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맹이 형성되면 동맹국은 자신의 국가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동맹을 원하는 방향으로 통제 및 조정하기를 희망하지만, 동맹국간의 일치하지 않는 갈등적인 이익으로 인하여 각종 선택적 문제의 동맹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동맹국은 동맹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비용과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이익과 혜택을 최대화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게 되고, 이러한 노력은 어떻게 동맹을 관리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된다.따라서 본 논문은 미일동맹 사례를 통하여 동맹국이 어떠한 방법으로 동맹딜레마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면서 동맹을 관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
동맹이 형성되면 동맹국은 자신의 국가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동맹을 원하는 방향으로 통제 및 조정하기를 희망하지만, 동맹국간의 일치하지 않는 갈등적인 이익으로 인하여 각종 선택적 문제의 동맹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동맹국은 동맹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비용과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이익과 혜택을 최대화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게 되고, 이러한 노력은 어떻게 동맹을 관리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된다.따라서 본 논문은 미일동맹 사례를 통하여 동맹국이 어떠한 방법으로 동맹딜레마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면서 동맹을 관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맹딜레마에 직면한 국가는 동맹국에 대한 의존성과 공약, 그리고 동맹국을 통한 이익 등으로 이루어진 동맹의 결속력을 조절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동맹을 관리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동맹국 중 어느 한 국가가 포기의 동맹딜레마에 직면하게 되면 동맹국에 대한 동맹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연루의 동맹딜레마에 직면하게 되면 동맹국에 대한 동맹의 결속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동맹을 관리한다는 것이다. 동맹의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동맹국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요구하고 그 요구에 대해서 동맹국이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거나, 그 요구는 동맹국만이 해결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다른 선택적 대안의 유용성을 제한하는 것이 있었다. 또한 동맹국에 대한 지원 범위와 역량을 확대시키고, 동맹 조약이나 협정 등에서의 문구(文句)를 보다 명확히 하고, 위기시 위협국에 대해 강경한 외교적 자세를 취하는 태도 등이 있었다.반면에 동맹국에 대한 동맹의 결속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동맹국에 대한 군사적 지원 요구를 줄이고, 그 요구는 동맹국 이외의 다른 국가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다른 선택적 대안의 유용성을 증대하는 것이 있었다. 또한 동맹국에 대한 지원 범위와 역량을 제한시키고, 동맹 조약이나 협정 등에서의 문구(文句)를 애매하게 하고 위기시 위협국에 대해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태도 등이 있었다.즉 당사국의 의지와 상관없이 원치않는 국제분쟁에 연루되거나 동맹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동맹국의 일방적인 계약파기로 인한 동맹이 소멸되는 것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포기-연루의 균형점을 추구하는 동맹딜레마 극복 노력으로 동맹의 관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동맹국에 대한 동맹의 결속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면 동맹국에 의한 포기-연루의 두려움을 최소화시켜 동맹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최근 미국의 GPR계획, 주한미군의 한강선 이남 배치 및 2008년까지 1만2500여명의 감축 등 한미동맹의 일련의 상황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한국의 입장에서는 포기의 동맹딜레마 구조가 형성되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은 안정된 한미동맹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협력적 자주국방,’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동북아 균형자론’ 등을 통하여 한반도 안보를 스스로 책임질 수 있는 명실상부한 자주군대를 만들어 한국군의 역할을 확대해 나갈 것임을 밝히고 있지만, 동맹의 관리 차원에서 미국에 의한 포기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맹의 결속력 조절의 전략적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겠다.
동맹이 형성되면 동맹국은 자신의 국가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동맹을 원하는 방향으로 통제 및 조정하기를 희망하지만, 동맹국간의 일치하지 않는 갈등적인 이익으로 인하여 각종 선택적 문제의 동맹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동맹국은 동맹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비용과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이익과 혜택을 최대화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게 되고, 이러한 노력은 어떻게 동맹을 관리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된다.따라서 본 논문은 미일동맹 사례를 통하여 동맹국이 어떠한 방법으로 동맹딜레마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면서 동맹을 관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맹딜레마에 직면한 국가는 동맹국에 대한 의존성과 공약, 그리고 동맹국을 통한 이익 등으로 이루어진 동맹의 결속력을 조절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동맹을 관리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동맹국 중 어느 한 국가가 포기의 동맹딜레마에 직면하게 되면 동맹국에 대한 동맹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연루의 동맹딜레마에 직면하게 되면 동맹국에 대한 동맹의 결속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동맹을 관리한다는 것이다. 동맹의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동맹국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요구하고 그 요구에 대해서 동맹국이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거나, 그 요구는 동맹국만이 해결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다른 선택적 대안의 유용성을 제한하는 것이 있었다. 또한 동맹국에 대한 지원 범위와 역량을 확대시키고, 동맹 조약이나 협정 등에서의 문구(文句)를 보다 명확히 하고, 위기시 위협국에 대해 강경한 외교적 자세를 취하는 태도 등이 있었다.반면에 동맹국에 대한 동맹의 결속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동맹국에 대한 군사적 지원 요구를 줄이고, 그 요구는 동맹국 이외의 다른 국가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다른 선택적 대안의 유용성을 증대하는 것이 있었다. 또한 동맹국에 대한 지원 범위와 역량을 제한시키고, 동맹 조약이나 협정 등에서의 문구(文句)를 애매하게 하고 위기시 위협국에 대해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태도 등이 있었다.즉 당사국의 의지와 상관없이 원치않는 국제분쟁에 연루되거나 동맹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동맹국의 일방적인 계약파기로 인한 동맹이 소멸되는 것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포기-연루의 균형점을 추구하는 동맹딜레마 극복 노력으로 동맹의 관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동맹국에 대한 동맹의 결속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면 동맹국에 의한 포기-연루의 두려움을 최소화시켜 동맹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최근 미국의 GPR계획, 주한미군의 한강선 이남 배치 및 2008년까지 1만2500여명의 감축 등 한미동맹의 일련의 상황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한국의 입장에서는 포기의 동맹딜레마 구조가 형성되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은 안정된 한미동맹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협력적 자주국방,’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동북아 균형자론’ 등을 통하여 한반도 안보를 스스로 책임질 수 있는 명실상부한 자주군대를 만들어 한국군의 역할을 확대해 나갈 것임을 밝히고 있지만, 동맹의 관리 차원에서 미국에 의한 포기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맹의 결속력 조절의 전략적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겠다.
Once an alliance forms, its members want to shape and control it so that it maximizes their net benefits, but they face the task of alliance dilemma because of competitive interests themselves. So they have an constant effort to minimize constant its own costs and risk without sacrificing benefits t...
Once an alliance forms, its members want to shape and control it so that it maximizes their net benefits, but they face the task of alliance dilemma because of competitive interests themselves. So they have an constant effort to minimize constant its own costs and risk without sacrificing benefits to get over thier alliance dilemma. The effort comes to a conclusion how to manage an alliance.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ally how to manage their alliance in overcoming alliance dilemma through the case of U.S.-Japan alliance. Then a state which faced with alliance dilemma adjusted the alliance solidarity which is composed of the dependence to the alliance, the commitment to the alliance and the interests on the alliance. Some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Once one state between the ally faced abandonment dilemma made an increase the alliance solidarity. The other side, one state between the ally faced entrapment dilemma made a decrease the alliance solidarity. Due to these processes, being made succeed in alliance management. Methods of increasing the alliance solidarity are compound of intense need for military assistance, emphasis on the ally only fills that need, and restriction alternative ways of meeting the need. Besides there are extending scope and capability of support to the ally, defining the verbal promise in the alliance contract and subsequent elaborations of it and behaving a strong foreign policy to the adversary at a crisis and so on.The other hand, methods of decreasing the alliance solidarity are compound of reducing need for military assistance, emphasis on other states fill that need, and enlargement alternative ways of meeting the need. Besides there are limiting scope and capability of support to the ally, unjustly convicting the verbal promise in the alliance contract and subsequent elaborations of it and behaving a weak foreign policy to the adversary at a crisis and so on.Namely it was accomplished the alliance management through the effort to overcome alliance dilemma in quest of the balance abandonment and entrapment, in order not to occur an extreme conditions like being entrapped an international dispute without one''s intention and being collapsed the alliance due to the ally''s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one-sidedly.When it considers a chain of U.S.-ROK alliance events like U.S. strategy of GPR, the arrangement of the U.S. Forces in Korea down the Han River, the reduction of the U.S. Forces in Korea 12,500 persons by 2008, it is adequate that the position of Korea is formed structure of abandonment dilemma. While Korea correspponds with making an strong autonomous army for bear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s security through ''the cooperative autonomous national defense,'' ''the retur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he controversy of balancing in Northeast Asia'' depending on stabl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it must need to strategic consideration of adjusting alliance solidarity which reducing risk of abandonment by United States in alliance management.
Once an alliance forms, its members want to shape and control it so that it maximizes their net benefits, but they face the task of alliance dilemma because of competitive interests themselves. So they have an constant effort to minimize constant its own costs and risk without sacrificing benefits to get over thier alliance dilemma. The effort comes to a conclusion how to manage an alliance.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ally how to manage their alliance in overcoming alliance dilemma through the case of U.S.-Japan alliance. Then a state which faced with alliance dilemma adjusted the alliance solidarity which is composed of the dependence to the alliance, the commitment to the alliance and the interests on the alliance. Some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Once one state between the ally faced abandonment dilemma made an increase the alliance solidarity. The other side, one state between the ally faced entrapment dilemma made a decrease the alliance solidarity. Due to these processes, being made succeed in alliance management. Methods of increasing the alliance solidarity are compound of intense need for military assistance, emphasis on the ally only fills that need, and restriction alternative ways of meeting the need. Besides there are extending scope and capability of support to the ally, defining the verbal promise in the alliance contract and subsequent elaborations of it and behaving a strong foreign policy to the adversary at a crisis and so on.The other hand, methods of decreasing the alliance solidarity are compound of reducing need for military assistance, emphasis on other states fill that need, and enlargement alternative ways of meeting the need. Besides there are limiting scope and capability of support to the ally, unjustly convicting the verbal promise in the alliance contract and subsequent elaborations of it and behaving a weak foreign policy to the adversary at a crisis and so on.Namely it was accomplished the alliance management through the effort to overcome alliance dilemma in quest of the balance abandonment and entrapment, in order not to occur an extreme conditions like being entrapped an international dispute without one''s intention and being collapsed the alliance due to the ally''s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one-sidedly.When it considers a chain of U.S.-ROK alliance events like U.S. strategy of GPR, the arrangement of the U.S. Forces in Korea down the Han River, the reduction of the U.S. Forces in Korea 12,500 persons by 2008, it is adequate that the position of Korea is formed structure of abandonment dilemma. While Korea correspponds with making an strong autonomous army for bear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s security through ''the cooperative autonomous national defense,'' ''the retur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he controversy of balancing in Northeast Asia'' depending on stabl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it must need to strategic consideration of adjusting alliance solidarity which reducing risk of abandonment by United States in alliance management.
Keyword
#동맹의 관리동맹딜레마포기-연루 모델동맹의 결속력의존성공약이익미일동맹
#Alliance ManagementAlliance DilemmaAbandonment-Entrapment Model Alliance SolidarityDependenceCommitmentInterestsU.S.-Japan Allia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