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생리활성 물질로서의 국내산 무화과의 특성을 검색하고자 식중독 관련 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검색하였다. 무화과를 메탄올과 극성이 다른 용매로 계통분획하여 다음 8종의 균주(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
천연생리활성 물질로서의 국내산 무화과의 특성을 검색하고자 식중독 관련 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검색하였다. 무화과를 메탄올과 극성이 다른 용매로 계통분획하여 다음 8종의 균주(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를 검색하였다. 무화과의 메탄올 추출물은 10 mg/mL농도에서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 E. coli O157:H7와 E. coli에 대해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성숙정도와 대상균주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0.1-5 mg/mL 농도범위에서 극성이 낮은 핵산과 클로로포름 분획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부탄올 분획은 그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물 분획은 뚜렷한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성숙무화과의 핵산 분획은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과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클로로포름 분획은 E. coli O157:H7, Y. enterocolitica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저해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숙무화과II의 핵산 분획은 L. monocytogenes에 대해 0.1 mg/mL농도에서 65%의 성장억제 효과를 보였고, 클로로포름 분획은 E. coli O157:H7과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1.0 mg/mL농도에서 95% 이상의 증식억제효과를 보여 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숙무화과I의 클로로포름 분획은 1.0 mg/mL농도에서 E. coli O157:H7, Y. enterocolitica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75%이상 성장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부탄올 분획은 E. coli O157:H7과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1.0 mg/mL농도에서는 70%이상, 5.0 mg/mL농도에서는 완전히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무화과는 요사이 특히 문제시 되고 있는 식중독 관련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화인되었고, 특히 성숙직전의 미숙무화과II에서 항균활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화과 물추출액과 메탄올추출액을 조제하여 라디칼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무화과 1개(13g/100mL) 메탄올 추출액에서 41.98%, 2개(26g/100mL)에서는 70.61%의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무화과 1개 (13g/100mL) 물 추출액에서 35.42%, 2개(26g/100mL)에서는 47.14%의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무화과에는 천연 항산화활성 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항산화성분은 물보다는 메탄올 추출이 더욱 효율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높은 항산화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진 녹차의 라디칼 소거능과 비교하여 본 결과, 무화과 2개가 녹차 1/10잔 정도의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무화과는 녹차보다는 항산화활성이 높지는 않았으나, 과일 섭취량을 고려하면 꾸준한 섭취는 유용한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생리활성 물질로서의 국내산 무화과의 특성을 검색하고자 식중독 관련 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검색하였다. 무화과를 메탄올과 극성이 다른 용매로 계통분획하여 다음 8종의 균주(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를 검색하였다. 무화과의 메탄올 추출물은 10 mg/mL농도에서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 E. coli O157:H7와 E. coli에 대해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성숙정도와 대상균주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0.1-5 mg/mL 농도범위에서 극성이 낮은 핵산과 클로로포름 분획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부탄올 분획은 그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물 분획은 뚜렷한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성숙무화과의 핵산 분획은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과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클로로포름 분획은 E. coli O157:H7, Y. enterocolitica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저해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숙무화과II의 핵산 분획은 L. monocytogenes에 대해 0.1 mg/mL농도에서 65%의 성장억제 효과를 보였고, 클로로포름 분획은 E. coli O157:H7과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1.0 mg/mL농도에서 95% 이상의 증식억제효과를 보여 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숙무화과I의 클로로포름 분획은 1.0 mg/mL농도에서 E. coli O157:H7, Y. enterocolitica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75%이상 성장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부탄올 분획은 E. coli O157:H7과 V. parahaemolyticus에 대해 1.0 mg/mL농도에서는 70%이상, 5.0 mg/mL농도에서는 완전히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무화과는 요사이 특히 문제시 되고 있는 식중독 관련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화인되었고, 특히 성숙직전의 미숙무화과II에서 항균활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화과 물추출액과 메탄올추출액을 조제하여 라디칼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무화과 1개(13g/100mL) 메탄올 추출액에서 41.98%, 2개(26g/100mL)에서는 70.61%의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무화과 1개 (13g/100mL) 물 추출액에서 35.42%, 2개(26g/100mL)에서는 47.14%의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무화과에는 천연 항산화활성 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항산화성분은 물보다는 메탄올 추출이 더욱 효율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높은 항산화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진 녹차의 라디칼 소거능과 비교하여 본 결과, 무화과 2개가 녹차 1/10잔 정도의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무화과는 녹차보다는 항산화활성이 높지는 않았으나, 과일 섭취량을 고려하면 꾸준한 섭취는 유용한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gs(Ficus carica L.) belong to mulberry tree((Moraceae) which is one of the oldest fruits in the world. It has been used as a digestion promoter and a cure for ulcerative inflammation and eruption in Korea.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extracts(m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buthano...
Figs(Ficus carica L.) belong to mulberry tree((Moraceae) which is one of the oldest fruits in the world. It has been used as a digestion promoter and a cure for ulcerative inflammation and eruption in Korea.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extracts(m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buthanol) from Korean common type figs in the different ripening stages, were tested by the broth dilution method against 8 representative food-poisoning bacteria: Listeria monocytogen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 dose dependent manner(p<0.001). In unripened II fig, methanol extract showed inhibition activity especially against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 and E. coli O157:H7 in a concentration 10 mg/mL. Each fraction showed a little different antibacterial activity according to the ripening stages of fruits and tested strains, and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 revealed the strongest activity; the butanol fraction the next and the ethylacetate and water fraction hardly showed any activity. In the ripened figs, the hexane fraction showed very strong activity against L. monocytogenes and V. parahaemolyticus and the chloroform fraction against E. coli O157:H7, Y. enterocolitica and V. parahaemolyticus. In the unripend II, the hexane fraction revealed 65% inhibition activity against L. monocytogenes in 0.1 mg/mL concentration and the chloroform fraction more than 95% against E. coli O157:H7 and V. parahaemolyticusin in 1.0 mg/mL. In the unripend I, the chloroform fraction showed the inhibition activity more than 75% against E. coli O157:117, V. parahaemolyticus and Y. enterocolitica in 1.0 mg/mL. The growth of E. coli O157:117 and V. parahaemolyticus was inhibited more than 70% in 1.0 mg/mL and completely inhibited in 5.0 mg/mL in the butanol fraction of the unripend I figs. Especially, figs in the unripened II stage revealed superior activity relatively. Antioxidative activity was assayed b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ith spectrophotometer at 514 nm. Korean figs had high in antioxidant activity although was not superior to tea, well known sources of polyphen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figs are relatively good sources of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compounds.
Figs(Ficus carica L.) belong to mulberry tree((Moraceae) which is one of the oldest fruits in the world. It has been used as a digestion promoter and a cure for ulcerative inflammation and eruption in Korea.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extracts(m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buthanol) from Korean common type figs in the different ripening stages, were tested by the broth dilution method against 8 representative food-poisoning bacteria: Listeria monocytogen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 dose dependent manner(p<0.001). In unripened II fig, methanol extract showed inhibition activity especially against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 and E. coli O157:H7 in a concentration 10 mg/mL. Each fraction showed a little different antibacterial activity according to the ripening stages of fruits and tested strains, and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 revealed the strongest activity; the butanol fraction the next and the ethylacetate and water fraction hardly showed any activity. In the ripened figs, the hexane fraction showed very strong activity against L. monocytogenes and V. parahaemolyticus and the chloroform fraction against E. coli O157:H7, Y. enterocolitica and V. parahaemolyticus. In the unripend II, the hexane fraction revealed 65% inhibition activity against L. monocytogenes in 0.1 mg/mL concentration and the chloroform fraction more than 95% against E. coli O157:H7 and V. parahaemolyticusin in 1.0 mg/mL. In the unripend I, the chloroform fraction showed the inhibition activity more than 75% against E. coli O157:117, V. parahaemolyticus and Y. enterocolitica in 1.0 mg/mL. The growth of E. coli O157:117 and V. parahaemolyticus was inhibited more than 70% in 1.0 mg/mL and completely inhibited in 5.0 mg/mL in the butanol fraction of the unripend I figs. Especially, figs in the unripened II stage revealed superior activity relatively. Antioxidative activity was assayed b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ith spectrophotometer at 514 nm. Korean figs had high in antioxidant activity although was not superior to tea, well known sources of polyphen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figs are relatively good sources of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compound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