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유아의 지능, 사회성 및 기질과 그림표현 능력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intelligence, sociality, temperament and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원문보기
유아의 그림은 감정, 지적가능성, 신체발달, 지각인식, 창의성, 그리고 유아 개인의 사회성 발달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유아의 성장에 따른 변화와 발달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림을 수집하여, 그림표현 능력과 지능, 사회성, 그리고 기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유아미술 지도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고자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지적능력은 그림표현 능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2. 유아의 사회성은 그림표현 능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3. 유아의 기질은 그림표현 능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4. 성별에 따라 유아의 그림표현 능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광주시내 H유치원과, S유치원의 4세, 5세원아 6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유아에게 주 1회 주말에 겪었던 일을 상상하여 그리기를 4주동안 실시한 후 그림 ...
유아의 그림은 감정, 지적가능성, 신체발달, 지각인식, 창의성, 그리고 유아 개인의 사회성 발달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유아의 성장에 따른 변화와 발달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림을 수집하여, 그림표현 능력과 지능, 사회성, 그리고 기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유아미술 지도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고자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지적능력은 그림표현 능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2. 유아의 사회성은 그림표현 능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3. 유아의 기질은 그림표현 능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4. 성별에 따라 유아의 그림표현 능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광주시내 H유치원과, S유치원의 4세, 5세원아 6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유아에게 주 1회 주말에 겪었던 일을 상상하여 그리기를 4주동안 실시한 후 그림 표현능력을 평가하였다. 유아의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김재은의 4-7세용 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해 ISCS[P](Iowa Social Competency Scales: Preschool from)를 번역 수정하여 만든 어머니용 질문지률 교사용에 적절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한 양외점의「사회적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기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Thomas와 Chess의 도구를 원영미가 번역해서 사용한「부모용 기질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유아의 그림표현 능력과 지능, 사회성 및 기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SAS 프로그램에 의해 전산 처리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r)를 구하여 분석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그림표현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지능과 그림표현 능력은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정적 관계가 있었다. 2. 유아의 사회성과 그림표현 능력에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사회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활동성, 안정성, 협조성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비협조성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과민성과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아의 기질과 그림 표현 능력은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기질의 하위요인 중 반응역만 그림표현 능력과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유아의 그림표현 능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화로운 화면구성과 다양한 색채사용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고, 주제표상 정도, 세부적 묘사, 표현된 형체 등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아의 지능, 사회성은 그림표현 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나, 기질과 그림표현 능력은 상관관계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그림표현 능력은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아보다 여아의 그림표현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그림은 감정, 지적가능성, 신체발달, 지각인식, 창의성, 그리고 유아 개인의 사회성 발달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유아의 성장에 따른 변화와 발달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림을 수집하여, 그림표현 능력과 지능, 사회성, 그리고 기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유아미술 지도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고자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지적능력은 그림표현 능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2. 유아의 사회성은 그림표현 능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3. 유아의 기질은 그림표현 능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4. 성별에 따라 유아의 그림표현 능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광주시내 H유치원과, S유치원의 4세, 5세원아 6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유아에게 주 1회 주말에 겪었던 일을 상상하여 그리기를 4주동안 실시한 후 그림 표현능력을 평가하였다. 유아의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김재은의 4-7세용 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해 ISCS[P](Iowa Social Competency Scales: Preschool from)를 번역 수정하여 만든 어머니용 질문지률 교사용에 적절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한 양외점의「사회적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기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Thomas와 Chess의 도구를 원영미가 번역해서 사용한「부모용 기질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유아의 그림표현 능력과 지능, 사회성 및 기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SAS 프로그램에 의해 전산 처리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r)를 구하여 분석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그림표현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지능과 그림표현 능력은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정적 관계가 있었다. 2. 유아의 사회성과 그림표현 능력에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사회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활동성, 안정성, 협조성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비협조성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과민성과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아의 기질과 그림 표현 능력은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기질의 하위요인 중 반응역만 그림표현 능력과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유아의 그림표현 능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화로운 화면구성과 다양한 색채사용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고, 주제표상 정도, 세부적 묘사, 표현된 형체 등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아의 지능, 사회성은 그림표현 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나, 기질과 그림표현 능력은 상관관계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그림표현 능력은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아보다 여아의 그림표현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thesis aims a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intelligence, sociality, temperament and there drawing expression ability.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intelligence and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2. Is there any...
This thesis aims a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intelligence, sociality, temperament and there drawing expression ability.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intelligence and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2.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ociality and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3.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4. What is the difference of drawing expression ability between boys and girls? In order to investigate above questions, four and five year old kindergarten children being educated in H kindergarten and S kindergarten located in Kwangju city are made to become the object of this study. After they have been given an opportunity to draw the weekend experience on the white drawing paper of B_4 size one timea week for 4 weeks,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is evaluated. In addition intelligence test for four-to-seven year old children devised by Kim, Jae-Eun is carred out. To measure the sociality, the social ability barometer is used which was devised by Yang, Yeo-Jeam through the step from translating and adapting ISCS[P] into question paper for mothers to revising them into the question papers for teachers. For the evaluation of temperament, test paper of temperament for parents are adopted, which have been often used by Won, Young-Mee through translating Thomas and Chess's instrument. The collected data is processed by SAS program to obtain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o verify the t-tes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s intelligence and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shows the samepositive relation as the preceded studies. 2.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ociality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Among sub-factors of sociality, social activity and stability and cooperation are correlated positivity and non-cooperation is correlated negatively but hypersensitive is little correlated with drawing expression ability. 3. Children's temperament has no correlation with drawing expression ability But among sub-factors of temperament, the only threshold of responsitiveness shows comparatively low level of correlation. 4.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ability shows unequal according to the sexuality. It is revealed that female children are superior to male children in the field of harmonious picture arrangement and various color usage and also female children gains more points than male children in the degree of theme representation, in the detailed depiction and in the shape expressed although they are not statistically similar to one anoth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children's intelligence and sociality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drawing expression ability but temperament has little correlation with that ability, in addition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ability has correlation with sexual of distinct.
This thesis aims a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intelligence, sociality, temperament and there drawing expression ability.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intelligence and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2.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ociality and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3.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4. What is the difference of drawing expression ability between boys and girls? In order to investigate above questions, four and five year old kindergarten children being educated in H kindergarten and S kindergarten located in Kwangju city are made to become the object of this study. After they have been given an opportunity to draw the weekend experience on the white drawing paper of B_4 size one timea week for 4 weeks,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is evaluated. In addition intelligence test for four-to-seven year old children devised by Kim, Jae-Eun is carred out. To measure the sociality, the social ability barometer is used which was devised by Yang, Yeo-Jeam through the step from translating and adapting ISCS[P] into question paper for mothers to revising them into the question papers for teachers. For the evaluation of temperament, test paper of temperament for parents are adopted, which have been often used by Won, Young-Mee through translating Thomas and Chess's instrument. The collected data is processed by SAS program to obtain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o verify the t-tes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s intelligence and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shows the samepositive relation as the preceded studies. 2.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ociality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Among sub-factors of sociality, social activity and stability and cooperation are correlated positivity and non-cooperation is correlated negatively but hypersensitive is little correlated with drawing expression ability. 3. Children's temperament has no correlation with drawing expression ability But among sub-factors of temperament, the only threshold of responsitiveness shows comparatively low level of correlation. 4.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ability shows unequal according to the sexuality. It is revealed that female children are superior to male children in the field of harmonious picture arrangement and various color usage and also female children gains more points than male children in the degree of theme representation, in the detailed depiction and in the shape expressed although they are not statistically similar to one anoth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children's intelligence and sociality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drawing expression ability but temperament has little correlation with that ability, in addition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ability has correlation with sexual of distinc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