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식생활 관련 교과 내용분석 및 학교급식과 연계한 중학생 영양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ietary education content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school meal program-related nutri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원문보기
우리나라 중학생들을 위한 학교급식 과정과 연계성을 고려한 영양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최근 영양교육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동향을 고찰하였고, 유치원.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식생활 관련 교과의 영역별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과 Kolb의 경험적 학습이론에 근거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성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양교육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 1)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영양교육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교사·학부모는 학교급식과 연계한 실질적인 영양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식습관, 식행동, 영양소 섭취량에 대한 부분적 연구가 수행되었고, 식사환경에 대해서는 단일 영양소 섭취 등이 따로 분석되어 교육현장 활용도가 낮아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이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3)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식생활 관련 교과의 영역별 ...
우리나라 중학생들을 위한 학교급식 과정과 연계성을 고려한 영양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최근 영양교육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동향을 고찰하였고, 유치원.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식생활 관련 교과의 영역별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과 Kolb의 경험적 학습이론에 근거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성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양교육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 1)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영양교육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교사·학부모는 학교급식과 연계한 실질적인 영양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식습관, 식행동, 영양소 섭취량에 대한 부분적 연구가 수행되었고, 식사환경에 대해서는 단일 영양소 섭취 등이 따로 분석되어 교육현장 활용도가 낮아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이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3)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식생활 관련 교과의 영역별 내용분석 후 학교급식 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한 영양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미흡한 실정이었다. 2. 식생활 관련 교과의 영역별 교육 내용을 분석한 결과 ; 1) 유치원 교육과정은 건강.사회.표현.언어.탐구생활의 5개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생활 관련 영역인 건강생활-건강-바른 식생활 하기와 같은 내용 체계와 하위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식생활 관련 교육이 2, 3, 4학년에서 제외되어 영양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시점에서 시간이 축소, 폐지되어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을 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3) 중학교 교육과정은 2학년 정규 교과목인 기술.가정에서 의복 만들기에 초점을 두어 계획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영양교육의 내용은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았다. 4)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2.3학년에서 가정 과학 과목이 선택교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정규 교육과정을 통한 식생활 관련 영양교육에 대한 내용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없는 실정이었다. 3. 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과 Kolb의 경험적 학습이론에 입각한 영양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1) 학교급식 과정과 연계한 식단 구성-조리과정-식사예절-현장실습의 학습 주제에 따른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대한 동기를 유발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생활교육의 일환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2) 차시별 교수·학습 과정안의 학습단계에 따른 교육 내용 구성에서 Ausubel의 교수이론 3단계를 적용하여 도입(1단계; 선행조직자 제시)-전개(2단계; 학습과제 또는 자료의 제시)-정리(3단계; 인지 조직의 강화)로 구성하였다. 3) 학습활동과 교사의 역할에서는 Kolb의 경험적 학습이론에서 각 학습형태(CE, RO, AC and AE)를 도와 줄 수 있는 학습활동을 연결하여 네 가지 순환과정을 부분 적용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4) 영양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중 2차시 학습단계별 학습활동 중 약어(略語)로 표현한 예를 들면, 전개(A2; 학습과제 또는 자료의 제시)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으로 「손 씻기 전후의 ‘세균검사배지’ 사진 관찰」은 Kolb(K)의 학습형태인 구체적 경험(Concrete Experience; CE)을 도와 줄 수 있는 학습활동 중 관찰(Observations; O)에 해당하므로 (K; CE; O)로 표기하였다.
우리나라 중학생들을 위한 학교급식 과정과 연계성을 고려한 영양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최근 영양교육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동향을 고찰하였고, 유치원.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식생활 관련 교과의 영역별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과 Kolb의 경험적 학습이론에 근거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성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양교육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 1)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영양교육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교사·학부모는 학교급식과 연계한 실질적인 영양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식습관, 식행동, 영양소 섭취량에 대한 부분적 연구가 수행되었고, 식사환경에 대해서는 단일 영양소 섭취 등이 따로 분석되어 교육현장 활용도가 낮아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이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3)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식생활 관련 교과의 영역별 내용분석 후 학교급식 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한 영양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미흡한 실정이었다. 2. 식생활 관련 교과의 영역별 교육 내용을 분석한 결과 ; 1) 유치원 교육과정은 건강.사회.표현.언어.탐구생활의 5개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생활 관련 영역인 건강생활-건강-바른 식생활 하기와 같은 내용 체계와 하위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식생활 관련 교육이 2, 3, 4학년에서 제외되어 영양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시점에서 시간이 축소, 폐지되어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을 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3) 중학교 교육과정은 2학년 정규 교과목인 기술.가정에서 의복 만들기에 초점을 두어 계획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영양교육의 내용은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았다. 4)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2.3학년에서 가정 과학 과목이 선택교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정규 교육과정을 통한 식생활 관련 영양교육에 대한 내용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없는 실정이었다. 3. 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과 Kolb의 경험적 학습이론에 입각한 영양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1) 학교급식 과정과 연계한 식단 구성-조리과정-식사예절-현장실습의 학습 주제에 따른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대한 동기를 유발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생활교육의 일환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2) 차시별 교수·학습 과정안의 학습단계에 따른 교육 내용 구성에서 Ausubel의 교수이론 3단계를 적용하여 도입(1단계; 선행조직자 제시)-전개(2단계; 학습과제 또는 자료의 제시)-정리(3단계; 인지 조직의 강화)로 구성하였다. 3) 학습활동과 교사의 역할에서는 Kolb의 경험적 학습이론에서 각 학습형태(CE, RO, AC and AE)를 도와 줄 수 있는 학습활동을 연결하여 네 가지 순환과정을 부분 적용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4) 영양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중 2차시 학습단계별 학습활동 중 약어(略語)로 표현한 예를 들면, 전개(A2; 학습과제 또는 자료의 제시)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으로 「손 씻기 전후의 ‘세균검사배지’ 사진 관찰」은 Kolb(K)의 학습형태인 구체적 경험(Concrete Experience; CE)을 도와 줄 수 있는 학습활동 중 관찰(Observations; O)에 해당하므로 (K; CE; O)로 표기하였다.
In order develop a nutrition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cess related to a school meal service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latest trends of nutrition education-related preceding studies were considered. The educational contents by area of dietary life-related course were analyzed in a ...
In order develop a nutrition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cess related to a school meal service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latest trends of nutrition education-related preceding studies were considered. The educational contents by area of dietary life-related course were analyzed in a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e following describes a summary of results of analyz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based on Ausubel's three phases teaching theory and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1. Results of analyzing the latest research trend related to the nutrition education ; 1) There were mainly studies on the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teachers and parents have recognized that the school meal service-related actual nutrition education must e executed. 2) The eating pattern, eating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have been partially studied. Because only nutrient intake was separately analyzed for the eating environment, it was less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s and so it was not used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3) There is generally insufficient study which presents the nutrition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cess by considering a connection of school food service process, after analyzing the educational contents by area of dietary life-related course in the curriculums ranging from the kindergarten to the high school. 2. Results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contents by area of dietary life-related course ; 1) Kindergarten curriculum was composed of five areas of health·society·expression·language·study, and it contained the contents including the health life-doing the proper eating habits which is the dietary life-related area, and its sub-contents. 2)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dietary life-related education was excluded in the 2nd grade, the 3rd grade and the 4th grade. Hence, because time of dietary life-related education was reduced or cancelled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nutrition education had to be strengthened, the education for the proper eating habits creation couldn't be done. 3) Because the technology subject or the home economics subject which is the second grade's core course focuses on a clothing making in the middle school course, there was no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required for young students. 4) Also, because the subject of home science was designated as an optional course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could not have any chance to learn the contents of dietary life-related nutrition education through the regular curriculum 3. Nutrition education plan based on Ausubel's three phases teaching theory and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 1)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formed as the part of life education that students could practice in the life by selecting the contents by subject of school food service process-related menu preparation, cooking process, table manners, field practice, and by giving the motive on the proper eating habits. 2) Educational contents by phase of teaching·learning process by period was composed of Introduction (phase 1; presentation of advance organizers) -Development (phase 2; presentation of learning task or data) - Conclusion (phase 3; strengthening of cognitive organization) by applying Ausubel's three phases teaching theory. 3) In the learning activity and teacher's role,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formed by connecting the learning activity which could help each learning form (CE, RO, AC and AE) and by partially applying four cycles i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4) As the learning activity by learning phase at the second period, 「Picture observation of 'bacteriological examination' before/after hands washing」in the Development(A2; Presentation of learning task or data) corresponded to 'Observations (O) among learning activities which could help the concrete experience(CE), Kolb(K)'s learning form. Hence, it was abbreviated to (K; CE; O).
In order develop a nutrition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cess related to a school meal service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latest trends of nutrition education-related preceding studies were considered. The educational contents by area of dietary life-related course were analyzed in a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e following describes a summary of results of analyz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based on Ausubel's three phases teaching theory and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1. Results of analyzing the latest research trend related to the nutrition education ; 1) There were mainly studies on the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teachers and parents have recognized that the school meal service-related actual nutrition education must e executed. 2) The eating pattern, eating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have been partially studied. Because only nutrient intake was separately analyzed for the eating environment, it was less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s and so it was not used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3) There is generally insufficient study which presents the nutrition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cess by considering a connection of school food service process, after analyzing the educational contents by area of dietary life-related course in the curriculums ranging from the kindergarten to the high school. 2. Results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contents by area of dietary life-related course ; 1) Kindergarten curriculum was composed of five areas of health·society·expression·language·study, and it contained the contents including the health life-doing the proper eating habits which is the dietary life-related area, and its sub-contents. 2)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dietary life-related education was excluded in the 2nd grade, the 3rd grade and the 4th grade. Hence, because time of dietary life-related education was reduced or cancelled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nutrition education had to be strengthened, the education for the proper eating habits creation couldn't be done. 3) Because the technology subject or the home economics subject which is the second grade's core course focuses on a clothing making in the middle school course, there was no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required for young students. 4) Also, because the subject of home science was designated as an optional course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could not have any chance to learn the contents of dietary life-related nutrition education through the regular curriculum 3. Nutrition education plan based on Ausubel's three phases teaching theory and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 1)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formed as the part of life education that students could practice in the life by selecting the contents by subject of school food service process-related menu preparation, cooking process, table manners, field practice, and by giving the motive on the proper eating habits. 2) Educational contents by phase of teaching·learning process by period was composed of Introduction (phase 1; presentation of advance organizers) -Development (phase 2; presentation of learning task or data) - Conclusion (phase 3; strengthening of cognitive organization) by applying Ausubel's three phases teaching theory. 3) In the learning activity and teacher's role,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formed by connecting the learning activity which could help each learning form (CE, RO, AC and AE) and by partially applying four cycles i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4) As the learning activity by learning phase at the second period, 「Picture observation of 'bacteriological examination' before/after hands washing」in the Development(A2; Presentation of learning task or data) corresponded to 'Observations (O) among learning activities which could help the concrete experience(CE), Kolb(K)'s learning form. Hence, it was abbreviated to (K; CE; O).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