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RP-HPLC를 이용한 들깨와 차조기의 카페익산과 로즈마린산 분석 Determination of rosmarinic acid and caffeic acid from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and var. acuta KUDO by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원문보기
들깨는 꿀풀과 식물로 동남아시아 원산으로 한국에서 잎은 식용으로, 일본에서는 식품첨가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들깨의 종자는 들기름으로서 사용되었다. 차조기 역시 꿀풀과 식물로 중국원산으로 예전부터 중국 및 한국 등에서 약용식물로 재배되었다. 폴리페놀은 과일, 야채, 약용작물 등에 고루 분포하는데 들깨와 차조기에 함유한 대표적 폴리페놀인 ...
들깨는 꿀풀과 식물로 동남아시아 원산으로 한국에서 잎은 식용으로, 일본에서는 식품첨가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들깨의 종자는 들기름으로서 사용되었다. 차조기 역시 꿀풀과 식물로 중국원산으로 예전부터 중국 및 한국 등에서 약용식물로 재배되었다. 폴리페놀은 과일, 야채, 약용작물 등에 고루 분포하는데 들깨와 차조기에 함유한 대표적 폴리페놀인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의 함량을 분석 하였다. 시세이도 HPLC 시스템과 C18 제미니 컬럼, MeOH : formic acid : water = 35 : 0.8 : 64.2의 비율의 이동상 조건, 유속은 0.8 mL/min, UV 280 nm의 검출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 표준품으로 일중, 일간 검량을 실행하였으며, 에탄올 함량 과 추출시간에 따른 함량 변화로 최적의 추출조건을 설정하고, 최적조건에서의 회수율 실험, 차조기 잎, 자소엽이 함유된 한약제제인 향소산과 행소산에서의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 함량분석과 회수율 실험을 하였다. 한방제제까지 개발된 분석법을 바탕으로 들깨 잎의 생장시기별 함량과 들깨와 차조기의 부위별 함량, 한약재로 유통 중인 자소엽 제품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러한 결과로서 들깨와 차조기의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의 분석에 있어 50% 에탄올에 1시간 추출이 최적 추출조건이었으며, 향소산, 행소산에서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이 함유된 다른 약재의 피크 겹침 현상 없이 함량을 분석할 수 있었고, 들깨의 생장시기별 함량에서 꽃이 개화하고 종자가 맺는 시기에 함량이 증가하였다. 부위별 들깨와 차조기의 함량 분석에서 종자와 잎 부위에서 로즈마린산이 검출되었고, 카페익산에서 잎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한약재로 유통 중인 자소엽의 함량 분석에서 카페익산의 함량차이보다 로즈마린산의 함량차이가 많았다.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의 분리가 우수하여 차조기와 같은 과 동속 식물 생약의 품질관리의 설정에 유용한 자료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들깨는 꿀풀과 식물로 동남아시아 원산으로 한국에서 잎은 식용으로, 일본에서는 식품첨가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들깨의 종자는 들기름으로서 사용되었다. 차조기 역시 꿀풀과 식물로 중국원산으로 예전부터 중국 및 한국 등에서 약용식물로 재배되었다. 폴리페놀은 과일, 야채, 약용작물 등에 고루 분포하는데 들깨와 차조기에 함유한 대표적 폴리페놀인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의 함량을 분석 하였다. 시세이도 HPLC 시스템과 C18 제미니 컬럼, MeOH : formic acid : water = 35 : 0.8 : 64.2의 비율의 이동상 조건, 유속은 0.8 mL/min, UV 280 nm의 검출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 표준품으로 일중, 일간 검량을 실행하였으며, 에탄올 함량 과 추출시간에 따른 함량 변화로 최적의 추출조건을 설정하고, 최적조건에서의 회수율 실험, 차조기 잎, 자소엽이 함유된 한약제제인 향소산과 행소산에서의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 함량분석과 회수율 실험을 하였다. 한방제제까지 개발된 분석법을 바탕으로 들깨 잎의 생장시기별 함량과 들깨와 차조기의 부위별 함량, 한약재로 유통 중인 자소엽 제품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러한 결과로서 들깨와 차조기의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의 분석에 있어 50% 에탄올에 1시간 추출이 최적 추출조건이었으며, 향소산, 행소산에서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이 함유된 다른 약재의 피크 겹침 현상 없이 함량을 분석할 수 있었고, 들깨의 생장시기별 함량에서 꽃이 개화하고 종자가 맺는 시기에 함량이 증가하였다. 부위별 들깨와 차조기의 함량 분석에서 종자와 잎 부위에서 로즈마린산이 검출되었고, 카페익산에서 잎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한약재로 유통 중인 자소엽의 함량 분석에서 카페익산의 함량차이보다 로즈마린산의 함량차이가 많았다. 로즈마린산과 카페익산의 분리가 우수하여 차조기와 같은 과 동속 식물 생약의 품질관리의 설정에 유용한 자료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Labiatae) origin of southern Asia, which has been used for leaves as food in Korea and garnish in Japan, which has been used for seed as edible oil.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Labiatae) origin of China, which has been grown in China, Japan, Korea as a ...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Labiatae) origin of southern Asia, which has been used for leaves as food in Korea and garnish in Japan, which has been used for seed as edible oil.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Labiatae) origin of China, which has been grown in China, Japan, Korea as a medicinal use. Polyphenol is widely distributed in plants, fruits, vegetables and herbal spieces. We determined rosmarinic acid (RA) and caffeic acid (CA) in both perilla which represent polyphenols in perilla. In this study, a HPL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RA and CA in Perilla leaves described. Chromatographic separation performed using a mixture of methanol, water and formic acid (35 : 64.2 : 0.8) with a reversed-phase column (Gemini C18, 4.6 × 150 mm, 3 ㎛). The analytes detected at UV (280 nm). We performed inter-day, intra-day assays of RA and CA, and teste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in perilla for differential ethanol percentage and extraction time. We tested recovery for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and determined RA and CA in hyang-so-san and hang-so-san which contain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We determined seasonal changes RA and CA contents in perilla, also determined RA and CA contents in both perilla according to parts, and compared RA and CA contents according to market place for perilla. As a results we foun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of RA and CA was 50% EtOH for 1 h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RA & CA in hyang-so-san and hang-so-san without interference, concentrations of RA and CA increased after september in Perillae Folium, RA detected for leaf and seed.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Labiatae) origin of southern Asia, which has been used for leaves as food in Korea and garnish in Japan, which has been used for seed as edible oil.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Labiatae) origin of China, which has been grown in China, Japan, Korea as a medicinal use. Polyphenol is widely distributed in plants, fruits, vegetables and herbal spieces. We determined rosmarinic acid (RA) and caffeic acid (CA) in both perilla which represent polyphenols in perilla. In this study, a HPL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RA and CA in Perilla leaves described. Chromatographic separation performed using a mixture of methanol, water and formic acid (35 : 64.2 : 0.8) with a reversed-phase column (Gemini C18, 4.6 × 150 mm, 3 ㎛). The analytes detected at UV (280 nm). We performed inter-day, intra-day assays of RA and CA, and teste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in perilla for differential ethanol percentage and extraction time. We tested recovery for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and determined RA and CA in hyang-so-san and hang-so-san which contain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We determined seasonal changes RA and CA contents in perilla, also determined RA and CA contents in both perilla according to parts, and compared RA and CA contents according to market place for perilla. As a results we foun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of RA and CA was 50% EtOH for 1 h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RA & CA in hyang-so-san and hang-so-san without interference, concentrations of RA and CA increased after september in Perillae Folium, RA detected for leaf and se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