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장 <바리데기>에 나타난 여성상에서는 먼저 <바리데기>의 이야기 구조를 밝히고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바리데기의 무의식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바리데기의 무의식 구조를 좀 더 세부적으로 외적인격과 내적인격,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무의식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바리데기의 개인적 무의식에는 태어나자마자 아들이 아니라는 이유로 버림받은 상처가 잠재되어 있음을 살펴보았고, 집단적 무의식에는 우리나라 전통 여성들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 여성으로서 받아야 했던 신분적 차별과 편견이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내적인격 중에서도 바리데기가 가지고 있었던 아니무스의 실현, 즉 여성 안의 남성성을 바리데기의 영웅적 면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 이러한 바리데기의 영웅적 면모를 바리데기의 자기실현이라는 측면으로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바리데기가 가지고 있었던 남성성의 표출은 결국 바리데기가 여성으로서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의 자기실현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은 바리데기를 자신의 부모를 구한 개인적 영웅으로, 나아가 무조신이 되어 저승에서 인간들의 영혼을 달래고 위로하는 국가적 영웅으로 명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바리데기의 행위를 아니마, 아니무스의 발달 단계에 적용하여 바리데기라는 인물이 가지는 의의와 가치를 분석심리학적으로 살펴보았다. Ⅲ장 바리데기와 전통 여성상 비교에서는 바리데기를 한국 전통 여성상과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여성 수난담으로서의 바리데기와 여성 영웅으로서의 바리데기를 살펴봄으로써, 이 둘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그것을 바탕으로 바리데기가 상징하는 여성상의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전자에서는 <바리데기>를 '여성 수난담'이라고 보고, 바리데기에 나타난 인물상을 대표적인 아니마의 정서인 한, 인고, 체념의 정서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이는 한국 전통 여성상에서도 비슷한 형태로 발견되는 것이었다. 후자에서는 바리데기를 영웅 이야기 구조에 맞추어 분석하면서 바리데기의 개인적이면서 동시에 집단적인 영웅으로서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었다. 바리데기가 가지는 영웅적 면모는 한국 문학은 물론이고 전반적인 한국의 전통 문화 속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여성상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었다. Ⅳ장 <바리데기>의 교육적 의의와 교육 방안에서는 <바리데기>를 학교 현장에서 교육하는데 있어서 <바리데기>가 어떤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서사무가 <바리데기>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 2단원 <이야기의 구조>의 보충심화 부분에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공주야>라는 제목으로 제시되어 있다. <바리데기>를 학습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
Ⅱ장 <바리데기>에 나타난 여성상에서는 먼저 <바리데기>의 이야기 구조를 밝히고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바리데기의 무의식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바리데기의 무의식 구조를 좀 더 세부적으로 외적인격과 내적인격,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무의식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바리데기의 개인적 무의식에는 태어나자마자 아들이 아니라는 이유로 버림받은 상처가 잠재되어 있음을 살펴보았고, 집단적 무의식에는 우리나라 전통 여성들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 여성으로서 받아야 했던 신분적 차별과 편견이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내적인격 중에서도 바리데기가 가지고 있었던 아니무스의 실현, 즉 여성 안의 남성성을 바리데기의 영웅적 면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 이러한 바리데기의 영웅적 면모를 바리데기의 자기실현이라는 측면으로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바리데기가 가지고 있었던 남성성의 표출은 결국 바리데기가 여성으로서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의 자기실현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은 바리데기를 자신의 부모를 구한 개인적 영웅으로, 나아가 무조신이 되어 저승에서 인간들의 영혼을 달래고 위로하는 국가적 영웅으로 명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바리데기의 행위를 아니마, 아니무스의 발달 단계에 적용하여 바리데기라는 인물이 가지는 의의와 가치를 분석심리학적으로 살펴보았다. Ⅲ장 바리데기와 전통 여성상 비교에서는 바리데기를 한국 전통 여성상과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여성 수난담으로서의 바리데기와 여성 영웅으로서의 바리데기를 살펴봄으로써, 이 둘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그것을 바탕으로 바리데기가 상징하는 여성상의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전자에서는 <바리데기>를 '여성 수난담'이라고 보고, 바리데기에 나타난 인물상을 대표적인 아니마의 정서인 한, 인고, 체념의 정서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이는 한국 전통 여성상에서도 비슷한 형태로 발견되는 것이었다. 후자에서는 바리데기를 영웅 이야기 구조에 맞추어 분석하면서 바리데기의 개인적이면서 동시에 집단적인 영웅으로서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었다. 바리데기가 가지는 영웅적 면모는 한국 문학은 물론이고 전반적인 한국의 전통 문화 속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여성상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었다. Ⅳ장 <바리데기>의 교육적 의의와 교육 방안에서는 <바리데기>를 학교 현장에서 교육하는데 있어서 <바리데기>가 어떤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서사무가 <바리데기>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 2단원 <이야기의 구조>의 보충심화 부분에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공주야>라는 제목으로 제시되어 있다. <바리데기>를 학습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이해, 전통 여성상을 탈피한 새로운 여성상의 제시, 창의적인 사고의 방향제시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 <바리데기>를 교육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생각해 보기 위해서 교과서 외의 새로운 학습활동을 제시하였다. 특히 현재 <바리데기>는 교과서 내에서 대단원 '이야기 구조'가 갖고 있는 목표에 따라 영웅 이야기 구조를 파악하는데 초점에 맞추어서 교육되고 있다. 그래서 이 장에서는 <바리데기>의 이야기 구조를 파악하는 활동과 함께 Ⅱ장과 Ⅲ장에서 다루었던 <바리데기>의 여성상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서가무가 <바리데기>는 ‘바리공주’라고 불리기도 하며 ‘당금애기’와 더불어 한국의 대표적인 무속신화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바리데기>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한국의 대표적인 무속신화이면서도 한국 전통 여성상과는 다른 측면을 제시하고 있는 독특한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바리데기의 이러한 독특한 측면을 아니무스, 즉 여성 안의 남성성의 실현이라고 보고 이렇게 보았을 때 바리데기가 영웅으로서의 의의와 가치를 지닌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렇게 독특한 특성을 지니는 서사무가 <바리데기>의 주인공 바리데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고찰은 우리의 대표적인 무속신화를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나아가서 한국의 전통적인 여성상을 밝히는데 있어서도 사고와 이해의 폭을 확장시켜 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Ⅱ장 <바리데기>에 나타난 여성상에서는 먼저 <바리데기>의 이야기 구조를 밝히고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바리데기의 무의식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바리데기의 무의식 구조를 좀 더 세부적으로 외적인격과 내적인격,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무의식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바리데기의 개인적 무의식에는 태어나자마자 아들이 아니라는 이유로 버림받은 상처가 잠재되어 있음을 살펴보았고, 집단적 무의식에는 우리나라 전통 여성들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 여성으로서 받아야 했던 신분적 차별과 편견이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내적인격 중에서도 바리데기가 가지고 있었던 아니무스의 실현, 즉 여성 안의 남성성을 바리데기의 영웅적 면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 이러한 바리데기의 영웅적 면모를 바리데기의 자기실현이라는 측면으로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바리데기가 가지고 있었던 남성성의 표출은 결국 바리데기가 여성으로서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의 자기실현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은 바리데기를 자신의 부모를 구한 개인적 영웅으로, 나아가 무조신이 되어 저승에서 인간들의 영혼을 달래고 위로하는 국가적 영웅으로 명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바리데기의 행위를 아니마, 아니무스의 발달 단계에 적용하여 바리데기라는 인물이 가지는 의의와 가치를 분석심리학적으로 살펴보았다. Ⅲ장 바리데기와 전통 여성상 비교에서는 바리데기를 한국 전통 여성상과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여성 수난담으로서의 바리데기와 여성 영웅으로서의 바리데기를 살펴봄으로써, 이 둘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그것을 바탕으로 바리데기가 상징하는 여성상의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전자에서는 <바리데기>를 '여성 수난담'이라고 보고, 바리데기에 나타난 인물상을 대표적인 아니마의 정서인 한, 인고, 체념의 정서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이는 한국 전통 여성상에서도 비슷한 형태로 발견되는 것이었다. 후자에서는 바리데기를 영웅 이야기 구조에 맞추어 분석하면서 바리데기의 개인적이면서 동시에 집단적인 영웅으로서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었다. 바리데기가 가지는 영웅적 면모는 한국 문학은 물론이고 전반적인 한국의 전통 문화 속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여성상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었다. Ⅳ장 <바리데기>의 교육적 의의와 교육 방안에서는 <바리데기>를 학교 현장에서 교육하는데 있어서 <바리데기>가 어떤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서사무가 <바리데기>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 2단원 <이야기의 구조>의 보충심화 부분에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공주야>라는 제목으로 제시되어 있다. <바리데기>를 학습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이해, 전통 여성상을 탈피한 새로운 여성상의 제시, 창의적인 사고의 방향제시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 <바리데기>를 교육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생각해 보기 위해서 교과서 외의 새로운 학습활동을 제시하였다. 특히 현재 <바리데기>는 교과서 내에서 대단원 '이야기 구조'가 갖고 있는 목표에 따라 영웅 이야기 구조를 파악하는데 초점에 맞추어서 교육되고 있다. 그래서 이 장에서는 <바리데기>의 이야기 구조를 파악하는 활동과 함께 Ⅱ장과 Ⅲ장에서 다루었던 <바리데기>의 여성상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서가무가 <바리데기>는 ‘바리공주’라고 불리기도 하며 ‘당금애기’와 더불어 한국의 대표적인 무속신화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바리데기>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한국의 대표적인 무속신화이면서도 한국 전통 여성상과는 다른 측면을 제시하고 있는 독특한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바리데기의 이러한 독특한 측면을 아니무스, 즉 여성 안의 남성성의 실현이라고 보고 이렇게 보았을 때 바리데기가 영웅으로서의 의의와 가치를 지닌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렇게 독특한 특성을 지니는 서사무가 <바리데기>의 주인공 바리데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고찰은 우리의 대표적인 무속신화를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나아가서 한국의 전통적인 여성상을 밝히는데 있어서도 사고와 이해의 폭을 확장시켜 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 named 'Bari Princess', is a representative epic shaman song of the whole area in Korea. Baridegi, a heroine of , gave shape to a strong woman with a subjective will by escaping from a passive and dedicated woman's image. The study examined Baridegi in the viewpoint of analytical psychology by payi...
, named 'Bari Princess', is a representative epic shaman song of the whole area in Korea. Baridegi, a heroine of , gave shape to a strong woman with a subjective will by escaping from a passive and dedicated woman's image. The study examined Baridegi in the viewpoint of analytical psychology by paying attention to the above feature of Baridegi. The study could see that Baridegi had a hurt discarded by her parents since she was not born as a son in her personal unconsciousness and that Baridegi got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social standing as a woman in her collective consciousness. Also, the study could see that animus was realiz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o a personal heroine saving her own parents' lives and a national heroine relieving human soul in Heaven after she became the Mujosin (The god of female shamans' ancestors). On the basis of this woman's image, the study examined other aspects of a Korean woman's image in a new viewpoint by comparing/contrasting Baridegi's feature with the Korean traditional woman's image. The study was disclosed that had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with the traditional woman's image together by examining Baridegi as a woman's suffering story and Baridegi as a heroine.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could review the Korean traditional woman's image having been kept until now with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about Baridegi, a heroine of which was an epic shaman song. Finally, the study examined educational meanings of Baridegi and utilities of Baridegi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woman's image of as above. The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in the three sides of 'Understanding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proposal of a new woman's image and proposal of directions to an open thought. On the basis of the examination, the study proposed utilities of in the field of education focused on learning activities and drew up a learning guide plan. It is thought that an upright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about Baridegi, a heroine of which is an epic shaman song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gives us a good opportunity toexpand our thought and understanding in understanding a representative shaman myth of Korea and in making a close inquiry into the Korean traditional woman's image.
, named 'Bari Princess', is a representative epic shaman song of the whole area in Korea. Baridegi, a heroine of , gave shape to a strong woman with a subjective will by escaping from a passive and dedicated woman's image. The study examined Baridegi in the viewpoint of analytical psychology by paying attention to the above feature of Baridegi. The study could see that Baridegi had a hurt discarded by her parents since she was not born as a son in her personal unconsciousness and that Baridegi got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social standing as a woman in her collective consciousness. Also, the study could see that animus was realiz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o a personal heroine saving her own parents' lives and a national heroine relieving human soul in Heaven after she became the Mujosin (The god of female shamans' ancestors). On the basis of this woman's image, the study examined other aspects of a Korean woman's image in a new viewpoint by comparing/contrasting Baridegi's feature with the Korean traditional woman's image. The study was disclosed that had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with the traditional woman's image together by examining Baridegi as a woman's suffering story and Baridegi as a heroine.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could review the Korean traditional woman's image having been kept until now with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about Baridegi, a heroine of which was an epic shaman song. Finally, the study examined educational meanings of Baridegi and utilities of Baridegi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woman's image of as above. The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in the three sides of 'Understanding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proposal of a new woman's image and proposal of directions to an open thought. On the basis of the examination, the study proposed utilities of in the field of education focused on learning activities and drew up a learning guide plan. It is thought that an upright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about Baridegi, a heroine of which is an epic shaman song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gives us a good opportunity toexpand our thought and understanding in understanding a representative shaman myth of Korea and in making a close inquiry into the Korean traditional woman's imag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