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와 학생의 상담실태 및 상담요구를 조사하여, 교사와 학생간의 상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학교상담 활성화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학생407명과 같은 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용과 교사용의 두 가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학교는 임의 선정하였고,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 학교별로 일정한 수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일정 규모 이상의 비교적 큰 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상담실태 및 학교상담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용과 교사용 설문지로 구분하고 각각의 질문의 문항에 응답을 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수집된 질문지를 코딩작업을 거쳐 다음과 같은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학생과 교사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와 학생의 상담실태 및 상담요구를 조사하여, 교사와 학생간의 상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학교상담 활성화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학생407명과 같은 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용과 교사용의 두 가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학교는 임의 선정하였고,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 학교별로 일정한 수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일정 규모 이상의 비교적 큰 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상담실태 및 학교상담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용과 교사용 설문지로 구분하고 각각의 질문의 문항에 응답을 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수집된 질문지를 코딩작업을 거쳐 다음과 같은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학생과 교사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특성(성별, 학교별, 연령별 등)에 따라서 해당 설문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Crosstabulation Analysis)을 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18.0 for Window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검증하였다. 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교사가 인식한 중학교 상담활동 실태를 보면 상담실태 상담동기, 고민문제, 고민해결방법, 상담내용, 상담실 여부와 상담실 홍보는 성별과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을 하고 싶은 대상, 현재 고민 내용, 학교에서 상담대상, 교사와 상담한 내용, 상담의 효과성, 상담이 도움이 안 되는 이유, 학교상담실 여부, 상담실 이용방법은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가 인식한 상담의 실태를 보면 성별, 경력에 따라 상담자를 선택할 때 염두에 두는 것, 상담연수교육, 상담활동을 위한 지식 기술을 얻는 곳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교상담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을 보면 학교상담활동 필요성, 상담활동의 여부, 상담교사의 역할, 상담자를 선택한 이유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상담활동 평가, 상담실의 역할에 관해서는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학교상담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 및 활성화 방안을 보면 상담 장소, 소유시간. 원하는 상담 형태, 상담교사의 성별, 상담교사의 유형, 학교상담활동 필요성, 상담활동에 대한 평가, 상담교사의 역할, 원활한 상담이 되기 위한 요소는 성별에 따른 유의를 보였고, 상담내용과 상담교사의 성별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서 후속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은 성적 및 진로에 대하여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학교에 상담실이 설치되어 있고, 학교의 상담실의 유무를 알고 있지만 학생들은 주로 교무실에서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진행하고 있고, 그로 인한 상담이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상담자로 친구나 선배를 원하고 있으므로, 또래 상담자를 양성해야 한다. 둘째. 중학교의 대부분 교사는 학교에서 상담교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전문상담 교사가 파견되어 적절한 상담을 진행해야 한다고 본다. 셋째, 학교 상담활동이 정착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급담임교사와 상담교사와의 원만한 정보교환과 상호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담임교사와 상담교사가 상담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상담에 대한 지속적인 훈련과 슈퍼비젼이 필요하다. 다섯째, 상담교사가 상담활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상담교사의 계약직이 아닌 정규직이나 무 계약직으로 전환을 하여 학교전문성 있는 교사로 상담을 하는 학교상담이 실시 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와 학생의 상담실태 및 상담요구를 조사하여, 교사와 학생간의 상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학교상담 활성화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학생407명과 같은 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용과 교사용의 두 가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학교는 임의 선정하였고,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 학교별로 일정한 수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일정 규모 이상의 비교적 큰 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상담실태 및 학교상담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용과 교사용 설문지로 구분하고 각각의 질문의 문항에 응답을 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수집된 질문지를 코딩작업을 거쳐 다음과 같은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학생과 교사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특성(성별, 학교별, 연령별 등)에 따라서 해당 설문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Crosstabulation Analysis)을 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18.0 for Window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검증하였다. 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교사가 인식한 중학교 상담활동 실태를 보면 상담실태 상담동기, 고민문제, 고민해결방법, 상담내용, 상담실 여부와 상담실 홍보는 성별과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을 하고 싶은 대상, 현재 고민 내용, 학교에서 상담대상, 교사와 상담한 내용, 상담의 효과성, 상담이 도움이 안 되는 이유, 학교상담실 여부, 상담실 이용방법은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가 인식한 상담의 실태를 보면 성별, 경력에 따라 상담자를 선택할 때 염두에 두는 것, 상담연수교육, 상담활동을 위한 지식 기술을 얻는 곳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교상담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을 보면 학교상담활동 필요성, 상담활동의 여부, 상담교사의 역할, 상담자를 선택한 이유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상담활동 평가, 상담실의 역할에 관해서는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학교상담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 및 활성화 방안을 보면 상담 장소, 소유시간. 원하는 상담 형태, 상담교사의 성별, 상담교사의 유형, 학교상담활동 필요성, 상담활동에 대한 평가, 상담교사의 역할, 원활한 상담이 되기 위한 요소는 성별에 따른 유의를 보였고, 상담내용과 상담교사의 성별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서 후속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은 성적 및 진로에 대하여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학교에 상담실이 설치되어 있고, 학교의 상담실의 유무를 알고 있지만 학생들은 주로 교무실에서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진행하고 있고, 그로 인한 상담이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상담자로 친구나 선배를 원하고 있으므로, 또래 상담자를 양성해야 한다. 둘째. 중학교의 대부분 교사는 학교에서 상담교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전문상담 교사가 파견되어 적절한 상담을 진행해야 한다고 본다. 셋째, 학교 상담활동이 정착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급담임교사와 상담교사와의 원만한 정보교환과 상호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담임교사와 상담교사가 상담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상담에 대한 지속적인 훈련과 슈퍼비젼이 필요하다. 다섯째, 상담교사가 상담활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상담교사의 계약직이 아닌 정규직이나 무 계약직으로 전환을 하여 학교전문성 있는 교사로 상담을 하는 학교상담이 실시 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needs of middle school counseling and then facilitate effective counsel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vitalize school counseling.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needs of middle school counseling and then facilitate effective counsel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vitalize school counseling.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how is the present condition of counseling activities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in Daegu? Secondly, how is their awareness of school counseling? Thirdly, what are needs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school counseling of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was intended for 407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middle schools in Daegu and 205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same school as the students,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wo types of questionnaires: one is for students and the other for teachers. Those targeted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A certain quantity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ach school to secure universalit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in relatively large schools over a certain size. This study classified questionnaires into two types for students and teachers respectively and encouraged them to answer each of the questions in order to review the present condition of middle school counseling and needs of school counseling. Additionally,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every collect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study . First, this study applied frequency analysis that calculates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each ques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wareness and needs of school counseling as well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this study conducted -verification through crosstabulat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response to pertinent ques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ch as sex, school, and age. SPSS 18.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as used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this study,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at level of 5%. Using the research method above, the results were released as follows. Firstly, the present condition of middle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that teachers and students are aware of indicates that present counseling condition, counseling motivation, problems, solutions to problems, counseling contents, existence and publicity of a counseling center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x of students. In addition, who they want to ask for counseling, current worries, who they take counsel with in school, what they talked about with their teacher, how effective counseling is, why counseling is not helpful, whether or not there is a counseling center in the school, and how they use a counseling center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of students. Secondly, the present condition of counseling that teachers are aware of significantly indicates that when they choose a school counselor, teachers consider not only sex and working experience but also the number of counseling during the week, counseling training or education and the place to acquire knowledge and techniques needed for counseling. Thirdly, the students' awareness of school counseling indicates that the necessity for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experience of counseling activities, roles of school counselors, reasons of choosing a counselor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x of students. The need of counseling activities in school life, evaluation of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and roles of a counseling center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of students. Fourth, considering students' needs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school counseling, a place and time for counseling, counseling forms, sex of counselors, types of counselors, necessity of counseling activities, evaluation of counseling activities, roles of counselors, and factors to make counseling effectiv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x of students, and counseling content and sex of counselo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of students. The proponent suggests followings based on the above results. Firstly, students have problems with grades and career. Although a counseling center is established in most schools and students know that there is a counseling center in their school, they have counseling with their homeroom teacher in the teachers' office. As a result, the fact is that the school counseling center has not properly functioned. Therefore, peer counselors need to be nurtured since students want friends and seniors to be their counselor. Secondly, most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are aware of the necessity of school counselors; thus, it is required that licensed professional counselors need to be sent to each school and appropriately deal with counseling. Thirdly, amicable information exchange and complementary cooperation between homeroom teachers and counselors are necessary to establish and vitalize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Fourthly, constant training and supervision regarding counseling are needed for homeroom teachers and school counselors to enhance the effect of counseling. Fifthly, in order for school counselors to vitalize counseling activities, there must be a system that will change temporary positions of school counselors to more permanent ones and enable them to adequately perform their counseling duties in a professional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needs of middle school counseling and then facilitate effective counsel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vitalize school counseling.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how is the present condition of counseling activities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in Daegu? Secondly, how is their awareness of school counseling? Thirdly, what are needs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school counseling of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was intended for 407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middle schools in Daegu and 205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same school as the students,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wo types of questionnaires: one is for students and the other for teachers. Those targeted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A certain quantity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ach school to secure universalit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in relatively large schools over a certain size. This study classified questionnaires into two types for students and teachers respectively and encouraged them to answer each of the questions in order to review the present condition of middle school counseling and needs of school counseling. Additionally,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every collect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study . First, this study applied frequency analysis that calculates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each ques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wareness and needs of school counseling as well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this study conducted -verification through crosstabulat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response to pertinent ques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ch as sex, school, and age. SPSS 18.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as used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this study,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at level of 5%. Using the research method above, the results were released as follows. Firstly, the present condition of middle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that teachers and students are aware of indicates that present counseling condition, counseling motivation, problems, solutions to problems, counseling contents, existence and publicity of a counseling center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x of students. In addition, who they want to ask for counseling, current worries, who they take counsel with in school, what they talked about with their teacher, how effective counseling is, why counseling is not helpful, whether or not there is a counseling center in the school, and how they use a counseling center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of students. Secondly, the present condition of counseling that teachers are aware of significantly indicates that when they choose a school counselor, teachers consider not only sex and working experience but also the number of counseling during the week, counseling training or education and the place to acquire knowledge and techniques needed for counseling. Thirdly, the students' awareness of school counseling indicates that the necessity for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experience of counseling activities, roles of school counselors, reasons of choosing a counselor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x of students. The need of counseling activities in school life, evaluation of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and roles of a counseling center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of students. Fourth, considering students' needs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school counseling, a place and time for counseling, counseling forms, sex of counselors, types of counselors, necessity of counseling activities, evaluation of counseling activities, roles of counselors, and factors to make counseling effectiv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x of students, and counseling content and sex of counselo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of students. The proponent suggests followings based on the above results. Firstly, students have problems with grades and career. Although a counseling center is established in most schools and students know that there is a counseling center in their school, they have counseling with their homeroom teacher in the teachers' office. As a result, the fact is that the school counseling center has not properly functioned. Therefore, peer counselors need to be nurtured since students want friends and seniors to be their counselor. Secondly, most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are aware of the necessity of school counselors; thus, it is required that licensed professional counselors need to be sent to each school and appropriately deal with counseling. Thirdly, amicable information exchange and complementary cooperation between homeroom teachers and counselors are necessary to establish and vitalize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Fourthly, constant training and supervision regarding counseling are needed for homeroom teachers and school counselors to enhance the effect of counseling. Fifthly, in order for school counselors to vitalize counseling activities, there must be a system that will change temporary positions of school counselors to more permanent ones and enable them to adequately perform their counseling duties in a professional mann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