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유아교사의 특성과 미술교수효능감이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and art teaching efficacy of preschool's teachers on their recognition of art education원문보기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특성과 미술교수효능감이 미술교육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특성이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과 미술교육인식에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남부지역의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특성이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린이집교사가 유아미술교육의 학생 중심 동기유발방법, 유아미술교육의 심리적 환경구성 방법에서 유치원교사보다 어린이집교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미술교육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에서는 연령에서는 25세 미만의 교사, 어린이집교사, 경력 1년 미만에서 유치원교사보다 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과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미술교수효능감이 집단에 따라서 미술교육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특성이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유치원교사 보다는 어린이집교사가 유아미술교육인식에서 학생중심의 동기유발방법, 심리적 환경구성방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미술교육의 교육과정에서 문제점 인식은 기관유형에서는 어린이집교사, 연령에서는 25세 미만의 교사와 경력 1년인 교사가 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보다 어린이집 교사는 보육중심으로 원아들이 연령층이 다양해 나이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특성과 미술교수효능감이 미술교육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특성이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과 미술교육인식에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남부지역의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특성이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린이집교사가 유아미술교육의 학생 중심 동기유발방법, 유아미술교육의 심리적 환경구성 방법에서 유치원교사보다 어린이집교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미술교육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에서는 연령에서는 25세 미만의 교사, 어린이집교사, 경력 1년 미만에서 유치원교사보다 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과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미술교수효능감이 집단에 따라서 미술교육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특성이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유치원교사 보다는 어린이집교사가 유아미술교육인식에서 학생중심의 동기유발방법, 심리적 환경구성방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미술교육의 교육과정에서 문제점 인식은 기관유형에서는 어린이집교사, 연령에서는 25세 미만의 교사와 경력 1년인 교사가 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보다 어린이집 교사는 보육중심으로 원아들이 연령층이 다양해 나이 어린 영아가 많고, 보육시간이 유치원보다 길어서 미술교육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유아교사의 학력, 전공, 미술관련 교육기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유아미술 교육의 특성상 교사의 배경변인에 의해 결정되어지기 보다는 교사의 현직 교육 등을 통한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유아 미술에 대한 이해에 의해 더 많이 좌우되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미술교육인식의 향상을 위해 교사의 직전교육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이뤄질 수 있는 다양한 현직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우선 유아들의 성장과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유아의 발달단계를 이해하고 유아교사의 역할 및 자질을 갖추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겠다. 둘째, 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은 집단에 따라 미술교육인식이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미술교육의 중요성과 통합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지각되고 있고 동기유발방법으로 학생중심을 선호하고 있으며 미술교육환경에서 심리적 환경을 중요한 것으로 들고 있으며, 이들은 유아미술교육활동에서는 문제점을 교육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미술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유아에게 교수를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으며, 유아가 학습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유아의 잘못이나 부족이 아니라 교사의 교수방법이 부적절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성공할 때까지 교수 방법을 바꾼다. 반면, 효능감이 낮은 교사들은 학생들이 학습하는데 노력을 덜 기울이고 학생이 실패했을 때 쉽게 포기하며, 대답을 기다리기 보다는 직접 해답을 주는 경향이 있다. 유아미술교육의 특성상 교사의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 효능감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의해 결정되어지기 보다는 교사 현직교육 등을 통한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유아 미술에 대한 이해에 의해 더 많이 좌우되어 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미술교수 효능감의 향상을 위해 교사의 직전교육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이뤄질 수 있는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해 줘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특성과 미술교수효능감이 미술교육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특성이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과 미술교육인식에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남부지역의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특성이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린이집교사가 유아미술교육의 학생 중심 동기유발방법, 유아미술교육의 심리적 환경구성 방법에서 유치원교사보다 어린이집교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미술교육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에서는 연령에서는 25세 미만의 교사, 어린이집교사, 경력 1년 미만에서 유치원교사보다 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과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미술교수효능감이 집단에 따라서 미술교육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특성이 미술교육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유치원교사 보다는 어린이집교사가 유아미술교육인식에서 학생중심의 동기유발방법, 심리적 환경구성방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미술교육의 교육과정에서 문제점 인식은 기관유형에서는 어린이집교사, 연령에서는 25세 미만의 교사와 경력 1년인 교사가 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보다 어린이집 교사는 보육중심으로 원아들이 연령층이 다양해 나이 어린 영아가 많고, 보육시간이 유치원보다 길어서 미술교육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유아교사의 학력, 전공, 미술관련 교육기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유아미술 교육의 특성상 교사의 배경변인에 의해 결정되어지기 보다는 교사의 현직 교육 등을 통한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유아 미술에 대한 이해에 의해 더 많이 좌우되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미술교육인식의 향상을 위해 교사의 직전교육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이뤄질 수 있는 다양한 현직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우선 유아들의 성장과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유아의 발달단계를 이해하고 유아교사의 역할 및 자질을 갖추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겠다. 둘째, 유아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은 집단에 따라 미술교육인식이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미술교육의 중요성과 통합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지각되고 있고 동기유발방법으로 학생중심을 선호하고 있으며 미술교육환경에서 심리적 환경을 중요한 것으로 들고 있으며, 이들은 유아미술교육활동에서는 문제점을 교육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미술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유아에게 교수를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으며, 유아가 학습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유아의 잘못이나 부족이 아니라 교사의 교수방법이 부적절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성공할 때까지 교수 방법을 바꾼다. 반면, 효능감이 낮은 교사들은 학생들이 학습하는데 노력을 덜 기울이고 학생이 실패했을 때 쉽게 포기하며, 대답을 기다리기 보다는 직접 해답을 주는 경향이 있다. 유아미술교육의 특성상 교사의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 효능감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의해 결정되어지기 보다는 교사 현직교육 등을 통한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유아 미술에 대한 이해에 의해 더 많이 좌우되어 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미술교수 효능감의 향상을 위해 교사의 직전교육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이뤄질 수 있는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해 줘야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and art-teaching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on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nfluence do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teachers exert on their awar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and art-teaching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on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nfluence do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teachers exert on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2. What influence does the art-teaching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exert on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chool teachers on their perception of art education, the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better aware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of student-centered motivation and the setting of required psychological environments. Those who were under 25, who worked in daycare centers and whose career was less than a year were better cognizant of problems with the early childhood art curriculum than their counterpart. Second, as to the influence of art-teaching efficacy on awareness of art education, the art-teaching efficacy of the teachers made a difference to their view of art education.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as for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chool teachers on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the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better aware of student-centered motivation and the setting of psychological environments. And those who were daycare center teachers, who were under 25 and whose career was a year were better cognizant of problems with the early childhood art curriculum than their counterparts. As for the possible reason for the findings, the daycare centers that focused on child care catered to preschooler of different age groups. So the daycare centers had a lot of younger preschoolers and took care of them for a longer time than the kindergartens, which allowed the daycare center teachers to give more time to art education. The academic credential and major of the preschool teachers and whether they received education in art education institution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It indicated that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ir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hinged on whether to receive in-service education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art education rather than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To boost teachers' awareness of art education, they should be given a lot of opportunities to receive in- service education as well as pre-service education. They should make ceaseless efforts to get a grip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ers and to bolster their qualifications in order to step up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reschoolers. Second,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rt-teaching efficacy. The teachers whose art-teaching efficacy was better woke up to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nd integrated art education and preferred student-centered motivation. At the same time, those teachers valued psychological environments for art education and felt that there's something wrong with the early childhood art curriculum. The teachers who had a better art-teaching efficacy believed that teaching might affect preschoolers, and continued to change their teaching methods to ensure the successful learning of preschoolers on the ground that their unsuccessful learning didn't result from their own mistake but from inadequate teaching method. In contrast,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teachers with poor efficacy to make less efforts to improve the learning of preschoolers, to easily give up in the event of their failure and to give a solution without waiting for their rep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 art-teaching efficacy of the teachers was more affected by whether they received in- service education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art, rather than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erefore not only pre-service education but a lot of in-service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preschool teachers to bolster their art-teaching efficac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and art-teaching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on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nfluence do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teachers exert on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2. What influence does the art-teaching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exert on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chool teachers on their perception of art education, the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better aware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of student-centered motivation and the setting of required psychological environments. Those who were under 25, who worked in daycare centers and whose career was less than a year were better cognizant of problems with the early childhood art curriculum than their counterpart. Second, as to the influence of art-teaching efficacy on awareness of art education, the art-teaching efficacy of the teachers made a difference to their view of art education.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as for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chool teachers on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the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better aware of student-centered motivation and the setting of psychological environments. And those who were daycare center teachers, who were under 25 and whose career was a year were better cognizant of problems with the early childhood art curriculum than their counterparts. As for the possible reason for the findings, the daycare centers that focused on child care catered to preschooler of different age groups. So the daycare centers had a lot of younger preschoolers and took care of them for a longer time than the kindergartens, which allowed the daycare center teachers to give more time to art education. The academic credential and major of the preschool teachers and whether they received education in art education institution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It indicated that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ir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hinged on whether to receive in-service education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art education rather than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To boost teachers' awareness of art education, they should be given a lot of opportunities to receive in- service education as well as pre-service education. They should make ceaseless efforts to get a grip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ers and to bolster their qualifications in order to step up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reschoolers. Second, their awareness of art educ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rt-teaching efficacy. The teachers whose art-teaching efficacy was better woke up to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nd integrated art education and preferred student-centered motivation. At the same time, those teachers valued psychological environments for art education and felt that there's something wrong with the early childhood art curriculum. The teachers who had a better art-teaching efficacy believed that teaching might affect preschoolers, and continued to change their teaching methods to ensure the successful learning of preschoolers on the ground that their unsuccessful learning didn't result from their own mistake but from inadequate teaching method. In contrast,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teachers with poor efficacy to make less efforts to improve the learning of preschoolers, to easily give up in the event of their failure and to give a solution without waiting for their rep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 art-teaching efficacy of the teachers was more affected by whether they received in- service education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art, rather than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erefore not only pre-service education but a lot of in-service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preschool teachers to bolster their art-teaching efficac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