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s interaction type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during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은 어떠한가? 2.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이 유아의 언어표현력(문장수, 평균발화길이, 단어수, 어휘다양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 4세반 담임교사 60명과 그들 교사의 반 유아 240명, 유아 240명의 부모이다.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은 캐나다 해넨 센터의 Girolametto, Weitzman, Greenberg(2000)가 개발한 TILRS(Teacher Interaction and Language Rating Scale)를 Girolametto와 Weitzman(2002)가 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 상호작용 유형으로 범주화시킨 것을 연구자가 한글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언어표현력(문장수, 평균발화길이, 단어수, 어휘다양도)은 발화기준과 분석도구인 ...
본 연구의 목적은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은 어떠한가? 2.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이 유아의 언어표현력(문장수, 평균발화길이, 단어수, 어휘다양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 4세반 담임교사 60명과 그들 교사의 반 유아 240명, 유아 240명의 부모이다.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은 캐나다 해넨 센터의 Girolametto, Weitzman, Greenberg(2000)가 개발한 TILRS(Teacher Interaction and Language Rating Scale)를 Girolametto와 Weitzman(2002)가 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 상호작용 유형으로 범주화시킨 것을 연구자가 한글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언어표현력(문장수, 평균발화길이, 단어수, 어휘다양도)은 발화기준과 분석도구인 RHINO 2. 5. 1. 1 형태소 분석기 및 한마루 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량을 분석하였고,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7.0 프로그램으로 다층선형모형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은 평균점수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점토놀이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 중 아동중심 유형의 평균점수는 3.53(SD=0.95), 상호작용촉진 유형의 평균점수는 3.38(SD=0.98), 언어모델링 유형의 평균점수는 2.98(SD=1.07)로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도 아동중심 유형의 평균점수는 3.48(SD=1.05), 상호작용촉진 유형의 평균점수는 3.52(SD=0.87), 언어모델링 유형 평균점수는 2.92(SD=0.89)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의 평균점수 비교에서도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 중 아동중심 유형의 평균점수는 그림책 읽기 활동에 비해 점토놀이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상호작용촉진 유형의 평균점수는 그림책 읽기 활동에 비해 점토놀이에서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언어모델링 유형의 평균점수는 그림책 읽기 활동에 비해 점토놀이에서 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은 유아의 언어표현력(문장수, 평균발화길이, 단어수, 어휘다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의 각각 평균점수가 달랐으며,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의 평균점수 차이를 비교했을 때도 역시 평균점수를 다르게 나타냈다. 또한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이 모두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interaction type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during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What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were observed during play dough time and picturebook reading? What are the effects of each type of teacher's interaction (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during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number of sentences, mean length of utterance, number of words and lexical diversity)?
This study targeted on 60 teachers of 4-year-old children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240 children and 240 parents. TILRS (Teacher Interaction and Language Rating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Girolametto, Weitzman, Greenberg(2000) at Hanen Center in Canada and categorized by Girolametto and Weitzman(2002), was adapted by the researcher in order to categorize th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ㅡ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number of sentences, mean length of utterance, number of words and lexical diversity) was analyzed by using the utterance criteria and analytic tool, RHINO 2.5.1.1 Lexical Analyzer, and Hanmaru 2.0. In order to obtain the results of the questions above, SPSS 20.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and HLM (Hierarchical Linear Model) 7.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scores of each type of teacher's interaction(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were different during both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In other words, the results showed averaged scores of play dough- 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and for picturebook reading- interaction-promoting, child-centered and language modeling- in descending order. The average scores of thre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were also different between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The average score of child-centered was higher in play dough compared to picturebook reading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score of interaction-promoting was lower in play dough than in picturebook reading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average score of language modeling was higherㅡand statistically significantㅡin play dough than in picturebook reading. Secondly, th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during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number of sentences, mean length of utterance, number of words and lexical diversity) and those effects were all diffe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verage scores of th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were different between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and in both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Moreover, th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during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all seemed to have static effects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during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could b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은 어떠한가? 2.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이 유아의 언어표현력(문장수, 평균발화길이, 단어수, 어휘다양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 4세반 담임교사 60명과 그들 교사의 반 유아 240명, 유아 240명의 부모이다.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은 캐나다 해넨 센터의 Girolametto, Weitzman, Greenberg(2000)가 개발한 TILRS(Teacher Interaction and Language Rating Scale)를 Girolametto와 Weitzman(2002)가 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 상호작용 유형으로 범주화시킨 것을 연구자가 한글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언어표현력(문장수, 평균발화길이, 단어수, 어휘다양도)은 발화기준과 분석도구인 RHINO 2. 5. 1. 1 형태소 분석기 및 한마루 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량을 분석하였고,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7.0 프로그램으로 다층선형모형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은 평균점수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점토놀이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 중 아동중심 유형의 평균점수는 3.53(SD=0.95), 상호작용촉진 유형의 평균점수는 3.38(SD=0.98), 언어모델링 유형의 평균점수는 2.98(SD=1.07)로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도 아동중심 유형의 평균점수는 3.48(SD=1.05), 상호작용촉진 유형의 평균점수는 3.52(SD=0.87), 언어모델링 유형 평균점수는 2.92(SD=0.89)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의 평균점수 비교에서도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 중 아동중심 유형의 평균점수는 그림책 읽기 활동에 비해 점토놀이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상호작용촉진 유형의 평균점수는 그림책 읽기 활동에 비해 점토놀이에서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언어모델링 유형의 평균점수는 그림책 읽기 활동에 비해 점토놀이에서 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아동중심, 상호작용촉진, 언어모델링)은 유아의 언어표현력(문장수, 평균발화길이, 단어수, 어휘다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의 각각 평균점수가 달랐으며,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의 평균점수 차이를 비교했을 때도 역시 평균점수를 다르게 나타냈다. 또한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이 모두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점토놀이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interaction type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during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What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were observed during play dough time and picturebook reading? What are the effects of each type of teacher's interaction (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during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number of sentences, mean length of utterance, number of words and lexical diversity)?
This study targeted on 60 teachers of 4-year-old children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240 children and 240 parents. TILRS (Teacher Interaction and Language Rating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Girolametto, Weitzman, Greenberg(2000) at Hanen Center in Canada and categorized by Girolametto and Weitzman(2002), was adapted by the researcher in order to categorize th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ㅡ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number of sentences, mean length of utterance, number of words and lexical diversity) was analyzed by using the utterance criteria and analytic tool, RHINO 2.5.1.1 Lexical Analyzer, and Hanmaru 2.0. In order to obtain the results of the questions above, SPSS 20.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and HLM (Hierarchical Linear Model) 7.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scores of each type of teacher's interaction(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were different during both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In other words, the results showed averaged scores of play dough- 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and for picturebook reading- interaction-promoting, child-centered and language modeling- in descending order. The average scores of thre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were also different between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The average score of child-centered was higher in play dough compared to picturebook reading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score of interaction-promoting was lower in play dough than in picturebook reading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average score of language modeling was higherㅡand statistically significantㅡin play dough than in picturebook reading. Secondly, th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child-centered, interaction-promoting and language modeling) during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number of sentences, mean length of utterance, number of words and lexical diversity) and those effects were all diffe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verage scores of th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were different between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and in both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Moreover, th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during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all seemed to have static effects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types of teacher's interaction during play dough and picturebook reading could b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