG JUM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Fourth, MUSCULAR ENDURANCE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Fifth, AGILIT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Sixth, FLEXIBILITY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Finally, BALANCE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It is concluded based 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at 12 weeks' rope skipping has an important effect on strength (grip strength), back strength, and agility. Rope skipping is quite a good physical exercise to adolescence to promote physical strength and to keep good health. Jump ropping, if persistantly conducted by scientistic prescription and plan, will not only promote physical strength but maintain good health condi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a recommendation for jump skipping on a daily basis.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the effect of rope-skipping on high school students' physical strength. 22 male students out of 34 in 2nd grade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 11 students were grouped as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Through the rope-skipping for 12 weeks (each step consisted of 4 weeks, making totally 3 steps), the following differences in physical strength were measured statistically and repeatedly between the two group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IP STRENGTH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Second, BACK STRENGTH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Third, STANDING BROAD OR LONG JUM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Fourth, MUSCULAR ENDURANCE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Fifth, AGILIT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Sixth, FLEXIBILITY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Finally, BALANCE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It is concluded based 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at 12 weeks' rope skipping has an important effect on strength (grip strength), back strength, and agility. Rope skipping is quite a good physical exercise to adolescence to promote physical strength and to keep good health. Jump ropping, if persistantly conducted by scientistic prescription and plan, will not only promote physical strength but maintain good health condi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a recommendation for jump skipping on a daily basi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