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형숙(2001)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의 연계 3N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도구로 사용하여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확인, 분류,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실무와 연구 및 교육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일개 대학 부속병원 일반외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유방암으로 진단 받아 유방절제술후에 항암치료를 받은 30명의 유방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1년 8월부터 2002년 7월까지 12개월간에 걸쳐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유형숙(2001)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의 연계 3N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도구로 사용하여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확인, 분류,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실무와 연구 및 교육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일개 대학 부속병원 일반외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유방암으로 진단 받아 유방절제술후에 항암치료를 받은 30명의 유방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1년 8월부터 2002년 7월까지 12개월간에 걸쳐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에서 일차 분석은 간호기록 및 간호과정 기록지(KardexⅡ)에 나타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자료를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분석용지 및 간호중재 분석용지를 통해 지도화 한 후 유형숙(2001)의 EXCEL과 SPSS 그리고 Acces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개발 된 간호과정 연계 3N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여 유방암 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이차분석으로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적용된 간호진단과 이에 따른 간호중재,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에 따라 제시된 간호결과목록은 실수,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연령은 40-49세 15명(50%)으로 제일 많았고 평균 연령은 46.3세였다. 결혼상태를 보면 대부분이 기혼(93.3%) 이었고 교육수준은 고졸 11명(36.8%)으로 제일 많았다. 대부분 직업이 없었으며(63.3%), 종교는 무교 10명(33.3%), 불교 9명(30%), 기독교 6명(20%), 천주교 5명(16.7%)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진단은 총 505개였는데 149개의 간호진단분류체계 중 26개 항목의 간호진단이 적용되었으며 교환영역의 간호진단이 15항목으로 가장 많았으며 감정영역, 기동영역과 인지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간호중재는 486개의 간호중재분류체계 중 250 항목(51.4%)의 간호중재가 적용되었으며 생리적 복합영역이 가장 많았으며 생리적 기본영역, 행동영역, 안전영역, 건강체계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중재군별로는 위험관리군별 간호중재가 18.6%로 가장 많았으며 대처보조군, 투약관리군, 피부/창상관리군, 신체안위도모군, 활동 및 운동관리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간호결과는 간호결과분류체계 250개 중 28 항목(11.2%)의 간호결과가 적용되었으며 건강행위군이 24.2%로 가장 많았으며 안위상태군, 조직 통합성군, 체력유지군, 면역반응군, 대사조절군, 기동군, 배설군, 자기통제군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3N 간호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의 연계를 구축한 본 연구결과는 간호과정의 강의나 실습에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와 관련된 연구 및 실무에도 적용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주요개념: 유방암환자,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본 연구는 유형숙(2001)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의 연계 3N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도구로 사용하여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확인, 분류,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실무와 연구 및 교육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일개 대학 부속병원 일반외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유방암으로 진단 받아 유방절제술후에 항암치료를 받은 30명의 유방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1년 8월부터 2002년 7월까지 12개월간에 걸쳐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에서 일차 분석은 간호기록 및 간호과정 기록지(KardexⅡ)에 나타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자료를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분석용지 및 간호중재 분석용지를 통해 지도화 한 후 유형숙(2001)의 EXCEL과 SPSS 그리고 Acces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개발 된 간호과정 연계 3N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여 유방암 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이차분석으로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적용된 간호진단과 이에 따른 간호중재,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에 따라 제시된 간호결과목록은 실수,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연령은 40-49세 15명(50%)으로 제일 많았고 평균 연령은 46.3세였다. 결혼상태를 보면 대부분이 기혼(93.3%) 이었고 교육수준은 고졸 11명(36.8%)으로 제일 많았다. 대부분 직업이 없었으며(63.3%), 종교는 무교 10명(33.3%), 불교 9명(30%), 기독교 6명(20%), 천주교 5명(16.7%)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진단은 총 505개였는데 149개의 간호진단분류체계 중 26개 항목의 간호진단이 적용되었으며 교환영역의 간호진단이 15항목으로 가장 많았으며 감정영역, 기동영역과 인지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간호중재는 486개의 간호중재분류체계 중 250 항목(51.4%)의 간호중재가 적용되었으며 생리적 복합영역이 가장 많았으며 생리적 기본영역, 행동영역, 안전영역, 건강체계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중재군별로는 위험관리군별 간호중재가 18.6%로 가장 많았으며 대처보조군, 투약관리군, 피부/창상관리군, 신체안위도모군, 활동 및 운동관리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간호결과는 간호결과분류체계 250개 중 28 항목(11.2%)의 간호결과가 적용되었으며 건강행위군이 24.2%로 가장 많았으며 안위상태군, 조직 통합성군, 체력유지군, 면역반응군, 대사조절군, 기동군, 배설군, 자기통제군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3N 간호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의 연계를 구축한 본 연구결과는 간호과정의 강의나 실습에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와 관련된 연구 및 실무에도 적용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