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숙자 도살풀이춤의 무대화 전이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ge patterns transition of Kim Sook-ja's Dosalpuri dance 원문보기


곽은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체육학부무용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춤의 근원이 되는 무(巫)를 이해하고 무속의 가치와 굿에의한 춤이 예술의 한 형태로 인정받고, 또 보존적인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는 점을 표명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경기도당굿을 유지하고 무대예술로 변화·발전하여 전통춤의 맥을 이어온 김숙자의 도살풀이춤을 무대화 된 특성과 전이과정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여러 종류의 무속신앙 중 도당굿은 같은 마을사람들이 한데 모여 그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으로 세습무적인 성격을 지니는데, 세습무는 가계적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다른 굿에 비해 예술성이 두드러 진다. 이러한 세습무가의 후예로 경기도당굿을 두루 경유한 김숙자는 도살풀이춤의 무대양식을 시도하였다. 즉 김숙자의 도살풀이춤은 다른 살풀이춤에 비해 무속적인 성향이 가장 짙으면서도 무대양식화를 거쳐 무대예술로 정착된 양면성을 지닌 춤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의미를 갖는 김숙자 도살풀이춤을 도당굿에서부터 무대위에 올려지기 까지의 전이된 과정 연구를 통해 무용과 음악 그리고 도구인 수건과 의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무대공간 활용에 나타난 외형적형태성과 무대공간에 나타난 내면적표현성으로 분류하여 규명하였다. 이에 도살풀이춤에 기초적 영향을 준 도당굿에 대하여 이해 할 수 있었으며, 무대위에서의 도살풀이춤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점을 발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지을 수 있었다. 첫째. 무용적 측면을 살펴 본 결과 도살풀이춤외 원형이 경기도당굿에서 추어졌다는 근거와 경기무악인 도살풀이곡에 맞추어 추어진 것은 확실하나 김숙자가 소리와 권번에서 전수되던 각종 춤을 배우게 된 것을 바탕으로 짐작하여 보면 김숙자의 도살풀이춤은 창우들에 의해 미적형식을 갖추게 된 교방계열의 민속무용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무용적 측면의 외형적형태성에는 평면적구조인 발동작을 중심으로한 춤길과 입체적구조인 무진법을 통한 무대위에서의 몸통방향과 팔의 공간사용을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 발동작과 함께 이루어진 춤길에서는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공간활용과 함께 무대 전체를 지그재그형식이나 타원형식, 측면의 사용 등으로 골고루 사용하였고, 수건과 팔동작을 이용한 입체적 공간은 긴수건을 이용하여 끊임없는 연속적 공간성을 만들어 낸다. 또한 정면과 사선앞의 무대사용은 무용수의 내면감정을 잘 표현하고 프로시니엄 무대에 맞게 형식화 되어진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내면적표현성의 강한 호흡과 함께 이뤄진 춤사위에는 강한 긴장감과 역동성이 느껴지며 이는 내면적 한의 맺힘을 풀어내고자 하는 인간적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어르는 사위>, <멈추는 사위>, <수건을 뿌리는사위> 와 <목젖놀음>의 춤사위에서는 경기도당굿을 두루 경유한 김숙자만의 독특한 표현으로, 여기서는 한과 신명을 표현한 것으로 서민무용의 상징적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음악적 측면의 결과 정기무악인 '도살풀이' 곡은 경기사나위 무악연주자들의 작고로 인하여 전승과 보존이 어려워 현재 도살풀이춤은 남도시나위곡인 '살풀이' 곡에 맞추어지고 있다. 넷째. 도구적 측면에는 도살풀이춤의 특징인 긴수건과 의상의 전이과정을 살펴 보았는데, 긴수건은 도당굿에서 들고 추었던 쌀자루, 전대, 필목의 변형으로 수원·안성지방에서 쌍수건을 들고 추었던 것이 김숙자에 의해 무대에 올려지면서 길게 변형된 것이다. 의상의 경우 무속적 색체가 가장 짙은 것으로 도살풀이춤이 무속에 가깝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도구가 된다. 따라서 도당굿에서의 다양한 의식무들은 전통무용의 근원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는 김숙자 도살풀이춤이 무대화 하는데 기틀을 마련하게 된 계기가 되었고, 시대적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 'shamanism' or a source of our traditional dance and recognize the dance based on the value and exorcism of shamanism as a form of art and emphasize its qualification to be preserved. For this purpose, Kim Sook-ja's Dosalpuri dance based on Kyonggidoda...

주제어

#김숙자 도살풀이춤 전이과정 

학위논문 정보

저자 곽은경
학위수여기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체육학부무용전공
발행연도 2003
총페이지 viii, 70p.
키워드 김숙자 도살풀이춤 전이과정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9285531&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