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시 25개구 중 재정자립도가 낮은 중랑구 내의 아동·청소년 방과후 활동의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아동·청소년 방과후 활동의 활성화 및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조사지역으로 설정된 중랑구는 2007년 3월 1일 현재 20개동 42만 7천여 명의 구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가 1만여 명으로 서울의 다른 기초자치단체에 비해 저소득층 인구가 많이 밀집하여 거주할 뿐 아니라 재정자립도가 서울특별시 자치구 중 하위 3위(2005 통계청자료)로 열악한 자치구 중의 하나이다. 이는 중랑구가 열악한 지역으로 그만큼 사회복지에 대한 요구도가 높다고 판단되어지며 따라서 서울시의 25개 구 중 중랑구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서는 아동·청소년의 개념, 특성과 욕구, 방과후 활동의 개념 및 필요성, ...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구 중 재정자립도가 낮은 중랑구 내의 아동·청소년 방과후 활동의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아동·청소년 방과후 활동의 활성화 및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조사지역으로 설정된 중랑구는 2007년 3월 1일 현재 20개동 42만 7천여 명의 구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가 1만여 명으로 서울의 다른 기초자치단체에 비해 저소득층 인구가 많이 밀집하여 거주할 뿐 아니라 재정자립도가 서울특별시 자치구 중 하위 3위(2005 통계청자료)로 열악한 자치구 중의 하나이다. 이는 중랑구가 열악한 지역으로 그만큼 사회복지에 대한 요구도가 높다고 판단되어지며 따라서 서울시의 25개 구 중 중랑구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서는 아동·청소년의 개념, 특성과 욕구, 방과후 활동의 개념 및 필요성, 기대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의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방과후 학교, 방과후 보육시설에 대한 현황에 대하여 추진배경 및 필요성, 개념 및 기능, 운영현황,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둘째, 설문조사에서는 중랑구내의 방과후 활동 유형 중 주무부처가 각기 다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방과후학교, 방과후보육시설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기관용과 실무자용을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랑구내의 지역아동센터 12개 기관,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2개 기관, 방과후 학교 초등학교 22개 기관, 중학교 14개 기관, 방과후 보육시설 10개 기관으로 총 60개 기관에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7년 4월 23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며, 실제 수집된 기관은 지역아동센터 9개,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2개, 방과후 학교 초등학교 12개, 중학교 9개, 방과후 보육시설 10개 총 42개 기관이다. 이 연구를 통해 중랑구내의 방과후 활동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방과후 활동 유형에 따른 차이점 비교, 각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들의 업무만족도 정도, 사업활성화 방안 등 이를 종합하여 아동·청소년 방과후 활동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아동·청소년 방과후 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중랑구내의 방과후 활동기관의 실태조사를 통해 운영인력상의 문제점,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 전달체계 및 재정의 문제점, 시설환경 및 종사자 처우에 대한 문제점, 지역네트워크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방과후 활동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실무자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여야 한다. 방과후 활동 실시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들의 근무여건과 처우수준이 개선되어야만 질적으로 우수한 종사자 확보와 안정적이고 질적인 프로그램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다. 둘째, 방과후 활동 기관의 기관장과 실무자의 능력에 따라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방과후 활동 프로그램의 내실화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 국가차원의 프로그램 내용 및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 아동 · 청소년들의 학력 신장과 소질개발 및 창의성 개발은 물론 생활지도까지 포함한 전인적 교육활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국가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직무 수행을 위한 기술과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재교육과정의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재정에 대한 국가차원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 프로그램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질적으로 우수한 담당자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종사자들의 인건비가 해결되지 못하면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다. 여섯째, 4개 부처에서 실시하는 방과후 활동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서비스의 중복 및 예산의 중복 투자가 예상되므로 4개 부처 방과후 사업과의 상호연계 구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방과후 활동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방과후 활동은 지역사회와 상당히 밀접되어 있으므로, 방과후 활동 정책의 접근에 있어서는 지역사회복지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대상자들이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다양한 서비스 전달체계들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서울시 방과후활동지원센터를 운영하여 다른 부처 및 사업과 상호협력을 기하여 업무 및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을 돕도록 하며 지역사회 내 다른 부처 사업과의 연계방안을 검토한다. 넷째, 방과후 활동 코디네이터(가칭)를 통해 지역 내 4개 부처 사업의 방과후 활동을 지원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하여 코디네이터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 방과후 사업과의 연계가 원활해 질 수 있도록 돕는다. 다섯째, 방과후 활동 특화지원센터(방과후 정신건강 지원센터, 장애지원센터, 약물치료센터 등)를 시·도에 종류별 1개소 이상 설치, 운영하여 아동 · 청소년의 다양한 욕구 접근 및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구 중 재정자립도가 낮은 중랑구 내의 아동·청소년 방과후 활동의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아동·청소년 방과후 활동의 활성화 및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조사지역으로 설정된 중랑구는 2007년 3월 1일 현재 20개동 42만 7천여 명의 구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가 1만여 명으로 서울의 다른 기초자치단체에 비해 저소득층 인구가 많이 밀집하여 거주할 뿐 아니라 재정자립도가 서울특별시 자치구 중 하위 3위(2005 통계청자료)로 열악한 자치구 중의 하나이다. 이는 중랑구가 열악한 지역으로 그만큼 사회복지에 대한 요구도가 높다고 판단되어지며 따라서 서울시의 25개 구 중 중랑구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서는 아동·청소년의 개념, 특성과 욕구, 방과후 활동의 개념 및 필요성, 기대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의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방과후 학교, 방과후 보육시설에 대한 현황에 대하여 추진배경 및 필요성, 개념 및 기능, 운영현황,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둘째, 설문조사에서는 중랑구내의 방과후 활동 유형 중 주무부처가 각기 다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방과후학교, 방과후보육시설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기관용과 실무자용을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랑구내의 지역아동센터 12개 기관,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2개 기관, 방과후 학교 초등학교 22개 기관, 중학교 14개 기관, 방과후 보육시설 10개 기관으로 총 60개 기관에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7년 4월 23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며, 실제 수집된 기관은 지역아동센터 9개,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2개, 방과후 학교 초등학교 12개, 중학교 9개, 방과후 보육시설 10개 총 42개 기관이다. 이 연구를 통해 중랑구내의 방과후 활동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방과후 활동 유형에 따른 차이점 비교, 각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들의 업무만족도 정도, 사업활성화 방안 등 이를 종합하여 아동·청소년 방과후 활동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아동·청소년 방과후 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중랑구내의 방과후 활동기관의 실태조사를 통해 운영인력상의 문제점,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 전달체계 및 재정의 문제점, 시설환경 및 종사자 처우에 대한 문제점, 지역네트워크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방과후 활동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실무자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여야 한다. 방과후 활동 실시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들의 근무여건과 처우수준이 개선되어야만 질적으로 우수한 종사자 확보와 안정적이고 질적인 프로그램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다. 둘째, 방과후 활동 기관의 기관장과 실무자의 능력에 따라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방과후 활동 프로그램의 내실화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 국가차원의 프로그램 내용 및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 아동 · 청소년들의 학력 신장과 소질개발 및 창의성 개발은 물론 생활지도까지 포함한 전인적 교육활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국가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직무 수행을 위한 기술과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재교육과정의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재정에 대한 국가차원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 프로그램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질적으로 우수한 담당자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종사자들의 인건비가 해결되지 못하면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다. 여섯째, 4개 부처에서 실시하는 방과후 활동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서비스의 중복 및 예산의 중복 투자가 예상되므로 4개 부처 방과후 사업과의 상호연계 구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방과후 활동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방과후 활동은 지역사회와 상당히 밀접되어 있으므로, 방과후 활동 정책의 접근에 있어서는 지역사회복지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대상자들이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다양한 서비스 전달체계들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서울시 방과후활동지원센터를 운영하여 다른 부처 및 사업과 상호협력을 기하여 업무 및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을 돕도록 하며 지역사회 내 다른 부처 사업과의 연계방안을 검토한다. 넷째, 방과후 활동 코디네이터(가칭)를 통해 지역 내 4개 부처 사업의 방과후 활동을 지원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하여 코디네이터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 방과후 사업과의 연계가 원활해 질 수 있도록 돕는다. 다섯째, 방과후 활동 특화지원센터(방과후 정신건강 지원센터, 장애지원센터, 약물치료센터 등)를 시·도에 종류별 1개소 이상 설치, 운영하여 아동 · 청소년의 다양한 욕구 접근 및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ate of the activity after-school for child and youth at the Joongrang-Gu and brings up the controversial and plan to improve so that an opportunity that is revitalization of the activity after-school for child and youth and plan to improve is prepared. Joongrang-Gu is set b...
This study examines the state of the activity after-school for child and youth at the Joongrang-Gu and brings up the controversial and plan to improve so that an opportunity that is revitalization of the activity after-school for child and youth and plan to improve is prepared. Joongrang-Gu is set by the environment of Goongrang-Gu that is the poor Self-reliance and many low-income people, so the study is progressed limited for Goongrang-Gu.
The method to study is operated by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writer examines the conception, characteristic, need of child and youth and conception, necessity and implementation effects of the activity after-school. And this writer studies the status of community child center, academy after-school for youth, after-school, child-care center after-school sorting back ground, necessity, conception and ability, status of management, program. Second, through the survey among the type of activity after-school, for each charged officer staffs of community care center, academy after-school for youth, after-school, child-care center after-school survey is operated classified institution and staff.
Through the trend of facilities acting after-school in Joongrang-Gu, this writer considers the problem of managed staff, program, delivery system, budgeting, environment of facilities, work condition, community network.
So the suggestions to solve these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affs' work condition to make the activity after-school better qualitatively. It is possible to guarantee superior staffs and stable, qualitative program provision assumed improving work condition and treat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bring up the national guide-line and program for professionality and substantiality of activity after-school program.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 for whole person education activ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process to re-education to achieve the skill and knowledge for work performance.
Fifth,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about budgeting under certain national.
Sixth,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activities after-school because various programs cause the overlapping in service and budgeting.
Finally, to revitalize the activity after-school program. proposition is as follow;
First, it is necessary to approach community-organizational in approach of activity after-school policy because activity after-school closes to community.
Second, to make out about community clients ne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hape the network fot various service delivery system.
Third, to manage 'The Support Center for activity after-school', this facility assists the efficient execution of work and budgeting and examines the plan to connect with other program.
Fourth, through 'Coordinator of activity after-school(assumed name)', it helps and coordinates the activities after-school so it supports the connection each programs.
Fifth, to found and manage specialized support center for activity after-school, it operate the approach the various need of the child and youth and solving the problem.
This study examines the state of the activity after-school for child and youth at the Joongrang-Gu and brings up the controversial and plan to improve so that an opportunity that is revitalization of the activity after-school for child and youth and plan to improve is prepared. Joongrang-Gu is set by the environment of Goongrang-Gu that is the poor Self-reliance and many low-income people, so the study is progressed limited for Goongrang-Gu.
The method to study is operated by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writer examines the conception, characteristic, need of child and youth and conception, necessity and implementation effects of the activity after-school. And this writer studies the status of community child center, academy after-school for youth, after-school, child-care center after-school sorting back ground, necessity, conception and ability, status of management, program. Second, through the survey among the type of activity after-school, for each charged officer staffs of community care center, academy after-school for youth, after-school, child-care center after-school survey is operated classified institution and staff.
Through the trend of facilities acting after-school in Joongrang-Gu, this writer considers the problem of managed staff, program, delivery system, budgeting, environment of facilities, work condition, community network.
So the suggestions to solve these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affs' work condition to make the activity after-school better qualitatively. It is possible to guarantee superior staffs and stable, qualitative program provision assumed improving work condition and treat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bring up the national guide-line and program for professionality and substantiality of activity after-school program.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 for whole person education activ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process to re-education to achieve the skill and knowledge for work performance.
Fifth,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about budgeting under certain national.
Sixth,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activities after-school because various programs cause the overlapping in service and budgeting.
Finally, to revitalize the activity after-school program. proposition is as follow;
First, it is necessary to approach community-organizational in approach of activity after-school policy because activity after-school closes to community.
Second, to make out about community clients ne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hape the network fot various service delivery system.
Third, to manage 'The Support Center for activity after-school', this facility assists the efficient execution of work and budgeting and examines the plan to connect with other program.
Fourth, through 'Coordinator of activity after-school(assumed name)', it helps and coordinates the activities after-school so it supports the connection each programs.
Fifth, to found and manage specialized support center for activity after-school, it operate the approach the various need of the child and youth and solving the probl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