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부모의 학업 성취 압력 및 아동의 귀인 성향과 시험 불안 및 학업성취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Children's Locus of Control, Test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원문보기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은 학업성적에 많은 신경을 쏟고 있으며, 이러한 학생의 학업성적은 학부모에게도 가장 큰 관심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변인들 중 귀인성향과, 시험불안,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 세 가지 변인을 설정하여 이 변인들의 성별과 학년별 차이, 변인 간 상관관계 및 인과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의 학업 성취 압력, 아동의 귀인성향 및 시험 불안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아동의 귀인성향, 시험불안 및 학업성취와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부모의 학업 성취 압력, 아동의 귀인성향 및 시험불안은 학업 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경상남도 M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4, 5, 6학년 남.여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582명을 최종 분석하였으며, 학업성적을 변인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대상 학교를 단일화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압력은 학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고 귀인성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네 가지(능력, 노력, 과제 난이도, 운) 모두에서 학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시험불안은 학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년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귀인성향 중 능력, 과제 곤란도, 운과는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인성향 중 노력은 부모의 성취압력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시험불안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와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관의 강도는 낮았다.
셋째, 내적 귀인성향에 대하여 부모의 성취압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귀인성향에 대하여 부모의 성취압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불안에 대하여 내적 귀인성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귀인성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성취압력은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인 성향을 매개로하는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은 학업성적에 많은 신경을 쏟고 있으며, 이러한 학생의 학업성적은 학부모에게도 가장 큰 관심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변인들 중 귀인성향과, 시험불안,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 세 가지 변인을 설정하여 이 변인들의 성별과 학년별 차이, 변인 간 상관관계 및 인과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의 학업 성취 압력, 아동의 귀인성향 및 시험 불안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아동의 귀인성향, 시험불안 및 학업성취와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부모의 학업 성취 압력, 아동의 귀인성향 및 시험불안은 학업 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경상남도 M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4, 5, 6학년 남.여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582명을 최종 분석하였으며, 학업성적을 변인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대상 학교를 단일화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압력은 학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고 귀인성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네 가지(능력, 노력, 과제 난이도, 운) 모두에서 학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시험불안은 학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년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귀인성향 중 능력, 과제 곤란도, 운과는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인성향 중 노력은 부모의 성취압력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시험불안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와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관의 강도는 낮았다.
셋째, 내적 귀인성향에 대하여 부모의 성취압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귀인성향에 대하여 부모의 성취압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불안에 대하여 내적 귀인성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귀인성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성취압력은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인 성향을 매개로하는 간접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귀인성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네 가지(능력, 노력, 과제 난이도, 운) 모두에서 학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이는 남녀 모두 운이나 과제 난이도 보다는 노력으로의 귀인을 하였으며, 자신의 노력에 따라 성공이나 실패가 결정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어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 생각된다.
둘째, 시험불안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불안 수준과 학업 성적 간에는 높은 부적 상관을 갖고 있어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험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는데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교육 시키고, 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에게도 관심을 가져주고, 즐거운 학교생활이 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개개인의 장점을 파악하여 개발시켜 주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학업성취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내적/외적 귀인성향 및 시험불안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는 가정에서의 학업에 대한 강요와 압력만으로 향상되는 것이 아니고 자녀의 능력에 맞는 수준과 목표를 세워 달성하도록 하고 칭찬과 격려를 하면서 긍정적인 성취동기가 유발되도록 지도하여야 하겠다. 따라서 아동에게 관심을 갖고 아동의 개인차를 인정하면서, 성취동기를 부여하는 민주적인 부모의 성취압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모들은 아동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을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성취압력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아동이 바람직한 학업자아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은 학업성적에 많은 신경을 쏟고 있으며, 이러한 학생의 학업성적은 학부모에게도 가장 큰 관심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변인들 중 귀인성향과, 시험불안,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 세 가지 변인을 설정하여 이 변인들의 성별과 학년별 차이, 변인 간 상관관계 및 인과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의 학업 성취 압력, 아동의 귀인성향 및 시험 불안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아동의 귀인성향, 시험불안 및 학업성취와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부모의 학업 성취 압력, 아동의 귀인성향 및 시험불안은 학업 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경상남도 M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4, 5, 6학년 남.여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582명을 최종 분석하였으며, 학업성적을 변인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대상 학교를 단일화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압력은 학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고 귀인성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네 가지(능력, 노력, 과제 난이도, 운) 모두에서 학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시험불안은 학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년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귀인성향 중 능력, 과제 곤란도, 운과는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인성향 중 노력은 부모의 성취압력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시험불안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와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관의 강도는 낮았다.
셋째, 내적 귀인성향에 대하여 부모의 성취압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귀인성향에 대하여 부모의 성취압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불안에 대하여 내적 귀인성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귀인성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성취압력은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인 성향을 매개로하는 간접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귀인성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네 가지(능력, 노력, 과제 난이도, 운) 모두에서 학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이는 남녀 모두 운이나 과제 난이도 보다는 노력으로의 귀인을 하였으며, 자신의 노력에 따라 성공이나 실패가 결정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어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 생각된다.
둘째, 시험불안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불안 수준과 학업 성적 간에는 높은 부적 상관을 갖고 있어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험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는데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교육 시키고, 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에게도 관심을 가져주고, 즐거운 학교생활이 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개개인의 장점을 파악하여 개발시켜 주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학업성취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내적/외적 귀인성향 및 시험불안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는 가정에서의 학업에 대한 강요와 압력만으로 향상되는 것이 아니고 자녀의 능력에 맞는 수준과 목표를 세워 달성하도록 하고 칭찬과 격려를 하면서 긍정적인 성취동기가 유발되도록 지도하여야 하겠다. 따라서 아동에게 관심을 갖고 아동의 개인차를 인정하면서, 성취동기를 부여하는 민주적인 부모의 성취압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모들은 아동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을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성취압력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아동이 바람직한 학업자아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our country are much concerned about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that is one of matters of serious concern for their parent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gender and academic year of children affected their locus of control, test anx...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our country are much concerned about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that is one of matters of serious concern for their parent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gender and academic year of children affected their locus of control, test anxiety and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and to identify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three variables and their causal relations, after the three variables were selected from among lots of variables tha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 the gender and academic year of children make any differences to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their locus of control and test anxiety?
2. Is there any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children's locus of control, test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3. What impact do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children's locus of control and test anxiety have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boys and girls who were in their fourth, fifth and sixth years at Y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M, south Gyeongsa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582 students were analyzed. Just one school was examined to select school grades as a variabl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gap in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among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ir academic year and gender. As for relations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their academic year and gender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no matter whether they attribut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to their own ability, their own effort, the degree of task difficulty or luck. Their test anxiety varied significantly with academic year. But their gender made no differences to tha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ir academic year and gender in that regard, either.
Second,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and their locus of control, the former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ability, the degree of task difficulty and luck, but that wasn'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effort. The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their test anxiety. Tha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wasn't strong.
Third, their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under th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and their external locus of control was also affected by that in a significantly positive way. Their internal locus of control didn'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est anxiety, but their external locus of control exercise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at. The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at, and it exerted a significant secondhand influence on that through the medium of locus of control.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our country are much concerned about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that is one of matters of serious concern for their parent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gender and academic year of children affected their locus of control, test anxiety and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and to identify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three variables and their causal relations, after the three variables were selected from among lots of variables tha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 the gender and academic year of children make any differences to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their locus of control and test anxiety?
2. Is there any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children's locus of control, test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3. What impact do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children's locus of control and test anxiety have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boys and girls who were in their fourth, fifth and sixth years at Y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M, south Gyeongsa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582 students were analyzed. Just one school was examined to select school grades as a variabl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gap in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among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ir academic year and gender. As for relations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their academic year and gender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no matter whether they attribut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to their own ability, their own effort, the degree of task difficulty or luck. Their test anxiety varied significantly with academic year. But their gender made no differences to tha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ir academic year and gender in that regard, either.
Second,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and their locus of control, the former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ability, the degree of task difficulty and luck, but that wasn'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effort. The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their test anxiety. Tha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wasn't strong.
Third, their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under th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and their external locus of control was also affected by that in a significantly positive way. Their internal locus of control didn'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est anxiety, but their external locus of control exercise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at. The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paren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at, and it exerted a significant secondhand influence on that through the medium of locus of contro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