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시력의 손실로 인해 인터넷의 웹 환경에서 정보를 이용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각장애인들이 웹 기반 학습 환경에 보다 원활하게 적응할 수 있게 해주는 전자교육 체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필요한 실증적 정보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수행하였다.첫째, 구체적 연구 활동의 토대가 되는 이론적 준거를 설정하기 위해 ...
이 연구는 시력의 손실로 인해 인터넷의 웹 환경에서 정보를 이용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각장애인들이 웹 기반 학습 환경에 보다 원활하게 적응할 수 있게 해주는 전자교육 체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필요한 실증적 정보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수행하였다.첫째, 구체적 연구 활동의 토대가 되는 이론적 준거를 설정하기 위해 시각장애 학습자의 감각적·인지적 특성, 그리고 장애인의 웹 접근성에 관한 기술현황 및 시각장애인의 웹 정보 접근 환경 등을 파악하고, 전자교육 체제의 구성과 기능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원리에 관한 최근의 연구를 고찰하였다.둘째, 이 이론적 준거에 기초하여 최근의 국내 전자교육 환경과 유형을 잘 반영할 것이라 판단되는 세 곳의 전자교육 기관을 지정하고, 해당 전자교육 기관이 제공하는 한 개씩의 교육용 콘텐츠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에 대해 이론적 준거에 기초하여 html tag 및 script를 분석함으로써 웹 기반 전자교육 체제의 인터페이스에서 시각장애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방해하는 기술적 측면의 요인을 규명하였다.셋째, html tag 및 script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시각장애 학습자의 웹 정보 접근 환경 및 활용 도구 사용에 능숙한 10명의 평가자들과 함께 연구대상이 된 전자교육 기관의 교육용 콘텐츠를 실제로 사용해가며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시각장애 학습자가 웹 기반 전자교육 학습 환경에서 경험하게 되는 활용적 측면의 방해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넷째, 위의 정량적, 정성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두 종류의 분석 결과, 즉 소스코드 분석과 사용편의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 학습자의 여러 가지 특성들을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는 웹 기반 전자교육 체제의 인터페이스 설계 및 개발에 필요한 실증적 정보와 기초자료를 도출하였다.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웹 기반 전자교육 체제 인터페이스에는 대체 텍스트 제공, 이미지 맵 처리, 프레임 처리, 대체 입력 처리 등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둘째, 웹 콘텐츠에 화면 깜박임이나 움직이는 글자 등이 존재할 경우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서는 이를 수정하거나 지양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사실은 화면낭독 프로그램과 전자점자 단말기를 주로 사용하는 시각장애 학습자의 경우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셋째, 전자교육 인터페이스에 대체 텍스트 제공, 이미지맵 처리, 프레임 처리, 그리고 대체 입력 처리 등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시각장애 학습자는 해당 개체나 컨트롤을 제작할 때 사용한 내부 명칭을 유추하거나 반복적 시행착오를 통해 해당 기능이나 정보의 내용을 인지하게 된다.넷째, SWF 형식의 개체나 컨트롤을 활용하여 구현된 인터페이스 요소가 대체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시각장애학습자는 해당 기능을 이용할 수 없거나 정보의 내용을 인지할 수 없다.다섯째, 전자교육 체제 인터페이스에 키보드 사용을 제한하는 script를 사용하는 것은 시각장애 학습자의 시스템 할용과 정보 접근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한다.여섯째, 전자교육 체제 인터페이스에 색상이나 크기 또는 형태의 차이가 곧 정보가 되는 요소가 있을 경우, 해당 요소에 추가 설명이나 대체 텍스트가 제공되지 않으면 시각장애 학습자는 해당 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다.일곱째, 시각장애 학습자는 청각이나 촉각에만 의존하여 전자교육 체제의 여러 가지 기능을 활용하기 때문에 전자교육 체제에서 이루어지는 거의 모든 학습활동에서 일반 학습자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 연구는 시력의 손실로 인해 인터넷의 웹 환경에서 정보를 이용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각장애인들이 웹 기반 학습 환경에 보다 원활하게 적응할 수 있게 해주는 전자교육 체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필요한 실증적 정보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수행하였다.첫째, 구체적 연구 활동의 토대가 되는 이론적 준거를 설정하기 위해 시각장애 학습자의 감각적·인지적 특성, 그리고 장애인의 웹 접근성에 관한 기술현황 및 시각장애인의 웹 정보 접근 환경 등을 파악하고, 전자교육 체제의 구성과 기능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원리에 관한 최근의 연구를 고찰하였다.둘째, 이 이론적 준거에 기초하여 최근의 국내 전자교육 환경과 유형을 잘 반영할 것이라 판단되는 세 곳의 전자교육 기관을 지정하고, 해당 전자교육 기관이 제공하는 한 개씩의 교육용 콘텐츠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에 대해 이론적 준거에 기초하여 html tag 및 script를 분석함으로써 웹 기반 전자교육 체제의 인터페이스에서 시각장애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방해하는 기술적 측면의 요인을 규명하였다.셋째, html tag 및 script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시각장애 학습자의 웹 정보 접근 환경 및 활용 도구 사용에 능숙한 10명의 평가자들과 함께 연구대상이 된 전자교육 기관의 교육용 콘텐츠를 실제로 사용해가며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시각장애 학습자가 웹 기반 전자교육 학습 환경에서 경험하게 되는 활용적 측면의 방해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넷째, 위의 정량적, 정성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두 종류의 분석 결과, 즉 소스코드 분석과 사용편의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 학습자의 여러 가지 특성들을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는 웹 기반 전자교육 체제의 인터페이스 설계 및 개발에 필요한 실증적 정보와 기초자료를 도출하였다.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웹 기반 전자교육 체제 인터페이스에는 대체 텍스트 제공, 이미지 맵 처리, 프레임 처리, 대체 입력 처리 등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둘째, 웹 콘텐츠에 화면 깜박임이나 움직이는 글자 등이 존재할 경우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서는 이를 수정하거나 지양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사실은 화면낭독 프로그램과 전자점자 단말기를 주로 사용하는 시각장애 학습자의 경우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셋째, 전자교육 인터페이스에 대체 텍스트 제공, 이미지맵 처리, 프레임 처리, 그리고 대체 입력 처리 등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시각장애 학습자는 해당 개체나 컨트롤을 제작할 때 사용한 내부 명칭을 유추하거나 반복적 시행착오를 통해 해당 기능이나 정보의 내용을 인지하게 된다.넷째, SWF 형식의 개체나 컨트롤을 활용하여 구현된 인터페이스 요소가 대체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시각장애학습자는 해당 기능을 이용할 수 없거나 정보의 내용을 인지할 수 없다.다섯째, 전자교육 체제 인터페이스에 키보드 사용을 제한하는 script를 사용하는 것은 시각장애 학습자의 시스템 할용과 정보 접근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한다.여섯째, 전자교육 체제 인터페이스에 색상이나 크기 또는 형태의 차이가 곧 정보가 되는 요소가 있을 경우, 해당 요소에 추가 설명이나 대체 텍스트가 제공되지 않으면 시각장애 학습자는 해당 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다.일곱째, 시각장애 학습자는 청각이나 촉각에만 의존하여 전자교육 체제의 여러 가지 기능을 활용하기 때문에 전자교육 체제에서 이루어지는 거의 모든 학습활동에서 일반 학습자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reliable information and empirically valid data referring to e-learning adaptive interface design for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To accomplish that purpose,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evaluation of three web-based learning contents in Korea w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reliable information and empirically valid data referring to e-learning adaptive interface design for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To accomplish that purpose,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evaluation of three web-based learning contents in Korea was performed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①A primitive metric of the compliance of those contents to the KWCAG(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was obtained using KADO-WAH, a widely used accessibility checker in Korea. ②They were also manually checked as to whether they satisfy the accessibility criteria. ③SGML validation test was carried out using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http:validator.w3.org). ④The usability test of those interfaces was carried out with ten participants using tree kinds of screen readers such as Dream Voice 6.0, EVE for Windows 2.0, and Sense Reader 2.0.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most of the tested e-learning interfaces do not provide a text equivalent for every non-text element(e.g., via 'alt', 'longdesc', or in element content). This includes images,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text(including symbols), image map regions, animations, applets and programmatic objects, ascii art, frames, scripts, images used as list bullets, spacers, graphical buttons, sounds(played with or without user interaction), stand-alone audio files, audio tracks of video, and video.Second, on the contrary to the result of prior research and most of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the result of usability test shows that using blinking or moving components in e-learning interface do not have influence on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using screen reader at all.Third, in case the e-learning interface component does not provide a text equivalent for every non-text element,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analogize the function or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at interface out of the object name or trial and error.Fourth, in case e-learning interface component implemented by SWF object does not provide equivalent alternatives for itself,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do not access that component at all.Fifth, if the script code cutting off the keyboard event is used in e-learning interface to protect the copyright of the learning data,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do not access that data at all.Sixth, if color or shape alone is used to convey information in the e-learning interface,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will not receive the information properly.Seventh, it takes the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so much more time and effort to finish the work in the e-learning system.Consequently, the adaptive interface design needs to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in developing the e-learning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reliable information and empirically valid data referring to e-learning adaptive interface design for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To accomplish that purpose,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evaluation of three web-based learning contents in Korea was performed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①A primitive metric of the compliance of those contents to the KWCAG(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was obtained using KADO-WAH, a widely used accessibility checker in Korea. ②They were also manually checked as to whether they satisfy the accessibility criteria. ③SGML validation test was carried out using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http:validator.w3.org). ④The usability test of those interfaces was carried out with ten participants using tree kinds of screen readers such as Dream Voice 6.0, EVE for Windows 2.0, and Sense Reader 2.0.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most of the tested e-learning interfaces do not provide a text equivalent for every non-text element(e.g., via 'alt', 'longdesc', or in element content). This includes images,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text(including symbols), image map regions, animations, applets and programmatic objects, ascii art, frames, scripts, images used as list bullets, spacers, graphical buttons, sounds(played with or without user interaction), stand-alone audio files, audio tracks of video, and video.Second, on the contrary to the result of prior research and most of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the result of usability test shows that using blinking or moving components in e-learning interface do not have influence on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using screen reader at all.Third, in case the e-learning interface component does not provide a text equivalent for every non-text element,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analogize the function or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at interface out of the object name or trial and error.Fourth, in case e-learning interface component implemented by SWF object does not provide equivalent alternatives for itself,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do not access that component at all.Fifth, if the script code cutting off the keyboard event is used in e-learning interface to protect the copyright of the learning data,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do not access that data at all.Sixth, if color or shape alone is used to convey information in the e-learning interface,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will not receive the information properly.Seventh, it takes the learners with visual disability so much more time and effort to finish the work in the e-learning system.Consequently, the adaptive interface design needs to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in developing the e-learning system.
Keyword
#웹 기반 교육
#전자교육
#인터페이스
#시각장애
#학습자 특성
#접근성
#사용편의성
#e-learning system
#web-based instruction
#interface design
#visual disability
#visually handicapped
#accessibility
#usability
학위논문 정보
저자
가현욱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교육학과
지도교수
이명근
발행연도
2006
총페이지
vi, 133 p.
키워드
웹 기반 교육,
전자교육,
인터페이스,
시각장애,
학습자 특성,
접근성,
사용편의성,
e-learning system,
web-based instruction,
interface design,
visual disability,
visually handicapped,
accessibility,
usabi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