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ociodrama for Self-Esteem and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s of Abused Children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은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인가? 둘째, 사회극은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것인가? 셋째, 사회극 참여에 따라 아동의 행동(정서적 부적응 행동, 긍정적 자기표현 행동)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A지역의 아동보호지원센터(1318)에 학대로 신고 접수되어 시설에서 보호하고 있는 5, 6학년 아동 8명을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집단을 대상으로 2006년 3월 20일부터 4월 29일까지 학대받은 아동 8명에게 1주 2회 90분씩 6주 동안 총 12회에 걸쳐 사회극을 실시하였다. 사회극 진행은 사이코·소시오드라마 전문가가 하였고, 보조자로 연구자와 사회복지사 2명이 함께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최보가와 전귀연, 1993)와 정서적 부적응 행동 척도(원지영, 1999)를 사용하였다. 관찰기록은 Achenbach(1978)가 제작한 아동행동목록에 관한 질문지(...
본 연구에서는 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은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인가? 둘째, 사회극은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것인가? 셋째, 사회극 참여에 따라 아동의 행동(정서적 부적응 행동, 긍정적 자기표현 행동)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A지역의 아동보호지원센터(1318)에 학대로 신고 접수되어 시설에서 보호하고 있는 5, 6학년 아동 8명을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집단을 대상으로 2006년 3월 20일부터 4월 29일까지 학대받은 아동 8명에게 1주 2회 90분씩 6주 동안 총 12회에 걸쳐 사회극을 실시하였다. 사회극 진행은 사이코·소시오드라마 전문가가 하였고, 보조자로 연구자와 사회복지사 2명이 함께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최보가와 전귀연, 1993)와 정서적 부적응 행동 척도(원지영, 1999)를 사용하였다. 관찰기록은 Achenbach(1978)가 제작한 아동행동목록에 관한 질문지(Child Behavior Checklist)와 유한규(2002)가 제작한 청소년 관찰기록표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회극 실시 후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집단 원들은 사전·사후검사에서 자아 존중감의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아존중감은 p < .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p< .05수준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회극 실시 후 집단 원들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p < .01로 유의한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의 효과를 살펴보면, 위축행동, 과잉행동은 p < .01 수준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공격행동은 p < .01수준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퇴행행동과 강박행동은 감소를 보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셋째, 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집단 내에서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 및 긍정적 자기표현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결과, 사회극이 진행됨에 따라서 집단 초기에 비하여 종결 단계에 정서적 부적응 행동은 감소하고 긍정적 자기표현 행동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Scheffé 사후분석 결과를 통해 볼 때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향상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사회극에 참여한 아동의 집단 내에서의 긍정적 자기표현 행동이 의미 있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것으로 본 연구는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정서적 부적응 행동 감소에 사회극이 효과가 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학대받은 아동의 문제 행동을 예방하고 적응을 돕기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은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인가? 둘째, 사회극은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것인가? 셋째, 사회극 참여에 따라 아동의 행동(정서적 부적응 행동, 긍정적 자기표현 행동)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A지역의 아동보호지원센터(1318)에 학대로 신고 접수되어 시설에서 보호하고 있는 5, 6학년 아동 8명을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집단을 대상으로 2006년 3월 20일부터 4월 29일까지 학대받은 아동 8명에게 1주 2회 90분씩 6주 동안 총 12회에 걸쳐 사회극을 실시하였다. 사회극 진행은 사이코·소시오드라마 전문가가 하였고, 보조자로 연구자와 사회복지사 2명이 함께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최보가와 전귀연, 1993)와 정서적 부적응 행동 척도(원지영, 1999)를 사용하였다. 관찰기록은 Achenbach(1978)가 제작한 아동행동목록에 관한 질문지(Child Behavior Checklist)와 유한규(2002)가 제작한 청소년 관찰기록표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회극 실시 후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집단 원들은 사전·사후검사에서 자아 존중감의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아존중감은 p < .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p< .05수준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회극 실시 후 집단 원들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p < .01로 유의한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의 효과를 살펴보면, 위축행동, 과잉행동은 p < .01 수준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공격행동은 p < .01수준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퇴행행동과 강박행동은 감소를 보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셋째, 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집단 내에서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 및 긍정적 자기표현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결과, 사회극이 진행됨에 따라서 집단 초기에 비하여 종결 단계에 정서적 부적응 행동은 감소하고 긍정적 자기표현 행동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Scheffé 사후분석 결과를 통해 볼 때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사회극이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향상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사회극에 참여한 아동의 집단 내에서의 긍정적 자기표현 행동이 의미 있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것으로 본 연구는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정서적 부적응 행동 감소에 사회극이 효과가 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학대받은 아동의 문제 행동을 예방하고 적응을 돕기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rama to increase self-esteem and to decrease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s of abused children. Self-esteem variable were composed of four factors in this study; global, social-peer, home-parents, school-academic self-esteem. Emotio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rama to increase self-esteem and to decrease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s of abused children. Self-esteem variable were composed of four factors in this study; global, social-peer, home-parents, school-academic self-esteem.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 were composed of five factor; withdrawn, hyperactive, aggressive, regressive, compulsive behavior. For this study, 8 abused children were selected, 5t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 the care of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1391) in A district. Sociodrama were carried out for 12 sessions, each 90 minutes sess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from March 20th in 2006 to April 29th in 2006. The sociodrama were mainly directed by researcher and two assistan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sessions,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global self-esteem and school-academic self-esteem of abused children. But home-parent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contrary. Second, after the sessions,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s of abused children, particularly withdrawn and hyperactive behavior. Third, as the sociodrama sessions were conducted, the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s of abused children were decrease, positive self-expression was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odrama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ncreasing self-esteem and decreasing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 of abused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programmes for the adjustment of abuse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rama to increase self-esteem and to decrease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s of abused children. Self-esteem variable were composed of four factors in this study; global, social-peer, home-parents, school-academic self-esteem.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 were composed of five factor; withdrawn, hyperactive, aggressive, regressive, compulsive behavior. For this study, 8 abused children were selected, 5t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 the care of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1391) in A district. Sociodrama were carried out for 12 sessions, each 90 minutes sess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from March 20th in 2006 to April 29th in 2006. The sociodrama were mainly directed by researcher and two assistan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sessions,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global self-esteem and school-academic self-esteem of abused children. But home-parent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contrary. Second, after the sessions,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s of abused children, particularly withdrawn and hyperactive behavior. Third, as the sociodrama sessions were conducted, the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s of abused children were decrease, positive self-expression was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odrama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ncreasing self-esteem and decreasing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 of abused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programmes for the adjustment of abused childre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