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에 대한 검토
A Study on a pit dwelling in Chosun Dynasty 원문보기


오준혁 (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거지는 인류가 집단으로 생활하던 흔적으로 당대인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면서 생활정보가 가장 많이 함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주거’라 함은 일정한 곳에 머물러 사는 것이나 그런 집을 의미하며, 이러한 집들이 모여 촌락을 구성한다. 조선시대에 있어서 촌락은 전통적 생활공동체의 최소단위로 국가와 군현의 지배체계가 최종적으로 미치는 말단의 행정단위였고, 사회경제적으로는 양반·상민·천민이 함께 살아가는 생활공간이었다. 이러한 촌락 내에는 구성원들이 거주한 다양한 형태의 주택들이 있다. 조선시대의 주택은 신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모두 지상건축물로서, 초기부터 家垈의 크기와 집의 間數, 장식에 제한을 나라에서 계급별로 한정함으로써 강한 家舍規制를 받았다. 고고학적으로 조사·보고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家舍規制에서 제외된 주거형태로 평면형태는 원형이나 방형으로 확인되며, 경사면 위쪽에 벽체를 굴착하여 시설한 아궁이가 마련되어 있다. 내부시설도 구체적인 구조나 주혈이 거의 확인되지 않으며, 규모는 다른 시대 주거지에 비해 협소하다. 이러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형상은 특별히 지역이나 시기에 따라 형태·내부구조에 있어 차이가 없이 공통적으로 확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동시기에 존재하는 기와집이나 초가집과 같은 당시의 일반적인 거주형태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家舍規制에서 다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역사에서 배재되어 있으나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은 실생활에서는 매우 중요한 생활문화공간으로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전지역에서 조사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사례검토를 통하여 이 지역 주거지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유사한 형태의 주거양상과 비교·검토하여 성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지는 평지와 평지구릉, 그리고 산지구릉으로 구분되는데, 경사면 위쪽 벽체를 굴착하여 아궁이시설을 마련한 전형적인 수혈주거 유형은 평지구릉과 산지구릉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수혈주거지의 입지는 중심지의 외곽에 위치한 얕은 구릉의 사면에 해당한다. 수혈주거지가 입지한 구릉은 주요 교통로와 인접한 곳으로 하천과 인접해 있고, 중앙에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어 출입이 용이하고 겨울철 북서계절풍을 막아주며 외부와의 차단기능을 하면서도 개방적인 지형 구조를 띠고 있다. 수혈주거지는 당시 家舍規制가 엄격히 적용되던 일반적인 주택양식과는 다른 형태로 평면형태나 구조에 있어서 규칙성이나 尺度가 확인되지 않으며, 출토유물로 미루어 14세기 후반에서 16세기에 걸쳐 조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수혈주거지의 평면 형태는 (장)방형·말각(장)방형·(타)원형으로, 이 중 (장)방형이 가장 많은 수가 확인되고 있어 일반적인 형태로 판단되나 대체적으로 어느 한 형태에 집중됨이 없이 고르게 나타나고 있다. 수혈주거지의 규모는 장축길이를 기준으로 구분하였을 때, 300~400㎝의 수혈주거지가 모든 평면 형태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이고 있어 가장 보편적으로 조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복잡해진 당시의 사회상을 고려한다면 주거지의 내부공간이 너무 협소함을 지적할 수 있겠는데, 그렇다고 하여 규모에 있어서도 크게 대형화하는 양상도 확인되지 않는다. 수혈주거지의 내부구조에서 아궁이시설과 고래, 연통부, 그리고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idential house is the trace in which human beings are living as a group, and the daily life of those days, is closely related, and affluent life information is implied. Generally, 'Residence‘ means a fixed place or house, and that those houses consist of village. Village as a minimum unit of trad...

주제어

#수혈주거지 

학위논문 정보

저자 오준혁
학위수여기관 공주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사학과
지도교수 이남석
발행연도 2008
총페이지 65
키워드 수혈주거지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1161501&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