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조선전기 監軍御史의 성립과 파견을 통해 15세기에서 16세기로 이어지는 국가의 지방 지배의 실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은 건국 이후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外官을 통제하거나 외관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때때로 여러 형태의 使臣을 지방에 파견하였다. 감군어사는 이 같은 사신에 속하는 御史에서 분화되었다. 조선시대에 어사의 시작은 行臺監察로, 행대는 모든 외관을 규찰할 수 있지만 기간이 짧고 直斷權이 없어 제대로 규찰하기 어려웠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것이 分臺御史의 파견이었다. 분대어사는 司憲府에서 감찰보다 높은 정5품 이상의 臺官을 겸임하여 파견하였고, 오랜 기간 순행하게 하여 백성의 사정을 자세히 살폈으며, 3품 이상의 관리에게는 직단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성종대에 이르러 분대어사가 파견기간을 채우기 어렵고, 수령과 결탁하는 경우가 생겼으며, 적절하지 않은 인물이 임명되는 상황까지 발생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관을 겸임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었으므로 강명한 朝官인 弘文館員을 파견하는 일반어사가 성립하였다. 일반어사는 분대어사와 달리 행대처럼 빠른 시간 순행하는 특징을 지녔다. 또한 일반어사는 유사시에 특정한 임무를 담당하면서 그 기능이 분화되기도 하였는데, 이를 別遣御史라고 한다. 이와 같은 별견어사 중 하나로 군을 감찰하는 임무를 담당하는 어사가 감군어사이다. 하지만 감군어사는 어사제도의 흐름 속에서 짧은 기간에 규찰하는 일반어사와 달리 오랜 기간 순행한다는 점에서 개혁적인 성향의 분대어사와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감군어사의 파견은 조선전기에 심각했던 軍政의 폐단, 특히 수군의 문제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그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수군의 문제는 성종대에 더욱 심해져 수군에서 비롯된 代立과 放軍收布가 正兵까지 확대되는 현상을 보이자 그 원인 중 하나인 萬戶와 僉使의 비리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처음 논의되었다. 이후 ...
본 논문은 조선전기 監軍御史의 성립과 파견을 통해 15세기에서 16세기로 이어지는 국가의 지방 지배의 실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은 건국 이후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外官을 통제하거나 외관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때때로 여러 형태의 使臣을 지방에 파견하였다. 감군어사는 이 같은 사신에 속하는 御史에서 분화되었다. 조선시대에 어사의 시작은 行臺監察로, 행대는 모든 외관을 규찰할 수 있지만 기간이 짧고 直斷權이 없어 제대로 규찰하기 어려웠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것이 分臺御史의 파견이었다. 분대어사는 司憲府에서 감찰보다 높은 정5품 이상의 臺官을 겸임하여 파견하였고, 오랜 기간 순행하게 하여 백성의 사정을 자세히 살폈으며, 3품 이상의 관리에게는 직단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성종대에 이르러 분대어사가 파견기간을 채우기 어렵고, 수령과 결탁하는 경우가 생겼으며, 적절하지 않은 인물이 임명되는 상황까지 발생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관을 겸임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었으므로 강명한 朝官인 弘文館員을 파견하는 일반어사가 성립하였다. 일반어사는 분대어사와 달리 행대처럼 빠른 시간 순행하는 특징을 지녔다. 또한 일반어사는 유사시에 특정한 임무를 담당하면서 그 기능이 분화되기도 하였는데, 이를 別遣御史라고 한다. 이와 같은 별견어사 중 하나로 군을 감찰하는 임무를 담당하는 어사가 감군어사이다. 하지만 감군어사는 어사제도의 흐름 속에서 짧은 기간에 규찰하는 일반어사와 달리 오랜 기간 순행한다는 점에서 개혁적인 성향의 분대어사와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감군어사의 파견은 조선전기에 심각했던 軍政의 폐단, 특히 수군의 문제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그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수군의 문제는 성종대에 더욱 심해져 수군에서 비롯된 代立과 放軍收布가 正兵까지 확대되는 현상을 보이자 그 원인 중 하나인 萬戶와 僉使의 비리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처음 논의되었다. 이후 중종 말에서 명종 초에 사태가 더욱 악화되어 군의 지휘계통에 있는 자들이 모두 폐단을 일으키자 명종 초에 훈척세력에 의해 감군어사의 파견이 건의되기에 이른다.
초기 논의에서는 훈척세력에 의해 규찰지역이 경상․전라 양도에 한정되고 탄핵대상이 만호와 첨사로 제한되면 연소한 문신을 파견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하지만 훈척세력의 인물을 배제하기 위해 시종과 대간에 있는 인물을 임명하고 기간도 처음 주장대로 6개월을 파견하면서 지방 통제의 효과가 나타났다. 감군어사가 실제 효과를 보이자 점차 파견지역, 임무, 권한이 확대되었다. 감군어사는 兩界까지 파견되었고, 구황 등 일반적인 업무도 담당하였으며, 兵使와 水使까지 탄핵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결국 감군어사는 분대어사와 유사하게 그 임무와 권한이 무겁고 중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감군어사의 임무와 권한 확대에 반대의 입장을 보이던 훈척세력과 달리 명종은 외관을 규제하는 지방통제책으로서 적극 지지하였다.
그러나 심한 흉년으로 감군어사의 파견이 양도에 일시적으로 중지되었고, 이어 乙卯倭變의 책임을 감군어사에게 지우면서 감군어사의 파견이 완전히 중단되었다. 이후 선조대에 乙巳士禍로 귀양 갔던 인물들이 돌아와 요직을 차지하면서 이들을 중심으로 감군어사의 파견이 추진되었으나 감군어사가 가진 개혁적 성향으로 인해 파견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조선전기 監軍御史의 성립과 파견을 통해 15세기에서 16세기로 이어지는 국가의 지방 지배의 실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은 건국 이후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外官을 통제하거나 외관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때때로 여러 형태의 使臣을 지방에 파견하였다. 감군어사는 이 같은 사신에 속하는 御史에서 분화되었다. 조선시대에 어사의 시작은 行臺監察로, 행대는 모든 외관을 규찰할 수 있지만 기간이 짧고 直斷權이 없어 제대로 규찰하기 어려웠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것이 分臺御史의 파견이었다. 분대어사는 司憲府에서 감찰보다 높은 정5품 이상의 臺官을 겸임하여 파견하였고, 오랜 기간 순행하게 하여 백성의 사정을 자세히 살폈으며, 3품 이상의 관리에게는 직단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성종대에 이르러 분대어사가 파견기간을 채우기 어렵고, 수령과 결탁하는 경우가 생겼으며, 적절하지 않은 인물이 임명되는 상황까지 발생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관을 겸임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었으므로 강명한 朝官인 弘文館員을 파견하는 일반어사가 성립하였다. 일반어사는 분대어사와 달리 행대처럼 빠른 시간 순행하는 특징을 지녔다. 또한 일반어사는 유사시에 특정한 임무를 담당하면서 그 기능이 분화되기도 하였는데, 이를 別遣御史라고 한다. 이와 같은 별견어사 중 하나로 군을 감찰하는 임무를 담당하는 어사가 감군어사이다. 하지만 감군어사는 어사제도의 흐름 속에서 짧은 기간에 규찰하는 일반어사와 달리 오랜 기간 순행한다는 점에서 개혁적인 성향의 분대어사와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감군어사의 파견은 조선전기에 심각했던 軍政의 폐단, 특히 수군의 문제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그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수군의 문제는 성종대에 더욱 심해져 수군에서 비롯된 代立과 放軍收布가 正兵까지 확대되는 현상을 보이자 그 원인 중 하나인 萬戶와 僉使의 비리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처음 논의되었다. 이후 중종 말에서 명종 초에 사태가 더욱 악화되어 군의 지휘계통에 있는 자들이 모두 폐단을 일으키자 명종 초에 훈척세력에 의해 감군어사의 파견이 건의되기에 이른다.
초기 논의에서는 훈척세력에 의해 규찰지역이 경상․전라 양도에 한정되고 탄핵대상이 만호와 첨사로 제한되면 연소한 문신을 파견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하지만 훈척세력의 인물을 배제하기 위해 시종과 대간에 있는 인물을 임명하고 기간도 처음 주장대로 6개월을 파견하면서 지방 통제의 효과가 나타났다. 감군어사가 실제 효과를 보이자 점차 파견지역, 임무, 권한이 확대되었다. 감군어사는 兩界까지 파견되었고, 구황 등 일반적인 업무도 담당하였으며, 兵使와 水使까지 탄핵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결국 감군어사는 분대어사와 유사하게 그 임무와 권한이 무겁고 중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감군어사의 임무와 권한 확대에 반대의 입장을 보이던 훈척세력과 달리 명종은 외관을 규제하는 지방통제책으로서 적극 지지하였다.
그러나 심한 흉년으로 감군어사의 파견이 양도에 일시적으로 중지되었고, 이어 乙卯倭變의 책임을 감군어사에게 지우면서 감군어사의 파견이 완전히 중단되었다. 이후 선조대에 乙巳士禍로 귀양 갔던 인물들이 돌아와 요직을 차지하면서 이들을 중심으로 감군어사의 파견이 추진되었으나 감군어사가 가진 개혁적 성향으로 인해 파견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national local control, continued from the 15th century to 16th century, by the establishment and dispatch of Gamgunuhsa(監軍御史) in the early Chosun Dynasty.
During the settlement of the centralism after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the Chosun Dynasty...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national local control, continued from the 15th century to 16th century, by the establishment and dispatch of Gamgunuhsa(監軍御史) in the early Chosun Dynasty.
During the settlement of the centralism after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the Chosun Dynasty dispatched various kinds of envoys to the local districts occasionally to control the local public officials or to complement the their functions. Gamgunuhsa was differentiated from Uhsa(a royal secret inspector, 御史) which was one of such envoys. The beginning of Uhsa in the Chosun Dynasty was Hangdaegamchal(行臺監察). Hangdae(行臺) could regulate every local public officials, however, the short tour of duty and lack of the right to impeach made him difficult to exercise his duty as it should be. The plan to overcome such limits was the dispatch of Bundaeuhsa(分臺御史). Bundaeuhsa held the additional post of Daekwan(臺官) above Jung-5-pum(正5品) which was higher than Gamchal(監察) at Sahunbu(司憲府). The longer-term patrol enabled Bundaeuhsa to inspect closely into the circumstances of the people. Officials above 3-pum could exercise impeachment.
However, in the reign of King Sungjong, difficulties occurred in completing the full detachment term of a Bundaeuhsa. There were cases such as Bundaeuhsa acted in collusion with the local governor(Suryung, 守令) and inappropriate person was appointed to the post. As holding the additional post of Daekwan in the process was a burdensome task, Ilbanuhsa, dispatching a intrepid and bright public official of Hongmunkwan(弘文館), was formed. Unlike Bundaeuhsa, Ilbanuhsa went in order within shorter term. Also, the function of Ilbanuhsa was differentiated by taking charge of special duty in time of emergency. It was called Byulgyunuhsa(別遣御史). One of the Byulgyunuhsa that undertook the task of inspecting the army was Gamgunuhsa. However, Gamgunuhsa was similar in character with Bundaeuhsa, which was more reformatory, in that it went in order longer term unlike Ilbanuhsa, which controlled within shorter term in the passage of Uhsa system.
The dispatch of Gamgunuhsa reflected the phases of times in that it sprang out of the serious evil of military administration in the early Chosun Dynasty, especially the issue of naval forces. The issue of naval forces exacerbated in the reign of Sungjong until the system of Daelip(代立) and Bangunsupo(放軍收布) appeared to extend to the regular army. As a result, the first discussion was made to eliminate one of the many reasons, the irrationality of Manho(萬戶) and Chumsa(僉使). Since then, circumstances went worse from the end of Jungjong Dynasty to the early Myungjong Dynasty. And in the early Myungjong Dynasty when every personnel in the chain of command committed evil practices, the power of Hunchuk(勳戚) at last suggested dispatching Gamgunuhsa.
In the early discussion, the Hunchuk, the influential party, limited the inspection area to two states, Kyungsangdo and Chollado, and settled to dispatch young civil ministers when the officials to be impeached were limited to Manho and Chumsa. However, the local control achieved effect only after the personnel who belonged to Sijong(侍從) and Daegan(臺諫) was appointed to the post, avoiding the personnel within the power of Hunchuk, and was dispatched for six months following the very first suggestion. As Gamgunuhsa showed real effect, his dispatching area, duty and right extended. Gamgunuhsa was sent out to Yanggye(兩界), took charge of general duty such as famine relief and was endowed with the right to impeach Byungsa(兵使) and Susa(水使). After all, Gamgunuhsa earned important duty and right, similar to those of Bundaeuhsa. In this process, King Myungjong went to bat for extending the duty and right of Gamgunuhsa, against the opposition of Hunchuk.
However, a lean year suspended the dispatch of Gamgunuhsa to the two states for the nonce. And the dispatch completely stopped when the responsibility of Eulmyowhebyun(乙卯倭變) was attributed to Gamgunhusa. Since then, when the exiles of Eulsasawha(乙巳士禍) were restored to important posts in the reign of King Sunjo, they tried to promote the dispatch of Gamgunuhsa but the reformatory inclination of Gaumgunuhsa failed to achieve the dispatch.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national local control, continued from the 15th century to 16th century, by the establishment and dispatch of Gamgunuhsa(監軍御史) in the early Chosun Dynasty.
During the settlement of the centralism after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the Chosun Dynasty dispatched various kinds of envoys to the local districts occasionally to control the local public officials or to complement the their functions. Gamgunuhsa was differentiated from Uhsa(a royal secret inspector, 御史) which was one of such envoys. The beginning of Uhsa in the Chosun Dynasty was Hangdaegamchal(行臺監察). Hangdae(行臺) could regulate every local public officials, however, the short tour of duty and lack of the right to impeach made him difficult to exercise his duty as it should be. The plan to overcome such limits was the dispatch of Bundaeuhsa(分臺御史). Bundaeuhsa held the additional post of Daekwan(臺官) above Jung-5-pum(正5品) which was higher than Gamchal(監察) at Sahunbu(司憲府). The longer-term patrol enabled Bundaeuhsa to inspect closely into the circumstances of the people. Officials above 3-pum could exercise impeachment.
However, in the reign of King Sungjong, difficulties occurred in completing the full detachment term of a Bundaeuhsa. There were cases such as Bundaeuhsa acted in collusion with the local governor(Suryung, 守令) and inappropriate person was appointed to the post. As holding the additional post of Daekwan in the process was a burdensome task, Ilbanuhsa, dispatching a intrepid and bright public official of Hongmunkwan(弘文館), was formed. Unlike Bundaeuhsa, Ilbanuhsa went in order within shorter term. Also, the function of Ilbanuhsa was differentiated by taking charge of special duty in time of emergency. It was called Byulgyunuhsa(別遣御史). One of the Byulgyunuhsa that undertook the task of inspecting the army was Gamgunuhsa. However, Gamgunuhsa was similar in character with Bundaeuhsa, which was more reformatory, in that it went in order longer term unlike Ilbanuhsa, which controlled within shorter term in the passage of Uhsa system.
The dispatch of Gamgunuhsa reflected the phases of times in that it sprang out of the serious evil of military administration in the early Chosun Dynasty, especially the issue of naval forces. The issue of naval forces exacerbated in the reign of Sungjong until the system of Daelip(代立) and Bangunsupo(放軍收布) appeared to extend to the regular army. As a result, the first discussion was made to eliminate one of the many reasons, the irrationality of Manho(萬戶) and Chumsa(僉使). Since then, circumstances went worse from the end of Jungjong Dynasty to the early Myungjong Dynasty. And in the early Myungjong Dynasty when every personnel in the chain of command committed evil practices, the power of Hunchuk(勳戚) at last suggested dispatching Gamgunuhsa.
In the early discussion, the Hunchuk, the influential party, limited the inspection area to two states, Kyungsangdo and Chollado, and settled to dispatch young civil ministers when the officials to be impeached were limited to Manho and Chumsa. However, the local control achieved effect only after the personnel who belonged to Sijong(侍從) and Daegan(臺諫) was appointed to the post, avoiding the personnel within the power of Hunchuk, and was dispatched for six months following the very first suggestion. As Gamgunuhsa showed real effect, his dispatching area, duty and right extended. Gamgunuhsa was sent out to Yanggye(兩界), took charge of general duty such as famine relief and was endowed with the right to impeach Byungsa(兵使) and Susa(水使). After all, Gamgunuhsa earned important duty and right, similar to those of Bundaeuhsa. In this process, King Myungjong went to bat for extending the duty and right of Gamgunuhsa, against the opposition of Hunchuk.
However, a lean year suspended the dispatch of Gamgunuhsa to the two states for the nonce. And the dispatch completely stopped when the responsibility of Eulmyowhebyun(乙卯倭變) was attributed to Gamgunhusa. Since then, when the exiles of Eulsasawha(乙巳士禍) were restored to important posts in the reign of King Sunjo, they tried to promote the dispatch of Gamgunuhsa but the reformatory inclination of Gaumgunuhsa failed to achieve the dispat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