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개혁가이던 조광조의 국정개혁 과정과 함께, 이를 뒷받침하던 정치사상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그는 16세기 당시 조선왕조의 시대적 요구인 주자학의 정착과 훈구계열의 권력 독점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의 정치사상은 주자학의 원리에 입각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조광조는 당시 士林의 영수인 김굉필이 유배된 평안도 희천에서 그에게 성리학을 배웠다. 이로 인해 그는 사림파의 정통을 계승하게 된 것이다. 그는 3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이후 정치적인 활동을 시작하였지만, 이후 4년이란 짧은 기간 동안에 많은 개혁을 추진하였다. 그의 정치사상은 군자론, 수양론, 천도론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군자론은 인간에 대한 생각을 바탕으로 한 통치론이다. 그는 德을 바탕으로 한 군자가 公益을 위해 통치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관료들은 敬을 통해 자신을 수양해야 한다는 수양론을 제기하였다. 한편 天道論은 인간과 자연이 하나의 원리로 움직인다는 天人合一사상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천도론은 모든 인간이 유교도덕을 타고 난다고 보았으므로, 그에 대한 도덕적 교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이 된다. 따라서 백성의 교화를 위한 鄕約시행은 이에 바탕한 것이다. 조광조는 이를 바탕으로 군주의 專制가 아닌 大臣과 臺諫의 의견을 존중한 정치운영을 강조하였다. 군주는 賢君이 되기 위해 수양을 해야 하며, 정국운영에서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신은 군주의 정치를 보필하면서 조정사대부의 의견을 수렴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존재라고 보았다. 특히 臺諫은 군주의 耳目으로 언론 개방에 중요한 역학을 담당하였다. 그가 추구한 理想사회는 중국의 三代社會이다. 그는 이상사회로 가기 위해 弊法을 고쳐야 한다는 變改論의 입장이었다. 그는 국정개혁을 위해 廢妃인 愼氏문제와 昭格署철폐론에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전자는 ...
본 논문의 목적은 개혁가이던 조광조의 국정개혁 과정과 함께, 이를 뒷받침하던 정치사상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그는 16세기 당시 조선왕조의 시대적 요구인 주자학의 정착과 훈구계열의 권력 독점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의 정치사상은 주자학의 원리에 입각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조광조는 당시 士林의 영수인 김굉필이 유배된 평안도 희천에서 그에게 성리학을 배웠다. 이로 인해 그는 사림파의 정통을 계승하게 된 것이다. 그는 3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이후 정치적인 활동을 시작하였지만, 이후 4년이란 짧은 기간 동안에 많은 개혁을 추진하였다. 그의 정치사상은 군자론, 수양론, 천도론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군자론은 인간에 대한 생각을 바탕으로 한 통치론이다. 그는 德을 바탕으로 한 군자가 公益을 위해 통치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관료들은 敬을 통해 자신을 수양해야 한다는 수양론을 제기하였다. 한편 天道論은 인간과 자연이 하나의 원리로 움직인다는 天人合一사상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천도론은 모든 인간이 유교도덕을 타고 난다고 보았으므로, 그에 대한 도덕적 교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이 된다. 따라서 백성의 교화를 위한 鄕約시행은 이에 바탕한 것이다. 조광조는 이를 바탕으로 군주의 專制가 아닌 大臣과 臺諫의 의견을 존중한 정치운영을 강조하였다. 군주는 賢君이 되기 위해 수양을 해야 하며, 정국운영에서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신은 군주의 정치를 보필하면서 조정사대부의 의견을 수렴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존재라고 보았다. 특히 臺諫은 군주의 耳目으로 언론 개방에 중요한 역학을 담당하였다. 그가 추구한 理想사회는 중국의 三代社會이다. 그는 이상사회로 가기 위해 弊法을 고쳐야 한다는 變改論의 입장이었다. 그는 국정개혁을 위해 廢妃인 愼氏문제와 昭格署철폐론에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전자는 중종 반정 이후에 공신들에 의해 이루어진 중종의 부인 신씨에 대한 복권 문제이다. 이 논쟁에서 조광조는 언론의 개방이란 원칙을 확인시켰으며, 자신의 정치적 위상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에 소격서 철폐론이란 주자학 이념에 기초한 제사의 문제이다. 소격서란 왕실이 지내던 도교적 제사기관이며, 조광조는 이를 철폐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소격서 철폐에 성공했지만, 이로 인해 중종에게는 국왕권력을 훼손시키려는 논의로 인식되었다. 또한 그는 賢良科설치와 향약 실시를 통해 개혁추진세력을 양성하려 하였다. 먼저 후자인 향약보급은 주자학의 윤리질서를 향촌에 정착시켜, 조광조 등의 사림세력의 개혁지지 기반을 확보하려 한 정책이다. 둘째로 현량과는 기존 科擧制의 폐단을 개혁하고, 새로운 인재를 등용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이를 통해 조광조는 經學을 공부한 신진세력을 발탁하여, 개혁추진세력으로 삼으려 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는 보수세력인 훈구파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靖國功臣의 僞勳削除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 개혁은 훈구파의 정치적 저항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조광조개혁의 좌절원인은 그가 지나치게 의존한 중종에 의한 정치적 신뢰도의 상실 때문이었다. 이처럼 그의 개혁은 짧은 개혁기간과 빠른 추진속도, 미약한 지지세력과 지나친 국왕의존도에 의해 좌절되고 만다. 따라서 그의 개혁과정은 저항에 대한 극복방법과 개혁의 지속성 확보에 대한 역사적 교훈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오늘날의 현대 정부에서의 개혁추진에서도 동일한 교훈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의 개혁은 ‘실패’가 아닌 ‘좌절’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의 국정개혁이 이후 율곡 이이는 물론이고 조선후기의 實學派에게까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특히 그가 추구한 선비像은 이후 조선왕조의 사대부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개혁가이던 조광조의 국정개혁 과정과 함께, 이를 뒷받침하던 정치사상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그는 16세기 당시 조선왕조의 시대적 요구인 주자학의 정착과 훈구계열의 권력 독점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의 정치사상은 주자학의 원리에 입각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조광조는 당시 士林의 영수인 김굉필이 유배된 평안도 희천에서 그에게 성리학을 배웠다. 이로 인해 그는 사림파의 정통을 계승하게 된 것이다. 그는 3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이후 정치적인 활동을 시작하였지만, 이후 4년이란 짧은 기간 동안에 많은 개혁을 추진하였다. 그의 정치사상은 군자론, 수양론, 천도론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군자론은 인간에 대한 생각을 바탕으로 한 통치론이다. 그는 德을 바탕으로 한 군자가 公益을 위해 통치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관료들은 敬을 통해 자신을 수양해야 한다는 수양론을 제기하였다. 한편 天道論은 인간과 자연이 하나의 원리로 움직인다는 天人合一사상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천도론은 모든 인간이 유교도덕을 타고 난다고 보았으므로, 그에 대한 도덕적 교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이 된다. 따라서 백성의 교화를 위한 鄕約시행은 이에 바탕한 것이다. 조광조는 이를 바탕으로 군주의 專制가 아닌 大臣과 臺諫의 의견을 존중한 정치운영을 강조하였다. 군주는 賢君이 되기 위해 수양을 해야 하며, 정국운영에서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신은 군주의 정치를 보필하면서 조정사대부의 의견을 수렴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존재라고 보았다. 특히 臺諫은 군주의 耳目으로 언론 개방에 중요한 역학을 담당하였다. 그가 추구한 理想사회는 중국의 三代社會이다. 그는 이상사회로 가기 위해 弊法을 고쳐야 한다는 變改論의 입장이었다. 그는 국정개혁을 위해 廢妃인 愼氏문제와 昭格署철폐론에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전자는 중종 반정 이후에 공신들에 의해 이루어진 중종의 부인 신씨에 대한 복권 문제이다. 이 논쟁에서 조광조는 언론의 개방이란 원칙을 확인시켰으며, 자신의 정치적 위상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에 소격서 철폐론이란 주자학 이념에 기초한 제사의 문제이다. 소격서란 왕실이 지내던 도교적 제사기관이며, 조광조는 이를 철폐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소격서 철폐에 성공했지만, 이로 인해 중종에게는 국왕권력을 훼손시키려는 논의로 인식되었다. 또한 그는 賢良科설치와 향약 실시를 통해 개혁추진세력을 양성하려 하였다. 먼저 후자인 향약보급은 주자학의 윤리질서를 향촌에 정착시켜, 조광조 등의 사림세력의 개혁지지 기반을 확보하려 한 정책이다. 둘째로 현량과는 기존 科擧制의 폐단을 개혁하고, 새로운 인재를 등용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이를 통해 조광조는 經學을 공부한 신진세력을 발탁하여, 개혁추진세력으로 삼으려 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는 보수세력인 훈구파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靖國功臣의 僞勳削除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 개혁은 훈구파의 정치적 저항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조광조개혁의 좌절원인은 그가 지나치게 의존한 중종에 의한 정치적 신뢰도의 상실 때문이었다. 이처럼 그의 개혁은 짧은 개혁기간과 빠른 추진속도, 미약한 지지세력과 지나친 국왕의존도에 의해 좌절되고 만다. 따라서 그의 개혁과정은 저항에 대한 극복방법과 개혁의 지속성 확보에 대한 역사적 교훈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오늘날의 현대 정부에서의 개혁추진에서도 동일한 교훈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의 개혁은 ‘실패’가 아닌 ‘좌절’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의 국정개혁이 이후 율곡 이이는 물론이고 조선후기의 實學派에게까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특히 그가 추구한 선비像은 이후 조선왕조의 사대부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urse of Cho Kwang-zo's government reform and political thought to support his reform activity. He tried to settle Neo-confucianism and solve the trouble caused by Hungu(勳舊) group's desire for power supremacy. Cho Kwang-zo learned Neo-confucianism in Hyechon(熙川) of ...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urse of Cho Kwang-zo's government reform and political thought to support his reform activity. He tried to settle Neo-confucianism and solve the trouble caused by Hungu(勳舊) group's desire for power supremacy. Cho Kwang-zo learned Neo-confucianism in Hyechon(熙川) of Pyeong-an(平安) Province from Kim Gwing-phil(金宏弼) who lived in exile there. This chance enabled him to succeed to Salim(士林) group's original doctrines.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hen he was 34 years old, and started political activities. But during the subsequent four years, which was thought to be too short for government reform, he steadily carried out lots of political reforms. His political thought was based on theories of superior man, moral culture and heaven providence. The theory of superior man, or true gentlemanship, is the guides to government administration based on the concepts of human being. He thought that a superior man based on virtue had to have the power to rule the country in order to achieve the public good. In light of this idea, he came up with the theory of moral culture that government bureaucrats should cultivate themselves with reverence.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heaven providence basically depended upon the idea that human being and nature were equally controled by one rule. According to this theory, human being was thought to have Confucian morality by nature. and therefore to be possibly enlightened by it. So he thought that he needed to practice Hang-yak( 鄕約) for the people of all nations, depending upon that theory. He emphasized government administration to make much of state ministers' and dignitary inspectors' opinions, not ruler's tyranny. It was alleged by him that the ruler had to improve himself to become a wise monarch, and play a coordinating role in government administration. He believed ministers to be cabinet members to collect the opinions from nobly-born illustrious officials of the government, supporting the ruler's policy, and communicate them to the ruler. Especially, dignitary inspectors, as ruler's eye and ea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ecuring people's freedom of speech. The ideal society that he sought after was Three generation society in China. He was in the position to push ahead with reform in order to correct vitiating laws, dreaming ideal society. He publicized his view on the troubles of deposed queen Shin and Sogyukseo( 昭格署) removal;the former was concerned with King Joung-jong(中宗)'s wife Shin(愼)'s reinstatement, after his taking over the throne, to her queen's position which was schemed by his meritorious subjects. In this controversy, Cho Kwang-zo could validate the necessity of open speech policy and get an opportunity to heighten his political position. And the problem of Sogyukseo removal was related to memorial rites for ancestor worship based on Neo-confucianism. Sogyukseo was a Taoist temple for sacrificial rite in royal court. Cho Kwang-zo insisted on abolishing it and at last, was successful in doing so. But Joung-jong believed that Cho Kwang-zo had an intention to harm his reputation. Besides, Cho Kwang-zo designed to cultivate the power to push ahead with his reform, initiating Hyun-yang( 賢良) system and popularizing Hyang-yak First, popularizing Hyang-yak was meant to settle the ethical order of Sung Confucianism and to secure the power foundation of Salim group, whose member Cho Kwang-zo belonged to, to support the reform. Secondly, Hyun-yang system was established to improve evil practices in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and to select talented persons. Through both systems, he wanted to choose out young powerful persons who were versed in Chinese classics, and use them as the basis of social reform. In addition, he tried to investigate the meritorious subjects' false merits. But this action gave rise to Hungu group's resistance against his reform. Especially, Cho Kwang-zo extremely relied on Joung-jong, so Joung-jong's losing political confidence resulted in his bafflement in his reform. In this way, Cho Kwang-zo's frustration in the reform was caused by short-term reform, speedy progress, poor power of support, and extreme dependence upon the ruler. Therefore the course of his reform, a valuable help us to grasp historical lesson about how to overcome resistant power and to secure reformative durability. It is true of the reform of our present government. This fact is noticeably worthy of close attention in that the same lesson can be adapted to our current government situation. His reform is to be thought to have beene frustrated, not to have been failed, since he had an effect on Silhak(實學) group in late Choseon Dynasty, not to mention of Yulgok(栗谷) Yi-Yi(李珥). Above all, a conception of learned gentle scholar that he sought after set an paragon to the illustrious officials of noble birth in Choseon Dynasty.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urse of Cho Kwang-zo's government reform and political thought to support his reform activity. He tried to settle Neo-confucianism and solve the trouble caused by Hungu(勳舊) group's desire for power supremacy. Cho Kwang-zo learned Neo-confucianism in Hyechon(熙川) of Pyeong-an(平安) Province from Kim Gwing-phil(金宏弼) who lived in exile there. This chance enabled him to succeed to Salim(士林) group's original doctrines.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hen he was 34 years old, and started political activities. But during the subsequent four years, which was thought to be too short for government reform, he steadily carried out lots of political reforms. His political thought was based on theories of superior man, moral culture and heaven providence. The theory of superior man, or true gentlemanship, is the guides to government administration based on the concepts of human being. He thought that a superior man based on virtue had to have the power to rule the country in order to achieve the public good. In light of this idea, he came up with the theory of moral culture that government bureaucrats should cultivate themselves with reverence.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heaven providence basically depended upon the idea that human being and nature were equally controled by one rule. According to this theory, human being was thought to have Confucian morality by nature. and therefore to be possibly enlightened by it. So he thought that he needed to practice Hang-yak( 鄕約) for the people of all nations, depending upon that theory. He emphasized government administration to make much of state ministers' and dignitary inspectors' opinions, not ruler's tyranny. It was alleged by him that the ruler had to improve himself to become a wise monarch, and play a coordinating role in government administration. He believed ministers to be cabinet members to collect the opinions from nobly-born illustrious officials of the government, supporting the ruler's policy, and communicate them to the ruler. Especially, dignitary inspectors, as ruler's eye and ea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ecuring people's freedom of speech. The ideal society that he sought after was Three generation society in China. He was in the position to push ahead with reform in order to correct vitiating laws, dreaming ideal society. He publicized his view on the troubles of deposed queen Shin and Sogyukseo( 昭格署) removal;the former was concerned with King Joung-jong(中宗)'s wife Shin(愼)'s reinstatement, after his taking over the throne, to her queen's position which was schemed by his meritorious subjects. In this controversy, Cho Kwang-zo could validate the necessity of open speech policy and get an opportunity to heighten his political position. And the problem of Sogyukseo removal was related to memorial rites for ancestor worship based on Neo-confucianism. Sogyukseo was a Taoist temple for sacrificial rite in royal court. Cho Kwang-zo insisted on abolishing it and at last, was successful in doing so. But Joung-jong believed that Cho Kwang-zo had an intention to harm his reputation. Besides, Cho Kwang-zo designed to cultivate the power to push ahead with his reform, initiating Hyun-yang( 賢良) system and popularizing Hyang-yak First, popularizing Hyang-yak was meant to settle the ethical order of Sung Confucianism and to secure the power foundation of Salim group, whose member Cho Kwang-zo belonged to, to support the reform. Secondly, Hyun-yang system was established to improve evil practices in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and to select talented persons. Through both systems, he wanted to choose out young powerful persons who were versed in Chinese classics, and use them as the basis of social reform. In addition, he tried to investigate the meritorious subjects' false merits. But this action gave rise to Hungu group's resistance against his reform. Especially, Cho Kwang-zo extremely relied on Joung-jong, so Joung-jong's losing political confidence resulted in his bafflement in his reform. In this way, Cho Kwang-zo's frustration in the reform was caused by short-term reform, speedy progress, poor power of support, and extreme dependence upon the ruler. Therefore the course of his reform, a valuable help us to grasp historical lesson about how to overcome resistant power and to secure reformative durability. It is true of the reform of our present government. This fact is noticeably worthy of close attention in that the same lesson can be adapted to our current government situation. His reform is to be thought to have beene frustrated, not to have been failed, since he had an effect on Silhak(實學) group in late Choseon Dynasty, not to mention of Yulgok(栗谷) Yi-Yi(李珥). Above all, a conception of learned gentle scholar that he sought after set an paragon to the illustrious officials of noble birth in Choseon Dynas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