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고종이 대원군 집정에서 벗어나 친정체제를 형성하게 된 과정과 그 성격을 밝히고 있다.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아버지인 대원군에게 정사를 위임하였던 고종은 성년이 된 즈음에 친정에 대한 관심을 가졌다. 그런데 고종의 정치적 역할은, 그가 매우 유약하여 대원군과 민비의 힘에 의해 이끌려 다닌 무능한 군주였다고 파악하고 있다. 당시 정치 상황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종의 정치적 역할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기 고종을 제외한 어느 누구도 정치 권력의 정통성을 대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대원군의 10년 집정을 무너뜨리고 고종의 친정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은 무엇인가?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원군 하야 이후 고종의 친정 체제가 형성되는 시기, 정치 세력이 교체되어 가는 모습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 Ⅱ장에서는 고종과 친정 세력들이 친정 실시를 위한 여건을 조성해 가는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고종은 계속되는 진강을 통해 학문적으로 성숙해 갔고, 청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면서 동치제의 친정에 대한 관심을 높여 친정에 대한 자신의 의지를 굳혀갔다. 더불어 국왕 고종의 위치를 높이기 위한 존호올리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제 Ⅲ장에서는 친정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던 최익현 상소와 고종의 친정 선포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미 성년이 된 고종이 친정의지를 밝혔고 조대비와 민씨척족 등을 친정세력으로 결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최익현 상소는 대원군의 집권 명분을 약화시켰다. 그리고 사헌부 장령 홍시형의 상소에 의거해 고종은 대원군 집권기와의 차별적인 정책을 단행하였다. 고종은 최익현 상소에 대한 시비를 가리는 속에서 자신의 친정 의사를 확실하게 밝히고 있었다. 그리고 정부 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고종은 시종일관 자신의 뜻을 꺾지 않았다. 제 Ⅳ장에서는 고종이 친정 체제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알아보고, 체제의 성격을 파악해 보았다. 고종의 대표적인 친위 세력으로 활약한 인물들은 조영하로 대표되는 풍양 조씨 세력, 민규호 · 민겸호 등을 중심으로 한 여흥 민씨 세력, 그리고 이최응과 이재원 등 일부 종친 세력들이었다. 고종은 이들을 의정부의 유사당상 등 실무직이나 군사와 재정을 관할하는 호조, 병조, 중앙 군영의 대장, 무위소도통사와 제조 등 국가의 핵심 부서에 임명하면서 친정체제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고종은 다양한 정치세력이 공존할 수 있는 체제를 구상하지 못하였다. 이 때문에 민승호, 민규호, 민치상 등을 중심으로 한 민씨척족세력이 인사와 군사, 재정권을 장악하면서 고종 친정체제 형성기 주체세력으로 급부상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명성왕후 민비와 혈연적 유대를 강화하면서 최대 세력으로 성장하였고, 개항이후 권력을 독점하였다. 이것은 국왕이 강력한 통치력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개항이후 민씨척족이 중심이 된 자강정책이 추진되었지만 일반 백성들과 유리되면서 임오군란과 ...
이 논문은 고종이 대원군 집정에서 벗어나 친정체제를 형성하게 된 과정과 그 성격을 밝히고 있다.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아버지인 대원군에게 정사를 위임하였던 고종은 성년이 된 즈음에 친정에 대한 관심을 가졌다. 그런데 고종의 정치적 역할은, 그가 매우 유약하여 대원군과 민비의 힘에 의해 이끌려 다닌 무능한 군주였다고 파악하고 있다. 당시 정치 상황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종의 정치적 역할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기 고종을 제외한 어느 누구도 정치 권력의 정통성을 대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대원군의 10년 집정을 무너뜨리고 고종의 친정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은 무엇인가?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원군 하야 이후 고종의 친정 체제가 형성되는 시기, 정치 세력이 교체되어 가는 모습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 Ⅱ장에서는 고종과 친정 세력들이 친정 실시를 위한 여건을 조성해 가는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고종은 계속되는 진강을 통해 학문적으로 성숙해 갔고, 청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면서 동치제의 친정에 대한 관심을 높여 친정에 대한 자신의 의지를 굳혀갔다. 더불어 국왕 고종의 위치를 높이기 위한 존호올리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제 Ⅲ장에서는 친정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던 최익현 상소와 고종의 친정 선포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미 성년이 된 고종이 친정의지를 밝혔고 조대비와 민씨척족 등을 친정세력으로 결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최익현 상소는 대원군의 집권 명분을 약화시켰다. 그리고 사헌부 장령 홍시형의 상소에 의거해 고종은 대원군 집권기와의 차별적인 정책을 단행하였다. 고종은 최익현 상소에 대한 시비를 가리는 속에서 자신의 친정 의사를 확실하게 밝히고 있었다. 그리고 정부 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고종은 시종일관 자신의 뜻을 꺾지 않았다. 제 Ⅳ장에서는 고종이 친정 체제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알아보고, 체제의 성격을 파악해 보았다. 고종의 대표적인 친위 세력으로 활약한 인물들은 조영하로 대표되는 풍양 조씨 세력, 민규호 · 민겸호 등을 중심으로 한 여흥 민씨 세력, 그리고 이최응과 이재원 등 일부 종친 세력들이었다. 고종은 이들을 의정부의 유사당상 등 실무직이나 군사와 재정을 관할하는 호조, 병조, 중앙 군영의 대장, 무위소도통사와 제조 등 국가의 핵심 부서에 임명하면서 친정체제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고종은 다양한 정치세력이 공존할 수 있는 체제를 구상하지 못하였다. 이 때문에 민승호, 민규호, 민치상 등을 중심으로 한 민씨척족세력이 인사와 군사, 재정권을 장악하면서 고종 친정체제 형성기 주체세력으로 급부상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명성왕후 민비와 혈연적 유대를 강화하면서 최대 세력으로 성장하였고, 개항이후 권력을 독점하였다. 이것은 국왕이 강력한 통치력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개항이후 민씨척족이 중심이 된 자강정책이 추진되었지만 일반 백성들과 유리되면서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이 발생하고 고종의 지지기반은 점차 축소되었던 것이다.
이 논문은 고종이 대원군 집정에서 벗어나 친정체제를 형성하게 된 과정과 그 성격을 밝히고 있다.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아버지인 대원군에게 정사를 위임하였던 고종은 성년이 된 즈음에 친정에 대한 관심을 가졌다. 그런데 고종의 정치적 역할은, 그가 매우 유약하여 대원군과 민비의 힘에 의해 이끌려 다닌 무능한 군주였다고 파악하고 있다. 당시 정치 상황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종의 정치적 역할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기 고종을 제외한 어느 누구도 정치 권력의 정통성을 대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대원군의 10년 집정을 무너뜨리고 고종의 친정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은 무엇인가?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원군 하야 이후 고종의 친정 체제가 형성되는 시기, 정치 세력이 교체되어 가는 모습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 Ⅱ장에서는 고종과 친정 세력들이 친정 실시를 위한 여건을 조성해 가는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고종은 계속되는 진강을 통해 학문적으로 성숙해 갔고, 청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면서 동치제의 친정에 대한 관심을 높여 친정에 대한 자신의 의지를 굳혀갔다. 더불어 국왕 고종의 위치를 높이기 위한 존호올리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제 Ⅲ장에서는 친정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던 최익현 상소와 고종의 친정 선포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미 성년이 된 고종이 친정의지를 밝혔고 조대비와 민씨척족 등을 친정세력으로 결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최익현 상소는 대원군의 집권 명분을 약화시켰다. 그리고 사헌부 장령 홍시형의 상소에 의거해 고종은 대원군 집권기와의 차별적인 정책을 단행하였다. 고종은 최익현 상소에 대한 시비를 가리는 속에서 자신의 친정 의사를 확실하게 밝히고 있었다. 그리고 정부 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고종은 시종일관 자신의 뜻을 꺾지 않았다. 제 Ⅳ장에서는 고종이 친정 체제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알아보고, 체제의 성격을 파악해 보았다. 고종의 대표적인 친위 세력으로 활약한 인물들은 조영하로 대표되는 풍양 조씨 세력, 민규호 · 민겸호 등을 중심으로 한 여흥 민씨 세력, 그리고 이최응과 이재원 등 일부 종친 세력들이었다. 고종은 이들을 의정부의 유사당상 등 실무직이나 군사와 재정을 관할하는 호조, 병조, 중앙 군영의 대장, 무위소도통사와 제조 등 국가의 핵심 부서에 임명하면서 친정체제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고종은 다양한 정치세력이 공존할 수 있는 체제를 구상하지 못하였다. 이 때문에 민승호, 민규호, 민치상 등을 중심으로 한 민씨척족세력이 인사와 군사, 재정권을 장악하면서 고종 친정체제 형성기 주체세력으로 급부상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명성왕후 민비와 혈연적 유대를 강화하면서 최대 세력으로 성장하였고, 개항이후 권력을 독점하였다. 이것은 국왕이 강력한 통치력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개항이후 민씨척족이 중심이 된 자강정책이 추진되었지만 일반 백성들과 유리되면서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이 발생하고 고종의 지지기반은 점차 축소되었던 것이다.
This paper clarifies the formation and trait of Gojong's direct governing which was got out of Taewon'gun governing. Gojong succeeded at the tender age of twelve. At first the king's father, the Taewon'gun, himself assumed direction of the government. When Gojong came of age, he was naturally concer...
This paper clarifies the formation and trait of Gojong's direct governing which was got out of Taewon'gun governing. Gojong succeeded at the tender age of twelve. At first the king's father, the Taewon'gun, himself assumed direction of the government. When Gojong came of age, he was naturally concerned about direct governing. Due to his limited political role and weak personality, however, people judged him as an incompetent ruler who was led by the power of Taewon'gun and Queen Min. To understand political situation of those days, Gojong's political roles should be concerned sufficiently. At that time Gojong alone could be representatives of governmental power. So then what make it possible for Gojong to deprive Taewon'gun of the power which he had had for 10 years assumed direction government? To answer this question, I gave careful consideration of time the formation of Gojong's direct governing and the changes of political authorities started after Taewon'gun relinquished his power. In chapter Ⅰ, It takes a look at the preliminary process for Gojong and his supports to assume the reins of the government. Gojong became learned scientifically through taking a lecture and studied about the governing style of the king of China, Dong Chije, taking firm determination to assume direct governing. In addition, campaign was developed so as to rise a monarch Go-Jong's title. In chapter Ⅱ, It describes Ch'oe Ik-hyon's memorial offering a motive of Gojong's direct governing and the process of Gojong's proclamation to direct governing. The reason why Taewon'gun lost his power : First of all, Gojong, who had already come of age, clarified his attitude towards direct governing and grew closely related to Cho Dae-Bi and Min's family. Beside Ch'oe Ik-hyon submitted a memorial denouncing Taewon'gun. By the memorial of a high official of Sa Hun-bu, Hong Si-hyung, Gojong carried out a policy different from Taewon'gun. Gojong made clear hisattitude to direct governing in the course of discussing what was right or wrong about Ch'oe Ik-hyon's memorial. In spite of a government officials' objection, never he changed his mind. In chapter Ⅲ, It involves the process of Gojong's settling down in government and the character about a system of government. Gojong's supporters were Cho Young-ha leading PungYang Cho, Min Gyu-ho and Min-Kyom-ho leading Yeohung Min and relatives who were of a part the royal family including Yi Choi-eung and Yi Chae-one. Gojong constructed direct government system, appointing them as the primary authorities of government. However Gojong couldn't set up a system which enabled him to associate with a variety of statemen. That's why Min's family including Min Seung-ho, Min Gyu-ho and Min Chi-sang came to seize power rapidly in the course of Gojong's forming his direct government system, holding under the control of personnel management, military, and finance. And then, they had held monopoly of power since the opening of ports, making the most of close blood relationship with Queen Min. And this caused Gojong not to exercise sovereign power properly. Although Min's family had carried out Enlightenment policy since the opening of ports, people divide of policy such as the Military Mutiny of 1882, Gabsin Jongbeen happened. So Gojong's supporting footholds were gradually reduced.
This paper clarifies the formation and trait of Gojong's direct governing which was got out of Taewon'gun governing. Gojong succeeded at the tender age of twelve. At first the king's father, the Taewon'gun, himself assumed direction of the government. When Gojong came of age, he was naturally concerned about direct governing. Due to his limited political role and weak personality, however, people judged him as an incompetent ruler who was led by the power of Taewon'gun and Queen Min. To understand political situation of those days, Gojong's political roles should be concerned sufficiently. At that time Gojong alone could be representatives of governmental power. So then what make it possible for Gojong to deprive Taewon'gun of the power which he had had for 10 years assumed direction government? To answer this question, I gave careful consideration of time the formation of Gojong's direct governing and the changes of political authorities started after Taewon'gun relinquished his power. In chapter Ⅰ, It takes a look at the preliminary process for Gojong and his supports to assume the reins of the government. Gojong became learned scientifically through taking a lecture and studied about the governing style of the king of China, Dong Chije, taking firm determination to assume direct governing. In addition, campaign was developed so as to rise a monarch Go-Jong's title. In chapter Ⅱ, It describes Ch'oe Ik-hyon's memorial offering a motive of Gojong's direct governing and the process of Gojong's proclamation to direct governing. The reason why Taewon'gun lost his power : First of all, Gojong, who had already come of age, clarified his attitude towards direct governing and grew closely related to Cho Dae-Bi and Min's family. Beside Ch'oe Ik-hyon submitted a memorial denouncing Taewon'gun. By the memorial of a high official of Sa Hun-bu, Hong Si-hyung, Gojong carried out a policy different from Taewon'gun. Gojong made clear hisattitude to direct governing in the course of discussing what was right or wrong about Ch'oe Ik-hyon's memorial. In spite of a government officials' objection, never he changed his mind. In chapter Ⅲ, It involves the process of Gojong's settling down in government and the character about a system of government. Gojong's supporters were Cho Young-ha leading PungYang Cho, Min Gyu-ho and Min-Kyom-ho leading Yeohung Min and relatives who were of a part the royal family including Yi Choi-eung and Yi Chae-one. Gojong constructed direct government system, appointing them as the primary authorities of government. However Gojong couldn't set up a system which enabled him to associate with a variety of statemen. That's why Min's family including Min Seung-ho, Min Gyu-ho and Min Chi-sang came to seize power rapidly in the course of Gojong's forming his direct government system, holding under the control of personnel management, military, and finance. And then, they had held monopoly of power since the opening of ports, making the most of close blood relationship with Queen Min. And this caused Gojong not to exercise sovereign power properly. Although Min's family had carried out Enlightenment policy since the opening of ports, people divide of policy such as the Military Mutiny of 1882, Gabsin Jongbeen happened. So Gojong's supporting footholds were gradually reduc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