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공간은 인간의 주생활 터전으로써 거주자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간이다. 이러한 주거공간은 사회 변화와 그에 따른 거주자들의 삶의 변화, 그리고 아파트 건설 상황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아파트 차별화계획이 전략적으로 시도되고 있는데, 이러한 차별화 전략은 기술 수준의 향상으로 점차 보편화 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안목이나 인식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는 보다 더 발전된 주거공간에 대한 요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더 다양한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가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주거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계획개념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차별화 계획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본 연구는 주거 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해 차별화 계획의 경향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차별화 계획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차별화가 도입되고 있는 공동주택의 계획현황을 조사하여 적용 비율을 살펴보고, 적용 정도가 미흡한 계획개념을 중심으로 향후 차별화 계획 방법을 사례를 통해 예시하고 있다.본 논문은 공동주택에서 적용되고 있는 주거 공간 계획 요소를 평면계획의 일반적인 특성과 공간별 평면 계획요소, 공간 감성요소, 편의 설비요소로 범주화하여 설명하고 있다.평면계획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공간 구성과 면적, bay 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40평형 이상에서 다양한 공간이 구성되어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다. 소형평면에서는 욕실2개나 드레스룸을 제공하는 사례가 있다. 그리고 20평형에 3bay를 제공하는 차별화 요소는 높은 비율로 3bay가 점차 일반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각 공간별 평면 계획요소를 분석한 결과 주동의 타워형이 늘어남에 따라 거실을 2면으로 개방한 사례가 나타나고, 가변형 벽체를 도입하여 거주자의 요구에 따른 공간 구성이 가능하다. 거실과 침실, 침실과 침실, 부엌과 침실 사이에 가변형 벽체가 적용된다. 부엌․식당 공간은 보조주방을 도입한 사례가 80.4%로 높은 비율을 보인다. 식당 공간이 거실과 함께 주거공간의 전면에 배치(19.2%)되거나 거실과 대면형(30.2%)으로 배치한 차별화가 나타난다. 침실공간에는 부부전용공간 위주로 제공되던 드레스룸이 점차 침실2에도 도입되고 있다. 현관은 발코니 확장에 따른 수납공간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현관창고가 18.6%로 차별화가 시도되고 있다.각 공간별로 나타나는 공간 감성요소는 트렌드를 제안하는 ...
주거공간은 인간의 주생활 터전으로써 거주자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간이다. 이러한 주거공간은 사회 변화와 그에 따른 거주자들의 삶의 변화, 그리고 아파트 건설 상황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아파트 차별화계획이 전략적으로 시도되고 있는데, 이러한 차별화 전략은 기술 수준의 향상으로 점차 보편화 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안목이나 인식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는 보다 더 발전된 주거공간에 대한 요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더 다양한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가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주거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계획개념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차별화 계획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본 연구는 주거 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해 차별화 계획의 경향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차별화 계획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차별화가 도입되고 있는 공동주택의 계획현황을 조사하여 적용 비율을 살펴보고, 적용 정도가 미흡한 계획개념을 중심으로 향후 차별화 계획 방법을 사례를 통해 예시하고 있다.본 논문은 공동주택에서 적용되고 있는 주거 공간 계획 요소를 평면계획의 일반적인 특성과 공간별 평면 계획요소, 공간 감성요소, 편의 설비요소로 범주화하여 설명하고 있다.평면계획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공간 구성과 면적, bay 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40평형 이상에서 다양한 공간이 구성되어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다. 소형평면에서는 욕실2개나 드레스룸을 제공하는 사례가 있다. 그리고 20평형에 3bay를 제공하는 차별화 요소는 높은 비율로 3bay가 점차 일반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각 공간별 평면 계획요소를 분석한 결과 주동의 타워형이 늘어남에 따라 거실을 2면으로 개방한 사례가 나타나고, 가변형 벽체를 도입하여 거주자의 요구에 따른 공간 구성이 가능하다. 거실과 침실, 침실과 침실, 부엌과 침실 사이에 가변형 벽체가 적용된다. 부엌․식당 공간은 보조주방을 도입한 사례가 80.4%로 높은 비율을 보인다. 식당 공간이 거실과 함께 주거공간의 전면에 배치(19.2%)되거나 거실과 대면형(30.2%)으로 배치한 차별화가 나타난다. 침실공간에는 부부전용공간 위주로 제공되던 드레스룸이 점차 침실2에도 도입되고 있다. 현관은 발코니 확장에 따른 수납공간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현관창고가 18.6%로 차별화가 시도되고 있다.각 공간별로 나타나는 공간 감성요소는 트렌드를 제안하는 공간요소, 인테리어의 고급화, 고급 마감재 사용, 기능적인 고급화, 건강개념의 시각에서 분석한 사례를 설명한다.편의 설비 계획요소는 전반적으로 모든 단지에서 나타나고 있다. 첨단/보안/안전 설비는 현관과 거실을 위주로 가장 많은 설비가 있다. 생활편의 설비는 주방을 중심으로 가사노동 절감을 위한 개념이 도입되고 있으며,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실내 공기 질을 고려한 환기 시스템과 주방 자동 환기시스템, 절수형 비데나 수도꼭지, 멀티 온도조절 시스템 등이 적용되고 있다.이러한 현황분석을 통해 적용비율이 미흡한 계획요소를 중심으로 향후 주거공간의 차별화 계획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은 평면 계획 시 ‘다양화/개성화 개념’과 ‘공간의 분리와 연계’, ‘새로운 리빙 트렌드 제안’에 대한 차별화 계획을 도입하여 거실 공간 차별화를 제안한다. 주방 공간은 ‘수납공간 강화’와 ‘다양화/개성화 개념’, ‘첨단 설비’를 도입한 차별화 계획을 제안한다. 침실은 ‘다양화/개성화 개념’을 도입하여 수면공간을 특화시킨 차별화 계획을 제안한다.
주거공간은 인간의 주생활 터전으로써 거주자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간이다. 이러한 주거공간은 사회 변화와 그에 따른 거주자들의 삶의 변화, 그리고 아파트 건설 상황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아파트 차별화계획이 전략적으로 시도되고 있는데, 이러한 차별화 전략은 기술 수준의 향상으로 점차 보편화 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안목이나 인식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는 보다 더 발전된 주거공간에 대한 요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더 다양한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가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주거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계획개념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차별화 계획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본 연구는 주거 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해 차별화 계획의 경향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차별화 계획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차별화가 도입되고 있는 공동주택의 계획현황을 조사하여 적용 비율을 살펴보고, 적용 정도가 미흡한 계획개념을 중심으로 향후 차별화 계획 방법을 사례를 통해 예시하고 있다.본 논문은 공동주택에서 적용되고 있는 주거 공간 계획 요소를 평면계획의 일반적인 특성과 공간별 평면 계획요소, 공간 감성요소, 편의 설비요소로 범주화하여 설명하고 있다.평면계획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공간 구성과 면적, bay 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40평형 이상에서 다양한 공간이 구성되어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다. 소형평면에서는 욕실2개나 드레스룸을 제공하는 사례가 있다. 그리고 20평형에 3bay를 제공하는 차별화 요소는 높은 비율로 3bay가 점차 일반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각 공간별 평면 계획요소를 분석한 결과 주동의 타워형이 늘어남에 따라 거실을 2면으로 개방한 사례가 나타나고, 가변형 벽체를 도입하여 거주자의 요구에 따른 공간 구성이 가능하다. 거실과 침실, 침실과 침실, 부엌과 침실 사이에 가변형 벽체가 적용된다. 부엌․식당 공간은 보조주방을 도입한 사례가 80.4%로 높은 비율을 보인다. 식당 공간이 거실과 함께 주거공간의 전면에 배치(19.2%)되거나 거실과 대면형(30.2%)으로 배치한 차별화가 나타난다. 침실공간에는 부부전용공간 위주로 제공되던 드레스룸이 점차 침실2에도 도입되고 있다. 현관은 발코니 확장에 따른 수납공간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현관창고가 18.6%로 차별화가 시도되고 있다.각 공간별로 나타나는 공간 감성요소는 트렌드를 제안하는 공간요소, 인테리어의 고급화, 고급 마감재 사용, 기능적인 고급화, 건강개념의 시각에서 분석한 사례를 설명한다.편의 설비 계획요소는 전반적으로 모든 단지에서 나타나고 있다. 첨단/보안/안전 설비는 현관과 거실을 위주로 가장 많은 설비가 있다. 생활편의 설비는 주방을 중심으로 가사노동 절감을 위한 개념이 도입되고 있으며,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실내 공기 질을 고려한 환기 시스템과 주방 자동 환기시스템, 절수형 비데나 수도꼭지, 멀티 온도조절 시스템 등이 적용되고 있다.이러한 현황분석을 통해 적용비율이 미흡한 계획요소를 중심으로 향후 주거공간의 차별화 계획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은 평면 계획 시 ‘다양화/개성화 개념’과 ‘공간의 분리와 연계’, ‘새로운 리빙 트렌드 제안’에 대한 차별화 계획을 도입하여 거실 공간 차별화를 제안한다. 주방 공간은 ‘수납공간 강화’와 ‘다양화/개성화 개념’, ‘첨단 설비’를 도입한 차별화 계획을 제안한다. 침실은 ‘다양화/개성화 개념’을 도입하여 수면공간을 특화시킨 차별화 계획을 제안한다.
Recently, many factors including social changes, apartment construction status and changes to residents’ way of lives have raised interests on quality improvement of residential space as a main ground that influences directly to their own lives. Currently, many strategies to differentiate apartment ...
Recently, many factors including social changes, apartment construction status and changes to residents’ way of lives have raised interests on quality improvement of residential space as a main ground that influences directly to their own lives. Currently, many strategies to differentiate apartment house plans have been applied so far and they are getting more and more generalized due to technology development therefore raising consumer's insight and understandings on the apartment house plans. Furthermore, as we are prospecting that consumer's demands on better residential space would increase, more extensive yet thorough research is now inevitable to identify current status on differentiation of apartment hous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ture differentiation plans for residential space after identifying tendency towards current differentiation plans for enhancing quality of residential space. For this, current status of apartment house plans where differentiation is introduced is first researched to figure out how well the differentiation plans are actually applied to those apartment houses. Then, we choose several apartment houses where the differentiation plans are the least reflected. Finally, we are going to propose new differentiation plans to improve those apartment house plans.In this study, factors of residential space plan especially in an apartment house are categorized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on floor plan, factors for spatial floor plan, emotional factors of space, and convenient facility. First of all, general characteristics on floor plan are analyzed based on space organization, area and number of bays. Among apartment houses over 40 pyeong, it seems that differentiation is well applied with various space plans available. Also, we have witnessed several cases in smaller-sized apartment houses providing 2 bathrooms or a dress room. Meanwhile, even in apartment houses around 20 pyeong, many of them are increasingly provided with 3 bays showing high tendency for the differentiation plans. A result of an analysis on the factors for spatial floor plan shows that planning a living room with two-open-sides seems to be more common in the tower-shaped apartment blocks which are now on the increase. Moreover, many of them are adopting movable partitions to reflect resident’s various demands on space plan. For instance, movable partitions are used in between a living room and a bedroom, bedrooms, or a kitchen and a bedroom. Among all, the extra kitchen in the balcony is planned high portion of 80.4%. Sometimes, dining area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residential space along with a living room(19.2%). More frequently, dining area tends to face the living room(30.2%) according to the result. Besides, dress rooms begin to be placed in each of the bedroom, once planned in one bedroom only while 18.6% of the apartment houses are placing new storages in the entrance to solve lack of storage space due to balcony extension.Meanwhile, emotional factors of space are analyzed in terms of trending spatial factors, hi-end interior design, use of high quality materials, functional hi-end, and a health. Also, factors of convenient facility are generally identified in almost every housing block under investigation. High-tech security facilities are set mostly in the entrance and a living room whereas convenient living facilities are used mainly in the kitchen to lighten household labor. Even various ventilation systems and water-saving items as interests on the environment grow are now actively using in the apartment houses.Throughout the analysis, we have extracted insufficient planning factors to suggest more differentiated plans for future residential space. In a living room, more diverse yet unique floor plan while freely separating or connecting spaces shall be applied to create new living trend for the future. In this regard, here we have proposed a unique kitchen area with more concerns on storage area and a bedroom with specialized sleeping area.
Recently, many factors including social changes, apartment construction status and changes to residents’ way of lives have raised interests on quality improvement of residential space as a main ground that influences directly to their own lives. Currently, many strategies to differentiate apartment house plans have been applied so far and they are getting more and more generalized due to technology development therefore raising consumer's insight and understandings on the apartment house plans. Furthermore, as we are prospecting that consumer's demands on better residential space would increase, more extensive yet thorough research is now inevitable to identify current status on differentiation of apartment hous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ture differentiation plans for residential space after identifying tendency towards current differentiation plans for enhancing quality of residential space. For this, current status of apartment house plans where differentiation is introduced is first researched to figure out how well the differentiation plans are actually applied to those apartment houses. Then, we choose several apartment houses where the differentiation plans are the least reflected. Finally, we are going to propose new differentiation plans to improve those apartment house plans.In this study, factors of residential space plan especially in an apartment house are categorized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on floor plan, factors for spatial floor plan, emotional factors of space, and convenient facility. First of all, general characteristics on floor plan are analyzed based on space organization, area and number of bays. Among apartment houses over 40 pyeong, it seems that differentiation is well applied with various space plans available. Also, we have witnessed several cases in smaller-sized apartment houses providing 2 bathrooms or a dress room. Meanwhile, even in apartment houses around 20 pyeong, many of them are increasingly provided with 3 bays showing high tendency for the differentiation plans. A result of an analysis on the factors for spatial floor plan shows that planning a living room with two-open-sides seems to be more common in the tower-shaped apartment blocks which are now on the increase. Moreover, many of them are adopting movable partitions to reflect resident’s various demands on space plan. For instance, movable partitions are used in between a living room and a bedroom, bedrooms, or a kitchen and a bedroom. Among all, the extra kitchen in the balcony is planned high portion of 80.4%. Sometimes, dining area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residential space along with a living room(19.2%). More frequently, dining area tends to face the living room(30.2%) according to the result. Besides, dress rooms begin to be placed in each of the bedroom, once planned in one bedroom only while 18.6% of the apartment houses are placing new storages in the entrance to solve lack of storage space due to balcony extension.Meanwhile, emotional factors of space are analyzed in terms of trending spatial factors, hi-end interior design, use of high quality materials, functional hi-end, and a health. Also, factors of convenient facility are generally identified in almost every housing block under investigation. High-tech security facilities are set mostly in the entrance and a living room whereas convenient living facilities are used mainly in the kitchen to lighten household labor. Even various ventilation systems and water-saving items as interests on the environment grow are now actively using in the apartment houses.Throughout the analysis, we have extracted insufficient planning factors to suggest more differentiated plans for future residential space. In a living room, more diverse yet unique floor plan while freely separating or connecting spaces shall be applied to create new living trend for the future. In this regard, here we have proposed a unique kitchen area with more concerns on storage area and a bedroom with specialized sleeping area.
Keyword
#차별화
#주거 공간 계획
#공동주택
#현황분석
#differentiation
#residential space plan
#apartment house
#analyzing current status
학위논문 정보
저자
박소윤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주거환경학과
지도교수
이현수
발행연도
2006
총페이지
ix, 115장
키워드
차별화,
주거 공간 계획,
공동주택,
현황분석,
differentiation,
residential space plan,
apartment house,
analyzing current statu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