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전환사채 발행기업의 공시효과 및 장기성과를 측정하고 그 유의성을 검증하고 이에 따른 초과수익의 기회유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IMF 이후 전환사채 발행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사건기간을 (-20, +20)으로 일별수익률을 이용한 누적초과수익률(CAR : cumulative abnormal return)을 사용하여 전환사채 발행 공시에 따른 공시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장기성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신규상장 편의(new listing ...
본 연구에서는 전환사채 발행기업의 공시효과 및 장기성과를 측정하고 그 유의성을 검증하고 이에 따른 초과수익의 기회유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IMF 이후 전환사채 발행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사건기간을 (-20, +20)으로 일별수익률을 이용한 누적초과수익률(CAR : cumulative abnormal return)을 사용하여 전환사채 발행 공시에 따른 공시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장기성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신규상장 편의(new listing bias), 측정편의(measurement bias), 그리고 왜도편의(skewness bias)를 줄여 측정상의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매입보유초과수익률(BHAR : buy-and-hold abnormal return)을 사용하였으며, 사건기간을 전환사채 공시일을 기준으로 36개월로 하였고 월별수익률을 사용하였다.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측정하기 위한 벤치마크포트폴리오를 동종업종내에서 유사한 기업규모와 장부가/시장가 비율을 가진 매칭기업을 사용하였다. 전환사채 발행기업의 공시효과 및 장기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소와 코스닥의 전환사채 기업 공시효과를 살펴보면 사건기간 전체 기간 동안에 평균초과수익률은 0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지만, 누적초과수익률은 양(+)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거래소 기업은 공시일과 근접한 날에 집중적으로 0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코스닥 기업은 공시일 근접한 날에 집중적으로 0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환사채 발행기업의 경우 역선택모형(adverse selection)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며, 투자기회가설(investment opportunity hypothesis) 이나 레버리지관련가설(leverage hypothesis) 등의 양(+)의 가격효과가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발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전환사채 기업의 장기성과를 살펴보면 벤치마크포트폴리오를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느냐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통제기업을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BH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공시일 이후로 일정기간 동안은 양(+)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일정기간 이후로는 음(-)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유의한 구간은 없었다. 주가지수를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BH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공시일 이후로 일정기간 동안은 음(-)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일정기간 이후로는 양(+)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유의한 구간은 많지 않았다. 통제기업을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C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 공시일 이후로 양(+)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모든 구간에서 유의하였다. 주가지수를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C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 공시일 이후로 음(-)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모든 구간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환사채 발행기업의 공시효과 및 장기성과를 측정하고 그 유의성을 검증하고 이에 따른 초과수익의 기회유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IMF 이후 전환사채 발행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사건기간을 (-20, +20)으로 일별수익률을 이용한 누적초과수익률(CAR : cumulative abnormal return)을 사용하여 전환사채 발행 공시에 따른 공시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장기성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신규상장 편의(new listing bias), 측정편의(measurement bias), 그리고 왜도편의(skewness bias)를 줄여 측정상의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매입보유초과수익률(BHAR : buy-and-hold abnormal return)을 사용하였으며, 사건기간을 전환사채 공시일을 기준으로 36개월로 하였고 월별수익률을 사용하였다.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측정하기 위한 벤치마크포트폴리오를 동종업종내에서 유사한 기업규모와 장부가/시장가 비율을 가진 매칭기업을 사용하였다. 전환사채 발행기업의 공시효과 및 장기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소와 코스닥의 전환사채 기업 공시효과를 살펴보면 사건기간 전체 기간 동안에 평균초과수익률은 0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지만, 누적초과수익률은 양(+)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거래소 기업은 공시일과 근접한 날에 집중적으로 0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코스닥 기업은 공시일 근접한 날에 집중적으로 0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환사채 발행기업의 경우 역선택모형(adverse selection)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며, 투자기회가설(investment opportunity hypothesis) 이나 레버리지관련가설(leverage hypothesis) 등의 양(+)의 가격효과가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발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전환사채 기업의 장기성과를 살펴보면 벤치마크포트폴리오를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느냐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통제기업을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BH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공시일 이후로 일정기간 동안은 양(+)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일정기간 이후로는 음(-)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유의한 구간은 없었다. 주가지수를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BH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공시일 이후로 일정기간 동안은 음(-)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일정기간 이후로는 양(+)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유의한 구간은 많지 않았다. 통제기업을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C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 공시일 이후로 양(+)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모든 구간에서 유의하였다. 주가지수를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C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 공시일 이후로 음(-)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모든 구간에서 유의하였다.
In this study, by measuring disclosure effect and long-term performance of convertible bond issue company, by examining the difference from them, and by verifying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bove mentioned facts, we prove what find out whether there is an opportunity or not on abnormal return. This...
In this study, by measuring disclosure effect and long-term performance of convertible bond issue company, by examining the difference from them, and by verifying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bove mentioned facts, we prove what find out whether there is an opportunity or not on abnormal return. This study covers seasoned convertible bond issue company since IMF and estimates the disclosure effect resulted from issue disclosure of convertible bond by using CAR(cumulative abnormal return) of daily returns from 20 public days before to 20 public days after issue date (-20, +20) And to figure out long-term performance, we use BHAR(buy-and-hold abnormal return) which could make the error on estimation minimize by reducing new listing bias, measurement bias, and skewness bias, and also divide the event period into 36 months which are based on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the issue date of convertible bond and use monthly return. The benchmark portfolio which is for estimating BHAR includes not only the control company that has similar size and similar book value/ market value ratio in the same industry but also market index. As we examine disclosure effect and long term performance of convertible bond, they go like this: First, when we observe the disclosure effect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 stock exchange market company and KOSDAQ company,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event, average abnormal return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zero, however accumulative abnormal return presents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zero. And the exchange market company, the closer it comes nearer to the disclosure dat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zero. But KOSDAQ, the closer it comes nearer to the disclosure date, the more significant difference shows. We find the similar result with seasoned public offerings when we consider the disclosure effect of convertible bond issue company. It has the same result with "adverse selection", this result also means that the positive price effect such as investment opportunity hypothesis and leverage hypothesis occurs in the stock market of Korea. Second, long-term performanc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company shows difference depending on how to arrange benchmark portfolio. BH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positive BHAR, and, after that period, it turns into negative. However, all periods are no significant. BH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negative BHAR, and, after that period, it turns into positive. However, just a free periods are significant. C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negative CAR after that period. And all periods are significant. C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positive CAR after that period. And all periods are significant.
In this study, by measuring disclosure effect and long-term performance of convertible bond issue company, by examining the difference from them, and by verifying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bove mentioned facts, we prove what find out whether there is an opportunity or not on abnormal return. This study covers seasoned convertible bond issue company since IMF and estimates the disclosure effect resulted from issue disclosure of convertible bond by using CAR(cumulative abnormal return) of daily returns from 20 public days before to 20 public days after issue date (-20, +20) And to figure out long-term performance, we use BHAR(buy-and-hold abnormal return) which could make the error on estimation minimize by reducing new listing bias, measurement bias, and skewness bias, and also divide the event period into 36 months which are based on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the issue date of convertible bond and use monthly return. The benchmark portfolio which is for estimating BHAR includes not only the control company that has similar size and similar book value/ market value ratio in the same industry but also market index. As we examine disclosure effect and long term performance of convertible bond, they go like this: First, when we observe the disclosure effect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 stock exchange market company and KOSDAQ company,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event, average abnormal return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zero, however accumulative abnormal return presents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zero. And the exchange market company, the closer it comes nearer to the disclosure dat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zero. But KOSDAQ, the closer it comes nearer to the disclosure date, the more significant difference shows. We find the similar result with seasoned public offerings when we consider the disclosure effect of convertible bond issue company. It has the same result with "adverse selection", this result also means that the positive price effect such as investment opportunity hypothesis and leverage hypothesis occurs in the stock market of Korea. Second, long-term performanc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company shows difference depending on how to arrange benchmark portfolio. BH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positive BHAR, and, after that period, it turns into negative. However, all periods are no significant. BH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negative BHAR, and, after that period, it turns into positive. However, just a free periods are significant. C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negative CAR after that period. And all periods are significant. C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positive CAR after that period. And all periods are significa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