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등학교 상담실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여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소재 10개 중학교 2학년 학생 300명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00명 그리고 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학교상담실 운영 현황에 대한 학생과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학생용 설문지 22 문항, 교사용 설문지 23 문항을 만들어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학생용은 성별, 학교 급별로 분류하였고, 교사용은 일반교사와 상담 교사 ...
본 연구는 중등학교 상담실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여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소재 10개 중학교 2학년 학생 300명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00명 그리고 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학교상담실 운영 현황에 대한 학생과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학생용 설문지 22 문항, 교사용 설문지 23 문항을 만들어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학생용은 성별, 학교 급별로 분류하였고, 교사용은 일반교사와 상담 교사 그리고 경력별로 분류하여 평균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남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학교상담실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 학교상담실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학생이 적지 않으며 상담실의 이용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는 학생이 67.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상담실에 대한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학교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요구됨을 의미하고 있다. 한편 상담실의 이용 경험이 있는 학생은 16.7%에 불과하며 이용 경험이 있는 학생 중 상담이 도움이 되었다는 학생보다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반응을 보인 학생이 더 많았고 도움이 되지 못한 이유를 교사의 책임으로 돌린 학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 보아 학교상담실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상담프로그램의 개발과 상담교사의 연수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실태를 살펴보면 학생들과는 달리 교사들은 학교상담활동이 효과가 있다는 반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상담은 전문상담교사 보다는 내담자가 선택한 교사나 담임교사가 맡아야 한다고 응답하고 있어 상담의 연수가 전문상담교사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전 교사를 상대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2) 학교상담에 대한 학생의 요구 및 기대 학교에서 누군가와 상담을 하고 싶을 때가 있다는 학생이 66.8%에 이르며 또한 77.0%의 학생이 학교상담활동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로 고민하는 문제와 상담 학교 상담실에서 다뤄야 할 내용으로는 성적, 진학, 진로 문제, 교우 관계, 성격 및 가치관의 문제로 응답하여 학생들은 학교 상담실에서 주로 성적, 진학, 진로 문제, 교우관계, 성격 및 가치관의 문제에 관한 상담을 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교상담실의 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해야 할 바가 무엇인지를 시사해 주고 있다. 3)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및 문제점 상담관련 연수에 참여한 경험은 일반교사와 상담교사 간에 큰 차이가 있으며 주로 성적 및 학업문제나 진학, 진로문제, 성격과 가치관의 문제로 학생을 상담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가 95.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학생 상담 시 학생들과의 일체감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상담에 대한 지식과 기술보다는 레포의 형성을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상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일선 학교에서 상담실에 대한 홍보를 자주하는 학교는 47.9%인 반면 안 한다고 생각하는 학교도 52.1%나 되었으며 교사들은 학교상담에 참여도가 낮은 이유를 상담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학생들에게 도움이 안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사들은 지식과 기술의 부족과 과중한 업무가 상담활동의 저해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상담에 대하여 학교장은 관심이 있는 편이나 교육청과 연구 기관 등의 관심은 부족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학교상담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담활동의 다양화와 교육청의 관심과 지원 및 전문상담교사의 배치를 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비추어 볼 때 상담프로그램의 보급 등 교육청의 지원과 적극적인 홍보, 교원 연수가 선행되어야 학교상담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외부 상담기관과의 협조와 상담과 관련된 학생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상담활동의 새로운 방향을 정립해 나가는 것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중등학교 상담실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여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소재 10개 중학교 2학년 학생 300명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00명 그리고 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학교상담실 운영 현황에 대한 학생과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학생용 설문지 22 문항, 교사용 설문지 23 문항을 만들어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학생용은 성별, 학교 급별로 분류하였고, 교사용은 일반교사와 상담 교사 그리고 경력별로 분류하여 평균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남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학교상담실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 학교상담실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학생이 적지 않으며 상담실의 이용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는 학생이 67.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상담실에 대한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학교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요구됨을 의미하고 있다. 한편 상담실의 이용 경험이 있는 학생은 16.7%에 불과하며 이용 경험이 있는 학생 중 상담이 도움이 되었다는 학생보다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반응을 보인 학생이 더 많았고 도움이 되지 못한 이유를 교사의 책임으로 돌린 학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 보아 학교상담실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상담프로그램의 개발과 상담교사의 연수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실태를 살펴보면 학생들과는 달리 교사들은 학교상담활동이 효과가 있다는 반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상담은 전문상담교사 보다는 내담자가 선택한 교사나 담임교사가 맡아야 한다고 응답하고 있어 상담의 연수가 전문상담교사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전 교사를 상대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2) 학교상담에 대한 학생의 요구 및 기대 학교에서 누군가와 상담을 하고 싶을 때가 있다는 학생이 66.8%에 이르며 또한 77.0%의 학생이 학교상담활동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로 고민하는 문제와 상담 학교 상담실에서 다뤄야 할 내용으로는 성적, 진학, 진로 문제, 교우 관계, 성격 및 가치관의 문제로 응답하여 학생들은 학교 상담실에서 주로 성적, 진학, 진로 문제, 교우관계, 성격 및 가치관의 문제에 관한 상담을 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교상담실의 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해야 할 바가 무엇인지를 시사해 주고 있다. 3)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및 문제점 상담관련 연수에 참여한 경험은 일반교사와 상담교사 간에 큰 차이가 있으며 주로 성적 및 학업문제나 진학, 진로문제, 성격과 가치관의 문제로 학생을 상담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가 95.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학생 상담 시 학생들과의 일체감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상담에 대한 지식과 기술보다는 레포의 형성을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상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일선 학교에서 상담실에 대한 홍보를 자주하는 학교는 47.9%인 반면 안 한다고 생각하는 학교도 52.1%나 되었으며 교사들은 학교상담에 참여도가 낮은 이유를 상담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학생들에게 도움이 안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사들은 지식과 기술의 부족과 과중한 업무가 상담활동의 저해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상담에 대하여 학교장은 관심이 있는 편이나 교육청과 연구 기관 등의 관심은 부족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학교상담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담활동의 다양화와 교육청의 관심과 지원 및 전문상담교사의 배치를 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비추어 볼 때 상담프로그램의 보급 등 교육청의 지원과 적극적인 홍보, 교원 연수가 선행되어야 학교상담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외부 상담기관과의 협조와 상담과 관련된 학생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상담활동의 새로운 방향을 정립해 나가는 것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This study worked out to present an actionable planning after I researched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counselor office in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is study, I made 22 questions for students, 23 questions for teachers so that I surveyed 300 second year students of middle sc...
This study worked out to present an actionable planning after I researched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counselor office in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is study, I made 22 questions for students, 23 questions for teachers so that I surveyed 300 second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400 sophomores of high school in Jun-nam province in order to research the thoughts of students, teachers about the current situation with the operation of school counselor office. This data researched I divided the questions for students into gender, school class and the questions for teachers into the classroom teacher, school counselor, their career. And then I analyzed this data throughout crossing each other. The conclusion to appear through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with the recognition about school counselor office Many students had a negative thought about school counseling and 67.2 percent of those surveyed didn't know abou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unseling. This showed that many students didn't get any information on the school counseling, so through a lot of publicity campaign the information needed informing the students abou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unseling. While only 16.7 percent of those surveyed said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e school counseling,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didn't think they got a help from it of 16.7 percent was larger than the number who thought they did. And there were a lot of students who have thought it's the teacher's fault they couldn't get a help.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unseling programming and the training of school counselor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unseling seem to have to strengthen. When I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counseling which teachers are recognizing, teachers thought that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had the effectiveness, unlike students. They said that a homeroom teacher or the classroom teacher who the student choose had better take charge of their counseling rather tha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Therefore the training of counseling should not limit just school counselors and it has to give a chance to the whole teacher. 2) The requirement and the expectation of the student about school counseling 66.8 percent of students surveyed said that they wanted to have the time counseling with somebody when they have a problem at school, 77.4 percent felt the need of counseling. Their main problems were school grade, college entrance exam, finding a job after graduating, a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personality and the values, they suggested that the school counselor have to deal with this problems. This fact showed what to do for the application of school counseling 3) A concern and a problem with the teacher about school counseling The experience that teachers took part in counselor training course was quite different between the classroom teachers and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95.7 percent of teachers surveyed said that they experienced to consult with the student about school grade, college entrance exam, finding a job after graduating, a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personality and the values, many teachers though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feel the same emotion as the student when they consult with the student. Therefore the formation of the lepo seems to be the most important than the knowledge and the technique about the counseling. 4) The problems and an improvement planning of school counseling which teachers are recognizing. 47.9 percent of schools surveyed answered that they often give the information of school counselor office to their students, while 52.1 percent didn't inform it to them. Teachers thought the lower late of the participation to school counseling is because they can not be helpful to the students and they have a wrong recognition about school counseling. And the teacher thought that the obstruction factors of counseling activities were the shortage of the knowledge and the technique about school counseling, overwork and the principals were interested in school counseling but the office of education, the education research institution didn't have enough interests about school counseling. Compared with this problem the diffusion of various counseling programs, the support with the concern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a posting professional counselor to each school will have to be prior to other things. We also have to receive positively the requirement of student related to counseling with the cooperation of the other counseling center, and then we need to take a new direction of counseling activity.
This study worked out to present an actionable planning after I researched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counselor office in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is study, I made 22 questions for students, 23 questions for teachers so that I surveyed 300 second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400 sophomores of high school in Jun-nam province in order to research the thoughts of students, teachers about the current situation with the operation of school counselor office. This data researched I divided the questions for students into gender, school class and the questions for teachers into the classroom teacher, school counselor, their career. And then I analyzed this data throughout crossing each other. The conclusion to appear through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with the recognition about school counselor office Many students had a negative thought about school counseling and 67.2 percent of those surveyed didn't know abou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unseling. This showed that many students didn't get any information on the school counseling, so through a lot of publicity campaign the information needed informing the students abou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unseling. While only 16.7 percent of those surveyed said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e school counseling,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didn't think they got a help from it of 16.7 percent was larger than the number who thought they did. And there were a lot of students who have thought it's the teacher's fault they couldn't get a help.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unseling programming and the training of school counselor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unseling seem to have to strengthen. When I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counseling which teachers are recognizing, teachers thought that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had the effectiveness, unlike students. They said that a homeroom teacher or the classroom teacher who the student choose had better take charge of their counseling rather tha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Therefore the training of counseling should not limit just school counselors and it has to give a chance to the whole teacher. 2) The requirement and the expectation of the student about school counseling 66.8 percent of students surveyed said that they wanted to have the time counseling with somebody when they have a problem at school, 77.4 percent felt the need of counseling. Their main problems were school grade, college entrance exam, finding a job after graduating, a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personality and the values, they suggested that the school counselor have to deal with this problems. This fact showed what to do for the application of school counseling 3) A concern and a problem with the teacher about school counseling The experience that teachers took part in counselor training course was quite different between the classroom teachers and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95.7 percent of teachers surveyed said that they experienced to consult with the student about school grade, college entrance exam, finding a job after graduating, a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personality and the values, many teachers though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feel the same emotion as the student when they consult with the student. Therefore the formation of the lepo seems to be the most important than the knowledge and the technique about the counseling. 4) The problems and an improvement planning of school counseling which teachers are recognizing. 47.9 percent of schools surveyed answered that they often give the information of school counselor office to their students, while 52.1 percent didn't inform it to them. Teachers thought the lower late of the participation to school counseling is because they can not be helpful to the students and they have a wrong recognition about school counseling. And the teacher thought that the obstruction factors of counseling activities were the shortage of the knowledge and the technique about school counseling, overwork and the principals were interested in school counseling but the office of education, the education research institution didn't have enough interests about school counseling. Compared with this problem the diffusion of various counseling programs, the support with the concern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a posting professional counselor to each school will have to be prior to other things. We also have to receive positively the requirement of student related to counseling with the cooperation of the other counseling center, and then we need to take a new direction of counseling activ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