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평면유형 연구 -서울·경기지역 수혈주거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type of Pit-dwelling site in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Pit-dwelling of Seoul·Gyeonggi region -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4 no.3, 2015년, pp.43 - 56  

서지은 (원광대학교 건축공학과) ,  홍승재 (원광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es on the pit dwellings in the Joseon Dynasty era have been constantly conducted in the archeology fiel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s. Most of the related researches in the past have been on the classification and chronological record of dwelling types in archeology, but architectural 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에 관한 연구는 언제부터 이루어지고 있는가?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에 관한 연구는 200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고고학분야에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고고학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주거지의 형식분류와 편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연결되는 주거사에 대한 건축학적 연구가 미흡하다.
어떤 점에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가 선사시대 주거지와 별 차이가 없는가? 발굴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들은 땅을 파서 공간을 마련하고 지붕은 풀이나 짚과 흙을 덮어 조성한다는 점에서 선사시대 주거지와 별 차이가 없다.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중 홑집형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홑집형은 규모와 장축방향에 의해 [1×2], [1×3], [2×1] 의 평면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온돌이 있는 공간은 방, 아궁이가 있는 공간은 부엌으로 기능적 분할이 이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2. Goryeodokyung 

  3. The JungAng Research Center of the Cultural Heritage, Gumoomchunri Remain of Hwaseong, 2004 

  4. Gyeoren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heonghak-dong Site, Osan, 2013 

  5. Gyounggi Cultural Heritage Research Center, Manjungri Shinki Remain of Ansung, 2009 

  6. Gyounggi Cultural Heritage Research Center, Homaesindong.Gumkokdong Remain of Suwon, 2011 

  7. Gyounggi Cultural Heritage Research Center, Dangdongri Remain of Munsan, 2011 

  8. Gyounggi Cultural Heritage Research Center, Seochundong Remain of Yongin, 2011 

  9. Gyounggi Cultural Heritage Research Center, Namyang-Dong Remain of Hwaseong, 2013 

  10. Giho Cultural Heritage Research Center, Report on the Excavation of Nungsan-ri Site in Paju, 2010 

  11. Giho Cultural Heritage Research Center, Report on the Excavation of Gwanggyo newtown Site, 2011 

  12. Jungbu Institute For Archaelogy, The Excavation Report of Yanggwi-ri, Yeoju, 2012 

  13. Hanbaek Cultural Heritage Research Center, Namyang-Dong Remain of Hwaseong, 2015 

  14. KimGwangeon, Residential-Folk Magazine of Korea, Minumsa, 1988 

  15.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Mountainous areas in the house and life, Gangwon Province, 1994 

  16.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interland areas in the house and life, Gyeongbuk Province, 1994 

  17. Kim Dong-wook,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Kimuundang, 2007 

  18. Cho Sung-Gie, Korean Folk House, Hanul Academi, 2006 

  19. 주남철, Housing Architecture in Korea, Iljisa, 1980 

  20. JeonBong-Hui?KwonYoun-Chan, Traditional Korean houses and History of Modern Korean Houses, Dondnyuk, 2013 

  21. ChoiYoung-Jun, Housing life history of the time of enlightenment, Hangilsa, 2013 

  22. Kim Hyun-ju, A Study on Pit Dwellings from the Joseon Dynasty in Namyang-Dong Remain of Hwaseong, Dankook University, 2014 

  23. Oh Seung-Kyu, Review of Character on Pit Dwelling Residential Area in Joseon Period, Archaeological Research, Science and Technology, Ajou University Museu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