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그 성과지표로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로의 고용여부, 직업유지기간이라는 양적인 연구성과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이에 비하여 질적인 성과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인 감정인 직무만족과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들과의 관계를 밝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고용시장에 진입한 정신장애인이 만족스러운 직업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2)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개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은 어떠한가·
3)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은 어떠한가·
4)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의 특성은 어떠한가·
5) 취업한 정신장애인 개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6)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먼저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에 대한 선행연구조사와 함께 직무만족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파악되는 개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과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경기지역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등 21개기관에서 취업상태를 1개월 이상 유지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8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Pearson's ...
지금까지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그 성과지표로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로의 고용여부, 직업유지기간이라는 양적인 연구성과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이에 비하여 질적인 성과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인 감정인 직무만족과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들과의 관계를 밝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고용시장에 진입한 정신장애인이 만족스러운 직업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2)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개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은 어떠한가·
3)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은 어떠한가·
4)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의 특성은 어떠한가·
5) 취업한 정신장애인 개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6)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먼저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에 대한 선행연구조사와 함께 직무만족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파악되는 개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과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경기지역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등 21개기관에서 취업상태를 1개월 이상 유지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8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집단간 차이를 보기 위해 ANOVA와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개인의 직업적 요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자기효능감은 직업의 종류에 따라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취업의지는 취업형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환경적 요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지각된 사회적 편견이 결혼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결혼상태와 성별에 따라 집단간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직무만족과 요인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작업환경만족도는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작업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사대상자의 지각된 사회적 편견은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가장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통해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정신장애인의 환경적인 만족의 중요성은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있어서 개인적인 능력의 향상과 함께 질적으로 만족스러운 직업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정신장애인이 취업활동중에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원만한 대인관계, 물리적인 환경, 다른 사람의 편견없는 시선등 환경에 대한 만족을 통해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운 직업생활을 유지한다는 것을 임상가는 인식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임상현장의 전문가들은 정신장애인의 취업이 가능한 지역사회내의 자원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을 하고 있어야 하며, 지역사회에 정신장애인의 능력을 알리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활동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그 성과지표로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로의 고용여부, 직업유지기간이라는 양적인 연구성과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이에 비하여 질적인 성과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인 감정인 직무만족과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들과의 관계를 밝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고용시장에 진입한 정신장애인이 만족스러운 직업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2)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개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은 어떠한가·
3)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은 어떠한가·
4)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의 특성은 어떠한가·
5) 취업한 정신장애인 개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6)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먼저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에 대한 선행연구조사와 함께 직무만족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파악되는 개인의 직업적 요인(직업적응능력, 자기효능감, 취업의지)과 지각된 환경적 요인(작업환경만족도, 지각된 사회적 편견)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경기지역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등 21개기관에서 취업상태를 1개월 이상 유지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8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집단간 차이를 보기 위해 ANOVA와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개인의 직업적 요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자기효능감은 직업의 종류에 따라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취업의지는 취업형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환경적 요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지각된 사회적 편견이 결혼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결혼상태와 성별에 따라 집단간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직무만족과 요인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작업환경만족도는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작업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사대상자의 지각된 사회적 편견은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가장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통해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정신장애인의 환경적인 만족의 중요성은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있어서 개인적인 능력의 향상과 함께 질적으로 만족스러운 직업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정신장애인이 취업활동중에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원만한 대인관계, 물리적인 환경, 다른 사람의 편견없는 시선등 환경에 대한 만족을 통해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운 직업생활을 유지한다는 것을 임상가는 인식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임상현장의 전문가들은 정신장애인의 취업이 가능한 지역사회내의 자원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을 하고 있어야 하며, 지역사회에 정신장애인의 능력을 알리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활동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bjectiv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with mental illness, the factors of vocation of the workers with mental illness and the perceived environment factors. And then, according to the result, I devised some interventional methods to maintain job sa...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bjectiv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with mental illness, the factors of vocation of the workers with mental illness and the perceived environment factors. And then, according to the result, I devised some interventional methods to maintain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The study question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are as followed.
1) Which i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2) Which is vocational factors(job adjustment capacity, self-efficacy and job motiv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3) Which is the perceived environment factors(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perceived social prejudi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4) Which i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5)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factors(job adjustment ability, self-efficacy and job motivation)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and job satisfaction?
6)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environment factors(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perceived social prejudice)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and job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ed.
1.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has meaningful difference by job type, job-motivation of vocational factors has meaningful difference by employed type.
2.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erceived social prejudice has meaningful difference by marriage situation.
3.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has meaningful difference by marriage situation and gender.
4.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facto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meaningful positive 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 perceived social prejudice and job satisfaction have meaningful negative rel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proposed to improve environmental satisfaction.
Above all, the social worker must perceive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to satisfy with a physical environment and a human relationship. And then, The social worker must know the job resource of community as much as they can. Also keep trying to do public activities and education for the mental illness in community.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bjectiv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with mental illness, the factors of vocation of the workers with mental illness and the perceived environment factors. And then, according to the result, I devised some interventional methods to maintain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The study question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are as followed.
1) Which i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2) Which is vocational factors(job adjustment capacity, self-efficacy and job motiv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3) Which is the perceived environment factors(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perceived social prejudi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4) Which i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5)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factors(job adjustment ability, self-efficacy and job motivation)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and job satisfaction?
6)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environment factors(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perceived social prejudice) of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and job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ed.
1.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has meaningful difference by job type, job-motivation of vocational factors has meaningful difference by employed type.
2.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erceived social prejudice has meaningful difference by marriage situation.
3.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has meaningful difference by marriage situation and gender.
4.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facto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meaningful positive 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 perceived social prejudice and job satisfaction have meaningful negative rel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proposed to improve environmental satisfaction.
Above all, the social worker must perceive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employed workers with mental illness to satisfy with a physical environment and a human relationship. And then, The social worker must know the job resource of community as much as they can. Also keep trying to do public activities and education for the mental illness in commun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