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자궁적출술은 부인과 영역에서 가장 흔히 시행되는 수술이다. 그 방법으로 복식 자궁적출술, 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 그리고 질식 자궁적출술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수술 방법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부산 백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수술의 적응증이 자궁탈출증과 부인암인 경우, 자궁적출술 시 다른 수술 (충수절제술, 질봉합술, TVT)이 함께 시행된 경우, 제왕절개술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2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복식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경우는 131명, 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경우는 31명, 그리고 질식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경우는 114명이었다. 276명의 의무기록지를 통하여, 환자들의 특징 (나이, ...
목적: 자궁적출술은 부인과 영역에서 가장 흔히 시행되는 수술이다. 그 방법으로 복식 자궁적출술, 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 그리고 질식 자궁적출술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수술 방법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부산 백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수술의 적응증이 자궁탈출증과 부인암인 경우, 자궁적출술 시 다른 수술 (충수절제술, 질봉합술, TVT)이 함께 시행된 경우, 제왕절개술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2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복식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경우는 131명, 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경우는 31명, 그리고 질식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경우는 114명이었다. 276명의 의무기록지를 통하여, 환자들의 특징 (나이, BMI, 분만력), 자궁적출술의 적응증, 자궁의 무게, 수술 시간, 출혈량, 수술 후 합병증과 입원 기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의 나이는 복식 자궁적출술에 비해 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과 질식 자궁적출술에서 어렸으며, 평균 BMI는 복식 자궁적출술, 복강경하 질식자궁적출술, 그리고 질식 자궁적출술의 순으로 각각 24.2, 23.4, 22.6이었다 (p=0.0002). 세 군에서 자궁적출술의 주된 적응증은 자궁근종이었으며 그 다음이 자궁경부상피내암, 자궁선근증이었다. 평균 자궁의 무게는 각각 370.8 mg, 256.9 mg, 223.2 mg이었고 (p=0.0005), 평균 수술 시간은 각각 96.8분, 120.8분, 62.4분 이었다 (p<0.0001). 평균 출혈량은 각각 413.4 ml, 337.1 ml, 259.6 ml였으며 (p<0.0001), 수술 후 합병증은 각각 7명(5.3%), 2명(6.5%), 1명(0.9%) 있었고 (p=0.1175), 평균 입원 기간은 각각 6.7일, 6.6일, 4.4일 이었다 (p<0.0001). 결론: 수술 시간, 출혈량과 입원 기간에 있어서 질식 자궁적출술이 복식 자궁적출술이나 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에 비해 우월하였다.
목적: 자궁적출술은 부인과 영역에서 가장 흔히 시행되는 수술이다. 그 방법으로 복식 자궁적출술, 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 그리고 질식 자궁적출술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수술 방법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부산 백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수술의 적응증이 자궁탈출증과 부인암인 경우, 자궁적출술 시 다른 수술 (충수절제술, 질봉합술, TVT)이 함께 시행된 경우, 제왕절개술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2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복식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경우는 131명, 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경우는 31명, 그리고 질식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경우는 114명이었다. 276명의 의무기록지를 통하여, 환자들의 특징 (나이, BMI, 분만력), 자궁적출술의 적응증, 자궁의 무게, 수술 시간, 출혈량, 수술 후 합병증과 입원 기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의 나이는 복식 자궁적출술에 비해 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과 질식 자궁적출술에서 어렸으며, 평균 BMI는 복식 자궁적출술, 복강경하 질식자궁적출술, 그리고 질식 자궁적출술의 순으로 각각 24.2, 23.4, 22.6이었다 (p=0.0002). 세 군에서 자궁적출술의 주된 적응증은 자궁근종이었으며 그 다음이 자궁경부상피내암, 자궁선근증이었다. 평균 자궁의 무게는 각각 370.8 mg, 256.9 mg, 223.2 mg이었고 (p=0.0005), 평균 수술 시간은 각각 96.8분, 120.8분, 62.4분 이었다 (p<0.0001). 평균 출혈량은 각각 413.4 ml, 337.1 ml, 259.6 ml였으며 (p<0.0001), 수술 후 합병증은 각각 7명(5.3%), 2명(6.5%), 1명(0.9%) 있었고 (p=0.1175), 평균 입원 기간은 각각 6.7일, 6.6일, 4.4일 이었다 (p<0.0001). 결론: 수술 시간, 출혈량과 입원 기간에 있어서 질식 자궁적출술이 복식 자궁적출술이나 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에 비해 우월하였다.
Objectives: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among abdominal hysterectomy (AH),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and vaginal hysterectomy (VH).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gone AH, LAVH, and VH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5 in Pusan Paik hospital were ...
Objectives: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among abdominal hysterectomy (AH),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and vaginal hysterectomy (VH).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gone AH, LAVH, and VH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5 in Pusan Paik hospital were reviewed. Total 276 cases (131 AH, 31 LAVH, 114 VH) were enrolled. Patients with uterine prolapse or gynecologicl cancer, patients performed with other combined operation (appendectomy, colporrhaphy, tension-free vaginal tape) and patients who have history of cesarean section operation were excluded in this study. Patient's characteristics (age, BMI, parity), indications of hysterectomy, weight of uterus, operation time, bleeding amou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day of hospital stay were analysed. Results: Age was more younger in LAVH and VH groups than AH group. The mean BMI was 24.2 (AH), 23.4 (LAVH), and 22.6 (VH), respectively (P=0.0002). The major indications of hysterectomy was uterine leiomyoma and followed by carcinoma in situ (CIS) in cervix and adenomyosis. The mean uterine weight was 370.8 mg (AH), 256.9 mg (LAVH), and 223.2 mg (VH) (P=0.0005). The mean operation time was 96.8 min (AH), 120.8 min (LAVH), and 62.4 min (VH) (P<0.0001). The mean bleeding amounts was 413.4 ml (AH), 337.1 ml (LAVH), and 259.6 ml (VH) (P<0.0001).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7 cases (5.3%, AH), 2 case (6.5%, LAVH), and 1 case (0.9%, VH), respectively (P=0.1175). The mean hospital stay was 6.7 days (AH), 6.6 days (LAVH), and 4.4 days (VH) (P<0.0001). Conclusions: In the aspect of operation time, bleeding amount, and hospital stay VH was superior to AH or LAVH. In many cases, vaginal approach is unfeasible because of increased patient's BMI, enlarged uterine size, history of previous pelvic operation and experience of operator. So, it is possible to consider AH or AVH in such unfeasible cases despite of the advantages of VH.
Objectives: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among abdominal hysterectomy (AH),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and vaginal hysterectomy (VH).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gone AH, LAVH, and VH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5 in Pusan Paik hospital were reviewed. Total 276 cases (131 AH, 31 LAVH, 114 VH) were enrolled. Patients with uterine prolapse or gynecologicl cancer, patients performed with other combined operation (appendectomy, colporrhaphy, tension-free vaginal tape) and patients who have history of cesarean section operation were excluded in this study. Patient's characteristics (age, BMI, parity), indications of hysterectomy, weight of uterus, operation time, bleeding amou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day of hospital stay were analysed. Results: Age was more younger in LAVH and VH groups than AH group. The mean BMI was 24.2 (AH), 23.4 (LAVH), and 22.6 (VH), respectively (P=0.0002). The major indications of hysterectomy was uterine leiomyoma and followed by carcinoma in situ (CIS) in cervix and adenomyosis. The mean uterine weight was 370.8 mg (AH), 256.9 mg (LAVH), and 223.2 mg (VH) (P=0.0005). The mean operation time was 96.8 min (AH), 120.8 min (LAVH), and 62.4 min (VH) (P<0.0001). The mean bleeding amounts was 413.4 ml (AH), 337.1 ml (LAVH), and 259.6 ml (VH) (P<0.0001).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7 cases (5.3%, AH), 2 case (6.5%, LAVH), and 1 case (0.9%, VH), respectively (P=0.1175). The mean hospital stay was 6.7 days (AH), 6.6 days (LAVH), and 4.4 days (VH) (P<0.0001). Conclusions: In the aspect of operation time, bleeding amount, and hospital stay VH was superior to AH or LAVH. In many cases, vaginal approach is unfeasible because of increased patient's BMI, enlarged uterine size, history of previous pelvic operation and experience of operator. So, it is possible to consider AH or AVH in such unfeasible cases despite of the advantages of V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