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현실주의는 꿈의 세계를 회복시키고 가시적 현실을 극복하려 한다. 단순히 현실을 넘어서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현실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현실과 초현실의 접점을 시도하며, 현실이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 있는 세계를 확장 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실체적으로 초현실주의가 기하학적 추상을 바탕으로 했던 아방가르드 운동들과 달리, 주로 인간의 무의식에 대한 탐구를 하였으며, 합리성으로부터 출발하는 실내 건축의 일반적 본성과 대조적으로 비합리성을 강조한 운동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초현실주의자 앙드레 브르통이 말한 것처럼, 상상력의 초역사적인 신선한 분출에 가치를 두는 태도를 의미하며, 인간이 지니고 있는 영원한 하나의 성향인 것이다.
최근 현대공간의 동향은 다양한 시도와 다원주의적 특성에 의하여 복합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즉, 다양한 공간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차용함은 물론, 일관성에서 문제가 있어 배제되었던 모순적 특성들도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공간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그 중 초현실주의의 '환상적, 비이성적 표현 특성'과 '엉뚱하고 낯 설은 예술 기법'들도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내는 요소로서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탐구 되고 있다.
이에 1980년대 이후 현대 공간에서 가장 독특한 특징을 초현실주의적 성향이라 가정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초현실주의는 '합리성과 기능성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간의 일반적 본성'과 대조적으로 '무의식과 비합리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또한 초현실주의를 통한 구체적인 형상의 변형으로 고정된 의식구조를 변화시켰던 행위는 지금까지 실내 건축 작업의 구성요소들을 반 논리적이며 모순된 결합구조로 실험하던 의의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현대 공간을 개개의 사조로서 분류하고자 하는 시도가 아니며, 단지 현대 공간에서의 가장 독특한 특징인, 초현실주의적 상황 표현 특성, 즉 비형상적(추상적), 형상적(사실적), 오브제적(상징적) 초현실주의적 표현특성을 공간적 측면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대의 조형예술은 대중문화의 영향으로 매체의 다양한 발전과정에 의한 시기별 내지 지리적인 경계가 소멸하였다. 그래서 원칙적인 구분성 마저 모호해지는 ...
초현실주의는 꿈의 세계를 회복시키고 가시적 현실을 극복하려 한다. 단순히 현실을 넘어서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현실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현실과 초현실의 접점을 시도하며, 현실이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 있는 세계를 확장 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실체적으로 초현실주의가 기하학적 추상을 바탕으로 했던 아방가르드 운동들과 달리, 주로 인간의 무의식에 대한 탐구를 하였으며, 합리성으로부터 출발하는 실내 건축의 일반적 본성과 대조적으로 비합리성을 강조한 운동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초현실주의자 앙드레 브르통이 말한 것처럼, 상상력의 초역사적인 신선한 분출에 가치를 두는 태도를 의미하며, 인간이 지니고 있는 영원한 하나의 성향인 것이다.
최근 현대공간의 동향은 다양한 시도와 다원주의적 특성에 의하여 복합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즉, 다양한 공간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차용함은 물론, 일관성에서 문제가 있어 배제되었던 모순적 특성들도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공간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그 중 초현실주의의 '환상적, 비이성적 표현 특성'과 '엉뚱하고 낯 설은 예술 기법'들도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내는 요소로서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탐구 되고 있다.
이에 1980년대 이후 현대 공간에서 가장 독특한 특징을 초현실주의적 성향이라 가정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초현실주의는 '합리성과 기능성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간의 일반적 본성'과 대조적으로 '무의식과 비합리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또한 초현실주의를 통한 구체적인 형상의 변형으로 고정된 의식구조를 변화시켰던 행위는 지금까지 실내 건축 작업의 구성요소들을 반 논리적이며 모순된 결합구조로 실험하던 의의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현대 공간을 개개의 사조로서 분류하고자 하는 시도가 아니며, 단지 현대 공간에서의 가장 독특한 특징인, 초현실주의적 상황 표현 특성, 즉 비형상적(추상적), 형상적(사실적), 오브제적(상징적) 초현실주의적 표현특성을 공간적 측면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대의 조형예술은 대중문화의 영향으로 매체의 다양한 발전과정에 의한 시기별 내지 지리적인 경계가 소멸하였다. 그래서 원칙적인 구분성 마저 모호해지는 탈영역성으로 서로의 영역을 수렴하는 관계성만 가지게 되었다. 이렇듯 현대의 탈 장르화 된 조형예술은 본질적으로 분리될 수 없는 공통점과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호 텍스트성을 착안하여, 초현실주의적 특성이 잘 표현되었던 초현실주의 대표적 작가(막스 에른스트, 호안 미로, 살바도르 달리,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의 분석하여 조형 예술적 표현 기법을 정리한다.
조형예술로서 초현실주의적 표현기법인 우연성, 환상성, 블랙휴머, 편집증적 비평방법은 구성적 잣대인 공간 기호학(기호학적 관점: 본질적인 인간행위의 장으로서 공간에 대한 접근)에 의해 공간에서의 반영 양상을 도출하면, 불확실성, 시각적 유희, 개념적 양의성, 무의식적 욕망의 표현, 프로그램의 병치, 재료의 병치, 형태적 왜곡, 비일상적 오브제, 스케일의 변형, 이질적 매스의 삽입, 생물학적 표현으로 정리된다.
이를 초현실주의의 표현양상인 비형상적(추상적), 형상적(상징적), 오브제적(상징적) 기호론적 환원을 통한초현실주의 표현양상에 대입시켜 분류하면,
1. 비형상적(추상적) 초현실주의 표현특성
- 불확실성, 시각적유희(PUN), 무의식적 욕망의 표현
2. 형상적(사실적) 초현실주의 표현특성
- 프로그램의 병치, 재료의 병치, 형태적 왜곡
3. 오브제적(상징적) 초현실주의 표현특성
- 비일상적 오브제, 스케일의 변형, 이질적 매스의 삽입, 생물학적표현
으로 각각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들을 가지고 1980년대 이후의 현대공간의 설계 사례와 설계 개념을 분석을 통해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공간에서의 한 단면을 입체적으로 이해 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무의식과 비합리성을 강조하는 초현실주의는 현대공간의 '자율성'에 대한 무한한 실험적 세계를 관찰 할 수 있었다. 공간에서 이질적이고 고립적이게 보이게 하는 것, 우리가 우리 자신으로부터 소외시키는 것은 인식 기반 자체를 뒤 바꿔 놓을 만큼 강력한 힘을 발휘 할 것이라는 사실은 자명하다.
또한 현대공간에서의 (비형상적, 형상적, 오브제적)특성은 실용성과 실현가능성이라는 고민에서 벗어나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건축 영역 속에서 내재되어 있던 '무의식의 실현'이라는 하나의 독특한 위상 내지는 미학적 태도에서 그 의의를 찾아야 할 것이다.
초현실주의는 꿈의 세계를 회복시키고 가시적 현실을 극복하려 한다. 단순히 현실을 넘어서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현실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현실과 초현실의 접점을 시도하며, 현실이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 있는 세계를 확장 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실체적으로 초현실주의가 기하학적 추상을 바탕으로 했던 아방가르드 운동들과 달리, 주로 인간의 무의식에 대한 탐구를 하였으며, 합리성으로부터 출발하는 실내 건축의 일반적 본성과 대조적으로 비합리성을 강조한 운동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초현실주의자 앙드레 브르통이 말한 것처럼, 상상력의 초역사적인 신선한 분출에 가치를 두는 태도를 의미하며, 인간이 지니고 있는 영원한 하나의 성향인 것이다.
최근 현대공간의 동향은 다양한 시도와 다원주의적 특성에 의하여 복합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즉, 다양한 공간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차용함은 물론, 일관성에서 문제가 있어 배제되었던 모순적 특성들도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공간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그 중 초현실주의의 '환상적, 비이성적 표현 특성'과 '엉뚱하고 낯 설은 예술 기법'들도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내는 요소로서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탐구 되고 있다.
이에 1980년대 이후 현대 공간에서 가장 독특한 특징을 초현실주의적 성향이라 가정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초현실주의는 '합리성과 기능성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간의 일반적 본성'과 대조적으로 '무의식과 비합리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또한 초현실주의를 통한 구체적인 형상의 변형으로 고정된 의식구조를 변화시켰던 행위는 지금까지 실내 건축 작업의 구성요소들을 반 논리적이며 모순된 결합구조로 실험하던 의의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현대 공간을 개개의 사조로서 분류하고자 하는 시도가 아니며, 단지 현대 공간에서의 가장 독특한 특징인, 초현실주의적 상황 표현 특성, 즉 비형상적(추상적), 형상적(사실적), 오브제적(상징적) 초현실주의적 표현특성을 공간적 측면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대의 조형예술은 대중문화의 영향으로 매체의 다양한 발전과정에 의한 시기별 내지 지리적인 경계가 소멸하였다. 그래서 원칙적인 구분성 마저 모호해지는 탈영역성으로 서로의 영역을 수렴하는 관계성만 가지게 되었다. 이렇듯 현대의 탈 장르화 된 조형예술은 본질적으로 분리될 수 없는 공통점과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호 텍스트성을 착안하여, 초현실주의적 특성이 잘 표현되었던 초현실주의 대표적 작가(막스 에른스트, 호안 미로, 살바도르 달리,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의 분석하여 조형 예술적 표현 기법을 정리한다.
조형예술로서 초현실주의적 표현기법인 우연성, 환상성, 블랙휴머, 편집증적 비평방법은 구성적 잣대인 공간 기호학(기호학적 관점: 본질적인 인간행위의 장으로서 공간에 대한 접근)에 의해 공간에서의 반영 양상을 도출하면, 불확실성, 시각적 유희, 개념적 양의성, 무의식적 욕망의 표현, 프로그램의 병치, 재료의 병치, 형태적 왜곡, 비일상적 오브제, 스케일의 변형, 이질적 매스의 삽입, 생물학적 표현으로 정리된다.
이를 초현실주의의 표현양상인 비형상적(추상적), 형상적(상징적), 오브제적(상징적) 기호론적 환원을 통한초현실주의 표현양상에 대입시켜 분류하면,
1. 비형상적(추상적) 초현실주의 표현특성
- 불확실성, 시각적유희(PUN), 무의식적 욕망의 표현
2. 형상적(사실적) 초현실주의 표현특성
- 프로그램의 병치, 재료의 병치, 형태적 왜곡
3. 오브제적(상징적) 초현실주의 표현특성
- 비일상적 오브제, 스케일의 변형, 이질적 매스의 삽입, 생물학적표현
으로 각각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들을 가지고 1980년대 이후의 현대공간의 설계 사례와 설계 개념을 분석을 통해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공간에서의 한 단면을 입체적으로 이해 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무의식과 비합리성을 강조하는 초현실주의는 현대공간의 '자율성'에 대한 무한한 실험적 세계를 관찰 할 수 있었다. 공간에서 이질적이고 고립적이게 보이게 하는 것, 우리가 우리 자신으로부터 소외시키는 것은 인식 기반 자체를 뒤 바꿔 놓을 만큼 강력한 힘을 발휘 할 것이라는 사실은 자명하다.
또한 현대공간에서의 (비형상적, 형상적, 오브제적)특성은 실용성과 실현가능성이라는 고민에서 벗어나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건축 영역 속에서 내재되어 있던 '무의식의 실현'이라는 하나의 독특한 위상 내지는 미학적 태도에서 그 의의를 찾아야 할 것이다.
Surrealism intends to restore human beings to the world of dreams and overcome the visible reality. More than a mere leap over the reality,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nother reality, attempts a convergence of reality and surreality, and wishes to expand a world that can be called a reality. Unl...
Surrealism intends to restore human beings to the world of dreams and overcome the visible reality. More than a mere leap over the reality,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nother reality, attempts a convergence of reality and surreality, and wishes to expand a world that can be called a reality. Unlike the avant garde movement that was based on geometric abstraction, surrealism explores the 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It also emphasizes irrationality being opposite to the general nature of interior architecture that starts from rationality. According to a surrealist Andre Breton, it implies an attitude to value a fresh, metahistorical explosion of imagination and one of the eternal tendencies of humans.
Recently the trend of modern space reflects a combination of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new attempts and pluralistic features. In other words, it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space not only by adopting various spatial elements aggressively but also by employing contradicting features that used to be excluded due to lack of consistency actively. In particular, 'the fantastic, irrational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extravagant and unfamiliar artistic techniques' of surrealism are actively introduced and explored as elements to make new space.
This study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it is surreal tendencies that characterize modern space in the most unique ways since the 1980s as surrealism places emphasis on 'unconsciousness and irrationality' contrary to the 'general nature of space that starts from rationality and functions.' Moreover those acts to change the fixed conscious structure by the specific transformation of shapes through surrealism are in the same line with the experiments to turn constituents of interior architecture into illogical and contradicting combination structures.
It should be noticed that this study is not an attempt to classify modern space according to each trend. Its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non-figurative(abstractive), figurative(realistic), and objet(symbolic) characteristics of surrealistic expressions, which make the most unique features of surrealistic depiction of a situation in modern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In the modern formative arts there have been no periodic or geographical boundaries thanks to the impacts of popular culture and diverse growth patterns of media. The result is the relationship that converges many different areas where principal distinction is ambiguous due to antihistorism. The modern formative arts that are beyond classified genres share commonality and homogeneity that cannot be separated in nature. Inspired by that kind of intertextuality,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works of representative surrealistic artists(Max Ernst, Joan Miro, Salvador Dali, and Rene Magritte) in which the surrealistic characteristics are well depicted and arranged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formative arts.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surrealism as formative arts, incidental, fantastic, black humor-based, and paranoid criticism induces the reflection in space by spatial semiotics(a semiotic perspective: an approach to space for intrinsic human acts). Its features include uncertainty, visual pun, conceptual double meanings, unconscious expression of desire, juxtaposition of programs, formative distortion, open structure(realistic description of unreality), unusual objet, alteration to the scale, insertion of heterogeneous mass, and biological expression.
They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expressive patterns of surrealism through the non-formative(abstract), formative(realistic), objet(symbolic), and semiotic restoration.
1. Non-formative(abstract)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 Uncertainty, visual pun, and unconscious expression of desire.
2. Formative(realistic)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 Juxtaposition of programs, formative distortion, and open structure(realistic description of unreality).
3. Objet(symbolic)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 Unusual objet, alteration to the scale, insertion of heterogeneous mass, and biological expression.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the cases of modern space design and design concepts since the 1980s were analyzed, and an aspect of a pluralistic and composite space was understood.
The research on surrealism valuing unconsciousness and irrationality made it possible to observe the world of infinite experiments regarding 'autonomy' of modern space. It's obvious that what is heterogeneous, makes something look isolated, and invites us to isolate ourselves will have strong power in space.
The non-formative, formative, and objet characteristics of modern space escape from practicality and plausibility and are more highlighted meeting with digital space, which makes use of the latest computer technology of new innovative media. Their implications can be found in the unique status or aesthetic attitude of 'realization of unconsciousness' inherent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that embraces the reality and virtuality.
Surrealism intends to restore human beings to the world of dreams and overcome the visible reality. More than a mere leap over the reality,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nother reality, attempts a convergence of reality and surreality, and wishes to expand a world that can be called a reality. Unlike the avant garde movement that was based on geometric abstraction, surrealism explores the 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It also emphasizes irrationality being opposite to the general nature of interior architecture that starts from rationality. According to a surrealist Andre Breton, it implies an attitude to value a fresh, metahistorical explosion of imagination and one of the eternal tendencies of humans.
Recently the trend of modern space reflects a combination of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new attempts and pluralistic features. In other words, it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space not only by adopting various spatial elements aggressively but also by employing contradicting features that used to be excluded due to lack of consistency actively. In particular, 'the fantastic, irrational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extravagant and unfamiliar artistic techniques' of surrealism are actively introduced and explored as elements to make new space.
This study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it is surreal tendencies that characterize modern space in the most unique ways since the 1980s as surrealism places emphasis on 'unconsciousness and irrationality' contrary to the 'general nature of space that starts from rationality and functions.' Moreover those acts to change the fixed conscious structure by the specific transformation of shapes through surrealism are in the same line with the experiments to turn constituents of interior architecture into illogical and contradicting combination structures.
It should be noticed that this study is not an attempt to classify modern space according to each trend. Its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non-figurative(abstractive), figurative(realistic), and objet(symbolic) characteristics of surrealistic expressions, which make the most unique features of surrealistic depiction of a situation in modern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In the modern formative arts there have been no periodic or geographical boundaries thanks to the impacts of popular culture and diverse growth patterns of media. The result is the relationship that converges many different areas where principal distinction is ambiguous due to antihistorism. The modern formative arts that are beyond classified genres share commonality and homogeneity that cannot be separated in nature. Inspired by that kind of intertextuality,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works of representative surrealistic artists(Max Ernst, Joan Miro, Salvador Dali, and Rene Magritte) in which the surrealistic characteristics are well depicted and arranged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formative arts.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surrealism as formative arts, incidental, fantastic, black humor-based, and paranoid criticism induces the reflection in space by spatial semiotics(a semiotic perspective: an approach to space for intrinsic human acts). Its features include uncertainty, visual pun, conceptual double meanings, unconscious expression of desire, juxtaposition of programs, formative distortion, open structure(realistic description of unreality), unusual objet, alteration to the scale, insertion of heterogeneous mass, and biological expression.
They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expressive patterns of surrealism through the non-formative(abstract), formative(realistic), objet(symbolic), and semiotic restoration.
1. Non-formative(abstract)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 Uncertainty, visual pun, and unconscious expression of desire.
2. Formative(realistic)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 Juxtaposition of programs, formative distortion, and open structure(realistic description of unreality).
3. Objet(symbolic)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 Unusual objet, alteration to the scale, insertion of heterogeneous mass, and biological expression.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the cases of modern space design and design concepts since the 1980s were analyzed, and an aspect of a pluralistic and composite space was understood.
The research on surrealism valuing unconsciousness and irrationality made it possible to observe the world of infinite experiments regarding 'autonomy' of modern space. It's obvious that what is heterogeneous, makes something look isolated, and invites us to isolate ourselves will have strong power in space.
The non-formative, formative, and objet characteristics of modern space escape from practicality and plausibility and are more highlighted meeting with digital space, which makes use of the latest computer technology of new innovative media. Their implications can be found in the unique status or aesthetic attitude of 'realization of unconsciousness' inherent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that embraces the reality and virtua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