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식하는 암환자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정도 및 저해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도구는 교육의 중요도와 수행정도는 Lauer et al.(1982)가 개발한 도구를 김미란(2006)이 번역 수정한 도구와 저해요인은 유은경(1999)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07년 11월 5일부터 11월 9일까지 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 3곳의 간호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식하는 암환자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정도 및 저해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도구는 교육의 중요도와 수행정도는 Lauer et al.(1982)가 개발한 도구를 김미란(2006)이 번역 수정한 도구와 저해요인은 유은경(1999)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07년 11월 5일부터 11월 9일까지 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 3곳의 간호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의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조사도구의 신뢰성은 Cronbach's alpha 계수를 구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호사가 인식한 암환자교육의 수행(2.40±0.78)은 교육중요도(3.23±0.55)에 비해 낮았고, 환자교육수행 저해요인 중 환자요인(3.39±0.93)과 상황요인(3.18±1.07)이 간호사 요인(2.87±0.96)보다 높았다. (2) 암환자교육의 중요도와 수행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14.940, p=0.000). (3) 학력이 높고, 추가 교육을 희망하는 군이 환자교육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연령이 많고, 보수교육을 받은 군이 환자교육 수행도가 높았다. 임상경력이 많고, 간호하는 암환자수가 적은 군이 환자교육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았다. (4) 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교육 중요도와 수행정도(r=.234, p=.000)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육 저해요인은 중요도(r=-.168, p=.004)와 수행정도(r=-.174, p=.003)와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다른 간호업무의 병행으로 시간과 인력이 부족하여 교육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간호 인력의 증가가 필요하다. 교육 수행에 대한 수가 인정이 안 되므로 간호사의 환자교육을 보상하는 제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환자의 이해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연령과 학력을 고려한 다양한 수준의 시청각 교재와 멀티미디어 교육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암환자 교육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요구도에 대한 비교 연구가 제언된다. (2) 암환자에게 수행된 교육 내용 중 대인 관계적 문제들이나 성생활 영역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실무에서 이에 대한 교육 강화가 요구된다. (3) 암환자 교육에 대한 외래 간호사와 병동 간호사 간의 비교 연구가 제언된다.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식하는 암환자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정도 및 저해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도구는 교육의 중요도와 수행정도는 Lauer et al.(1982)가 개발한 도구를 김미란(2006)이 번역 수정한 도구와 저해요인은 유은경(1999)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07년 11월 5일부터 11월 9일까지 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 3곳의 간호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의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조사도구의 신뢰성은 Cronbach's alpha 계수를 구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호사가 인식한 암환자교육의 수행(2.40±0.78)은 교육중요도(3.23±0.55)에 비해 낮았고, 환자교육수행 저해요인 중 환자요인(3.39±0.93)과 상황요인(3.18±1.07)이 간호사 요인(2.87±0.96)보다 높았다. (2) 암환자교육의 중요도와 수행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14.940, p=0.000). (3) 학력이 높고, 추가 교육을 희망하는 군이 환자교육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연령이 많고, 보수교육을 받은 군이 환자교육 수행도가 높았다. 임상경력이 많고, 간호하는 암환자수가 적은 군이 환자교육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았다. (4) 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교육 중요도와 수행정도(r=.234, p=.000)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육 저해요인은 중요도(r=-.168, p=.004)와 수행정도(r=-.174, p=.003)와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다른 간호업무의 병행으로 시간과 인력이 부족하여 교육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간호 인력의 증가가 필요하다. 교육 수행에 대한 수가 인정이 안 되므로 간호사의 환자교육을 보상하는 제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환자의 이해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연령과 학력을 고려한 다양한 수준의 시청각 교재와 멀티미디어 교육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암환자 교육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요구도에 대한 비교 연구가 제언된다. (2) 암환자에게 수행된 교육 내용 중 대인 관계적 문제들이나 성생활 영역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실무에서 이에 대한 교육 강화가 요구된다. (3) 암환자 교육에 대한 외래 간호사와 병동 간호사 간의 비교 연구가 제언된다.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performed to discover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d impediments of education for cancer patients, as perceived by nurses. In relation to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is study utilizes the tools developed by Lauer et al.(1982) and translated...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performed to discover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d impediments of education for cancer patients, as perceived by nurses. In relation to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is study utilizes the tools developed by Lauer et al.(1982)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Kim, Mi-ran (2006). The tools developed by Yu, Eun-gyeong(1999) were utilized for the study of the impediments to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5th till 9th of 2007, and the study objects were 300 nurses in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methods of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SPSS 12.0,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s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below. (1) Nurses viewed performance (2.40±0.78) lower than the importance (3.23±0.55) of education for cancer patients, and in relation to factors impeding the performance of patient education, patient related factors (3.39±0.93) and situational factors (3.18±1.07) were higher than nurse related factors (2.87±0.96). (2)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ducation for the patients differed significantly (t=14.940, p=0.000). (3) For groups where academic levels and desire for supplementary education were higher,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as perceived more highly. The older and more educated the group, the higher the performance of patient education. The higher the clinical experience of nurses and the smaller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to care for, the higher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atient education. (4) Nurse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education (r=.234, p=.000)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to performance, and the impediments to education showed a meaningfully reverse correlation against importance (r=-.168, p=.004) and performance(r=-.174, p=.003). Based on the results summariz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umber of nurse must be increased to solve problems such as time and human resource shortages, and overload from teaching and nursing at the same time. As fees cannot be charged for patient education, a compensation system for nurs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is required. In addition, multi-level audio-visual and multimedia materials that take the age and academic level of patients into consideratio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ir comprehension abilities. Proposal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re below. (1) Comparative studies of the demand for cancer patient education between nurses and patients is proposed. (2) As the education provided for patients lacks content dealing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ir sex lives,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se topics in their education. (3) A comparative study of ward nurses and outpatient nurses in regard to the education of cancer patients is proposed.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performed to discover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d impediments of education for cancer patients, as perceived by nurses. In relation to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is study utilizes the tools developed by Lauer et al.(1982)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Kim, Mi-ran (2006). The tools developed by Yu, Eun-gyeong(1999) were utilized for the study of the impediments to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5th till 9th of 2007, and the study objects were 300 nurses in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methods of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SPSS 12.0,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s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below. (1) Nurses viewed performance (2.40±0.78) lower than the importance (3.23±0.55) of education for cancer patients, and in relation to factors impeding the performance of patient education, patient related factors (3.39±0.93) and situational factors (3.18±1.07) were higher than nurse related factors (2.87±0.96). (2)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ducation for the patients differed significantly (t=14.940, p=0.000). (3) For groups where academic levels and desire for supplementary education were higher,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as perceived more highly. The older and more educated the group, the higher the performance of patient education. The higher the clinical experience of nurses and the smaller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to care for, the higher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atient education. (4) Nurse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education (r=.234, p=.000)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to performance, and the impediments to education showed a meaningfully reverse correlation against importance (r=-.168, p=.004) and performance(r=-.174, p=.003). Based on the results summariz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umber of nurse must be increased to solve problems such as time and human resource shortages, and overload from teaching and nursing at the same time. As fees cannot be charged for patient education, a compensation system for nurs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is required. In addition, multi-level audio-visual and multimedia materials that take the age and academic level of patients into consideratio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ir comprehension abilities. Proposal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re below. (1) Comparative studies of the demand for cancer patient education between nurses and patients is proposed. (2) As the education provided for patients lacks content dealing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ir sex lives,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se topics in their education. (3) A comparative study of ward nurses and outpatient nurses in regard to the education of cancer patients is propos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