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인간화’, ‘인간의 동물화’ 의사소통과 표현은 역사의 초창기부터 인간만이 가지고 있던 인간의 고유한 특징이다. 오늘날 만화는 문학과 이미지, 또는 글과 그림의 결합으로, 의사소통과 표현을 위한 매체로서의 그 역할을 충실히 실현하고 있다. 인간은 자기중심적인 생물로서 자신들의 의사전달과 감정표현을 위해 동물을 소재로 사용해왔다. 그것은 비단 만화 뿐 아니라 문화, 예술의 전반에 달하는 것으로 그 폭은 광범위하다. 만화 속에서 동물을 소재로 다루게 된 것은 ‘인간의 삶’을 그려내는 만화의 특성에서 비롯된 아주 자연스러운 결과였고, 동물을 소재로 하기에 만화라는 매체는 최적화되어 있었다. 어느 매체도 만화만큼 변화무쌍한 이미지의 유희를 누리지 못했으며, 내용에 따라 변화하는 표현의 깊이를 담지 못했다. 동물만화란 인간을 동물화하거나, 동물을 인간화함으로서 풍자나 해학, 유머와 같은 메시지를 감상자에게 전달 혹은 표현하는 만화로 그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동물의 소재가 만화와 오랜 시간 밀접한 관계를 맺어 온 이후로, 동물만화는 그 분야와 영역이 더욱 다양해졌으며 복잡해졌다. 동물만화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장르와 이미지들은, 만화라는 장르를 더욱 윤택하게 만들었다. 만화는 동물 이미지를 소재로 하여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그 영역을 넓혔다. 시각적인 면으로는, 동물 소재는 만화 이미지의 변화와 다양성을 가져다 줬다. ‘동물과 인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그 유사구조를 파악한 메타모포시스의 이미지’와 ‘동물과 인간의 형상을 결합하여 존재하지 않는 존재를 표현해 내는 ...
‘동물의 인간화’, ‘인간의 동물화’ 의사소통과 표현은 역사의 초창기부터 인간만이 가지고 있던 인간의 고유한 특징이다. 오늘날 만화는 문학과 이미지, 또는 글과 그림의 결합으로, 의사소통과 표현을 위한 매체로서의 그 역할을 충실히 실현하고 있다. 인간은 자기중심적인 생물로서 자신들의 의사전달과 감정표현을 위해 동물을 소재로 사용해왔다. 그것은 비단 만화 뿐 아니라 문화, 예술의 전반에 달하는 것으로 그 폭은 광범위하다. 만화 속에서 동물을 소재로 다루게 된 것은 ‘인간의 삶’을 그려내는 만화의 특성에서 비롯된 아주 자연스러운 결과였고, 동물을 소재로 하기에 만화라는 매체는 최적화되어 있었다. 어느 매체도 만화만큼 변화무쌍한 이미지의 유희를 누리지 못했으며, 내용에 따라 변화하는 표현의 깊이를 담지 못했다. 동물만화란 인간을 동물화하거나, 동물을 인간화함으로서 풍자나 해학, 유머와 같은 메시지를 감상자에게 전달 혹은 표현하는 만화로 그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동물의 소재가 만화와 오랜 시간 밀접한 관계를 맺어 온 이후로, 동물만화는 그 분야와 영역이 더욱 다양해졌으며 복잡해졌다. 동물만화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장르와 이미지들은, 만화라는 장르를 더욱 윤택하게 만들었다. 만화는 동물 이미지를 소재로 하여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그 영역을 넓혔다. 시각적인 면으로는, 동물 소재는 만화 이미지의 변화와 다양성을 가져다 줬다. ‘동물과 인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그 유사구조를 파악한 메타모포시스의 이미지’와 ‘동물과 인간의 형상을 결합하여 존재하지 않는 존재를 표현해 내는 그로테스크 양식’, ‘동물의 골격과 독특한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 ‘과장과 단순화를 거쳐 새로운 도상이 된 동물 캐릭터’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미지의 폭넓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만화 내용 속의 동물의 소재는 ‘사람의 탈을 쓴 등장인물’의 등장에서 ‘동물의 탈을 쓴 등장인물’의 등장으로 변화를 가져다 줬는데, 이것은 만화 속 주인공이 지칭하는 대상을 더욱 확대시켜, 만화의 내용을 독자가 대리 경험하는 ‘탈바가지 효과’를 더욱 강조할 수 있었다. 또한, 사람의 탈을 쓰고 행할 수 없는 행동들이 동물의 탈을 통해 보다 자유롭게 표현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동물의 의인화’를 통해 사람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은 사람의 행위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시각이 되기도 했다. 그리고 ‘동물의 상징성’에 담긴 비유를 통해 단순히 보이는 대로 해석되지 않고, 그 속뜻을 해석할 수 있는 내용의 깊이를 전달하고 있다. 이처럼, ‘만화의 이미지’부터 ‘만화의 내용’까지 동물의 소재는 다양한 효과를 통해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고, 만화는 그것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이 연구에서 다룬 것은 동물만화의 개념과 형식, 그리고 그 전반이다. 본 논문, 제 Ⅱ장에서는 동물만화의 의미와 영역설정을 위하여 그 개념을 살펴보았다. 인간과 동물의 관계 속에서 처음에는 단지 동물의 이미지만을 모방했을 뿐이었지만, 곧 인간은 그들의 독창적인 창의성을 발휘하여 창작활동을 촉발시켰다. 제 Ⅲ장에서는 동물만화가 그 장르의 특성을 확립하고 사회적으로 정착하는 과정을 다뤘다. 한국의 동물만화 원형은 고려시대부터 시작하여 조선의 민화에서 그 조짐을 보였고, 이후 한국의 근대 동물만화는 각각의 시대상을 반영한 형태를 보여 왔다. 냉전시대에는 전쟁과 관련된 내용을, 서구화된 시기에는 핵가족화와 반려동물에 관련된 내용을, 인터넷의 보급과 개인화된 현대에는 일상적이고 가벼운 내용을 다뤄왔다. 세계의 동물만화 원형은 고대 이집트의 신의 형상으로부터 중세의 풍자화, 초현실주의를 거친 전개를 보였으며, 세계의 동물만화는 출판 연재만화가 시작된 때부터 많은 작품들이 그 시대를 반영하면서 독자와 함께 호흡해 왔다는 것을 다뤘다. 또한, 다양한 장르에 따른 동물만화의 유형도 작품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동물만화를 만들어 내고 읽을 수 있는 기본적 원리를 담고 있는 동물기호학(Zoosemiotics)에 대해 다뤘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동물캐릭터의 감정 표현 방식과 그들의 의인화된 태도에서 비롯되는 기호학에 대해 분석했다. 또한, ‘양식적 스타일’에서는 다양한 동물 이미지를 알아보고 그 효과를 살펴봤으며, ‘내용적 스타일’에서는 동물을 인간으로 빗대어 표현한 의인화된 작품과 인간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의인화되지 않은 작품들을 나눠 분석했다. 동물만화는 다양한 내용을 아우르는 유연함을 가지고 다루려는 내용에 따라 동물을 소재로 사용하는 목적도 달라진다. 하지만 언제나 공통적인 것은 동물의 인간화를 통해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며, 그것은 노골적이지 않아서 독자들에게 쉽게 전달된다는 것이다. 제 Ⅴ장에서는 동물만화의 전반적인 비평과 그에 따르는 과제,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변화된 시대에서 대중들과 호흡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미지를 연구하고 그 모델 상을 제시해야 한다. 그리해야, 시대에 발맞춘 장르의 변화된 전개가 가능하다. 동물만화는 아직 그 가능성을 모두 다 발휘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물론 동물만화의 역사는 짧지 않으며, 이미 많은 부분에서 다양한 영향을 끼치고 있긴 하지만 아직 전문적으로 연구, 분석되지 않은 부분들이 더 많다. 그러기에 앞으로 동물만화의 발전은, 단순히 그 영역을 확대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것을 뛰어넘어 ‘동물의 인간화’, ‘인간의 동물화’를 통한 새로운 개념이 선보여 져야 할 것이다.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싶어 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알고 싶어 한다. 그것을 이유로 ‘의사소통과 표현을 위한 매체’는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는 문자나 언어 중심의 문화를 넘어서 이미지 중심의 문화에 위치하고 있다. 이미지는 문자와 마찬가지로, 이미지를 통한 자기표현과 메시지의 해석을 가능하게 했다. 이미지 문화의 한 부분으로서 만화는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대중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호흡하는 것이 더욱 쉬워졌다. ‘대중의 목소리’를 정체성으로 하고 있는 만화에게 있어서, 이미지가 중심이 되는 시대적 상황은 큰 발전과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이러한 시대를 바탕으로 하여 동물을 통한 표현은 대중의 목소리를 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앞으로도 끊임없이 등장 할 것이다. 인간의 내면을 투사하고 비춰내는 뛰어난 전달매체인 동물만화는 인간의 모습을 다듬고 반영하면서, 동물들의 우의적인 표현과 더불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는 곧 동물만화가 시대를 관류하여 우리 인간들의 이상적인 ‘휴먼 스케일’과 가치관을 상정하는 지침이자 하나의 텍스트가 되고 있음을 뜻한다.
‘동물의 인간화’, ‘인간의 동물화’ 의사소통과 표현은 역사의 초창기부터 인간만이 가지고 있던 인간의 고유한 특징이다. 오늘날 만화는 문학과 이미지, 또는 글과 그림의 결합으로, 의사소통과 표현을 위한 매체로서의 그 역할을 충실히 실현하고 있다. 인간은 자기중심적인 생물로서 자신들의 의사전달과 감정표현을 위해 동물을 소재로 사용해왔다. 그것은 비단 만화 뿐 아니라 문화, 예술의 전반에 달하는 것으로 그 폭은 광범위하다. 만화 속에서 동물을 소재로 다루게 된 것은 ‘인간의 삶’을 그려내는 만화의 특성에서 비롯된 아주 자연스러운 결과였고, 동물을 소재로 하기에 만화라는 매체는 최적화되어 있었다. 어느 매체도 만화만큼 변화무쌍한 이미지의 유희를 누리지 못했으며, 내용에 따라 변화하는 표현의 깊이를 담지 못했다. 동물만화란 인간을 동물화하거나, 동물을 인간화함으로서 풍자나 해학, 유머와 같은 메시지를 감상자에게 전달 혹은 표현하는 만화로 그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동물의 소재가 만화와 오랜 시간 밀접한 관계를 맺어 온 이후로, 동물만화는 그 분야와 영역이 더욱 다양해졌으며 복잡해졌다. 동물만화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장르와 이미지들은, 만화라는 장르를 더욱 윤택하게 만들었다. 만화는 동물 이미지를 소재로 하여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그 영역을 넓혔다. 시각적인 면으로는, 동물 소재는 만화 이미지의 변화와 다양성을 가져다 줬다. ‘동물과 인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그 유사구조를 파악한 메타모포시스의 이미지’와 ‘동물과 인간의 형상을 결합하여 존재하지 않는 존재를 표현해 내는 그로테스크 양식’, ‘동물의 골격과 독특한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 ‘과장과 단순화를 거쳐 새로운 도상이 된 동물 캐릭터’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미지의 폭넓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만화 내용 속의 동물의 소재는 ‘사람의 탈을 쓴 등장인물’의 등장에서 ‘동물의 탈을 쓴 등장인물’의 등장으로 변화를 가져다 줬는데, 이것은 만화 속 주인공이 지칭하는 대상을 더욱 확대시켜, 만화의 내용을 독자가 대리 경험하는 ‘탈바가지 효과’를 더욱 강조할 수 있었다. 또한, 사람의 탈을 쓰고 행할 수 없는 행동들이 동물의 탈을 통해 보다 자유롭게 표현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동물의 의인화’를 통해 사람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은 사람의 행위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시각이 되기도 했다. 그리고 ‘동물의 상징성’에 담긴 비유를 통해 단순히 보이는 대로 해석되지 않고, 그 속뜻을 해석할 수 있는 내용의 깊이를 전달하고 있다. 이처럼, ‘만화의 이미지’부터 ‘만화의 내용’까지 동물의 소재는 다양한 효과를 통해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고, 만화는 그것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이 연구에서 다룬 것은 동물만화의 개념과 형식, 그리고 그 전반이다. 본 논문, 제 Ⅱ장에서는 동물만화의 의미와 영역설정을 위하여 그 개념을 살펴보았다. 인간과 동물의 관계 속에서 처음에는 단지 동물의 이미지만을 모방했을 뿐이었지만, 곧 인간은 그들의 독창적인 창의성을 발휘하여 창작활동을 촉발시켰다. 제 Ⅲ장에서는 동물만화가 그 장르의 특성을 확립하고 사회적으로 정착하는 과정을 다뤘다. 한국의 동물만화 원형은 고려시대부터 시작하여 조선의 민화에서 그 조짐을 보였고, 이후 한국의 근대 동물만화는 각각의 시대상을 반영한 형태를 보여 왔다. 냉전시대에는 전쟁과 관련된 내용을, 서구화된 시기에는 핵가족화와 반려동물에 관련된 내용을, 인터넷의 보급과 개인화된 현대에는 일상적이고 가벼운 내용을 다뤄왔다. 세계의 동물만화 원형은 고대 이집트의 신의 형상으로부터 중세의 풍자화, 초현실주의를 거친 전개를 보였으며, 세계의 동물만화는 출판 연재만화가 시작된 때부터 많은 작품들이 그 시대를 반영하면서 독자와 함께 호흡해 왔다는 것을 다뤘다. 또한, 다양한 장르에 따른 동물만화의 유형도 작품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동물만화를 만들어 내고 읽을 수 있는 기본적 원리를 담고 있는 동물기호학(Zoosemiotics)에 대해 다뤘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동물캐릭터의 감정 표현 방식과 그들의 의인화된 태도에서 비롯되는 기호학에 대해 분석했다. 또한, ‘양식적 스타일’에서는 다양한 동물 이미지를 알아보고 그 효과를 살펴봤으며, ‘내용적 스타일’에서는 동물을 인간으로 빗대어 표현한 의인화된 작품과 인간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의인화되지 않은 작품들을 나눠 분석했다. 동물만화는 다양한 내용을 아우르는 유연함을 가지고 다루려는 내용에 따라 동물을 소재로 사용하는 목적도 달라진다. 하지만 언제나 공통적인 것은 동물의 인간화를 통해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며, 그것은 노골적이지 않아서 독자들에게 쉽게 전달된다는 것이다. 제 Ⅴ장에서는 동물만화의 전반적인 비평과 그에 따르는 과제,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변화된 시대에서 대중들과 호흡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미지를 연구하고 그 모델 상을 제시해야 한다. 그리해야, 시대에 발맞춘 장르의 변화된 전개가 가능하다. 동물만화는 아직 그 가능성을 모두 다 발휘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물론 동물만화의 역사는 짧지 않으며, 이미 많은 부분에서 다양한 영향을 끼치고 있긴 하지만 아직 전문적으로 연구, 분석되지 않은 부분들이 더 많다. 그러기에 앞으로 동물만화의 발전은, 단순히 그 영역을 확대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것을 뛰어넘어 ‘동물의 인간화’, ‘인간의 동물화’를 통한 새로운 개념이 선보여 져야 할 것이다.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싶어 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알고 싶어 한다. 그것을 이유로 ‘의사소통과 표현을 위한 매체’는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는 문자나 언어 중심의 문화를 넘어서 이미지 중심의 문화에 위치하고 있다. 이미지는 문자와 마찬가지로, 이미지를 통한 자기표현과 메시지의 해석을 가능하게 했다. 이미지 문화의 한 부분으로서 만화는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대중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호흡하는 것이 더욱 쉬워졌다. ‘대중의 목소리’를 정체성으로 하고 있는 만화에게 있어서, 이미지가 중심이 되는 시대적 상황은 큰 발전과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이러한 시대를 바탕으로 하여 동물을 통한 표현은 대중의 목소리를 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앞으로도 끊임없이 등장 할 것이다. 인간의 내면을 투사하고 비춰내는 뛰어난 전달매체인 동물만화는 인간의 모습을 다듬고 반영하면서, 동물들의 우의적인 표현과 더불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는 곧 동물만화가 시대를 관류하여 우리 인간들의 이상적인 ‘휴먼 스케일’과 가치관을 상정하는 지침이자 하나의 텍스트가 되고 있음을 뜻한다.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human from the beginning of history. Today, cartoon realizes its role as a media for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by combining words and pictures. Human is self-centered creature and has used animals for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of their...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human from the beginning of history. Today, cartoon realizes its role as a media for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by combining words and pictures. Human is self-centered creature and has used animals for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and emotion, and its scope is not only limited to cartoon but also culture and art. It was a natural result that human has used animals in cartoon in order to describe 'human life', and the cartoon was the most suitable medium to use animals in describing it. Not any single medium has fully expressed the various and volatile images as much as cartoon can. Animal cartoon can be defined as a cartoon delivering or expressing the message of sarcasm and humor by humanizing animals or animalizing human. Since animals has closely related with cartoon for a long time, the area and field of animal cartoon has widely expanded and complicated. New genres and images affected by animal cartoon makes the genre of cartoon more abundant. Cartoon has pioneered new area and expanded its area with animal images. In other words, animal brought changes and variety to cartoon images in terms of vision including 'the image of metamorphosis which figures out chemical structure between animal and human', 'grotesque style which expresses non-existing creature by combining animal and human', 'image for expressing the structure and unique movement of animal', 'animal characteristic which has become new image through exaggeration and simplification'. In addition, animal in cartoon experienced more changes with the emergence of 'characters that are disguised as human' and 'characters that are disguised as animal', and this draws more attention to the characters. Therefore, it emphasizes 'the mask effect' which is experienced by readers. Besides, it also enables writers to express more freely with masks of animals rather than masks of human. 'Humanization of animal' has also become more objective perspective toward human behavior, and delivers more in depth message rather than simple message on surface through metaphor in 'symbolization of animal'. As such, animal in cartoon has changed and developed through various effects from 'image of cartoon' and 'contents of cartoon', and cartoon has actively accepted it. I covered the concept, form and overall contents of animal cartoon in the research. In Chapter II of thesis, I explain the concept of animal cartoon in order to establish the meaning and areas of animal cartoon. At first, human just mocked the image of animal in depicting relation between human and animal, but they soon facilitated to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with unique creativity of human. In Chapter III, I cover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genre of animal cartoon and settlement in society. The beginning of animal cartoon in Korea started from the folktale in Goryeo dynasty, and modern Korean animal cartoon has modified by reflecting each periodic situation. The cartoon dealt with war contents in Cold War era, nuclear family and family pet in westernized society, and casual stuffs in modern society characterized by penetration of Internet and individualism. The beginning of World?s animal cartoon started from the image of God of ancient Egypt, Caricature in Middle Ages, and Surrealism. I also cover the fact that World's animal cartoon has been steadily with readers by reflecting the periodic situation from the beginning. In addition, I introduce the types of animal cartoon according to various genres. In Chapter IV, I explain Zoosemiotics which is basic principle of creating and reading animal cartoon, and analyzed semiology which comes from attitude of humanized animal and the way of expressing their emotion based on Zoosemiotics. Besides, I look over various animal images in 'styles by form' and analyzed cartoon which humanizes animals and which not in 'styles by contents'. Since animal cartoon cover comprehensive areas and is very flexible, so the purpose of using animal should be different by contents. However, it is common that humanization of animal connotes various meaning and it can be easily delivered to readers because it is not that outspoken. In Chapter V, I cover the overall criticism on animal cartoon and its tasks, and future perspective. We have to study new image and present the model in order to be in line with the public in rapidly changing society so that we can develop the genre in pace with the era. Yet, animal cartoon does not fully display its potential. Of course, the history of animal cartoon is not that short and impact on various areas, but there are still more areas which is not studied or analyzed in professional wa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nimal cartoon in the future should not be limited to expanding its area simply, but the new concept of animal cartoon should be presented through 'humanization of animal' and 'animalization of human' by exceeding the current images and contents. Everyone wants to express their idea and emotion, and everyone wants to know others? idea and emotion. That?s why we have 'media for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Now, we have image-oriented culture exceeding language or word-oriented culture. Image enables the self-expression through image and interpretation of message as language and word did. Cartoon is one part of image-oriented culture and it is the most close image culture with the public. The periodic situation which focuses on image culture brings huge development and changes of cartoon which is identified as 'the voice of the public'. Cartoon will continuously exist as the voice of the public by using animals in it based on the periodic situation. Because, animal cartoon, an excellent medium for reflecting the introspection of human has existed with the favorable expression of animal by reflecting and modifying the image of human. In other words, cartoon animal has become a guide for value of most desirable 'human scale' and a text for human by flowing through the period.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human from the beginning of history. Today, cartoon realizes its role as a media for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by combining words and pictures. Human is self-centered creature and has used animals for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and emotion, and its scope is not only limited to cartoon but also culture and art. It was a natural result that human has used animals in cartoon in order to describe 'human life', and the cartoon was the most suitable medium to use animals in describing it. Not any single medium has fully expressed the various and volatile images as much as cartoon can. Animal cartoon can be defined as a cartoon delivering or expressing the message of sarcasm and humor by humanizing animals or animalizing human. Since animals has closely related with cartoon for a long time, the area and field of animal cartoon has widely expanded and complicated. New genres and images affected by animal cartoon makes the genre of cartoon more abundant. Cartoon has pioneered new area and expanded its area with animal images. In other words, animal brought changes and variety to cartoon images in terms of vision including 'the image of metamorphosis which figures out chemical structure between animal and human', 'grotesque style which expresses non-existing creature by combining animal and human', 'image for expressing the structure and unique movement of animal', 'animal characteristic which has become new image through exaggeration and simplification'. In addition, animal in cartoon experienced more changes with the emergence of 'characters that are disguised as human' and 'characters that are disguised as animal', and this draws more attention to the characters. Therefore, it emphasizes 'the mask effect' which is experienced by readers. Besides, it also enables writers to express more freely with masks of animals rather than masks of human. 'Humanization of animal' has also become more objective perspective toward human behavior, and delivers more in depth message rather than simple message on surface through metaphor in 'symbolization of animal'. As such, animal in cartoon has changed and developed through various effects from 'image of cartoon' and 'contents of cartoon', and cartoon has actively accepted it. I covered the concept, form and overall contents of animal cartoon in the research. In Chapter II of thesis, I explain the concept of animal cartoon in order to establish the meaning and areas of animal cartoon. At first, human just mocked the image of animal in depicting relation between human and animal, but they soon facilitated to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with unique creativity of human. In Chapter III, I cover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genre of animal cartoon and settlement in society. The beginning of animal cartoon in Korea started from the folktale in Goryeo dynasty, and modern Korean animal cartoon has modified by reflecting each periodic situation. The cartoon dealt with war contents in Cold War era, nuclear family and family pet in westernized society, and casual stuffs in modern society characterized by penetration of Internet and individualism. The beginning of World?s animal cartoon started from the image of God of ancient Egypt, Caricature in Middle Ages, and Surrealism. I also cover the fact that World's animal cartoon has been steadily with readers by reflecting the periodic situation from the beginning. In addition, I introduce the types of animal cartoon according to various genres. In Chapter IV, I explain Zoosemiotics which is basic principle of creating and reading animal cartoon, and analyzed semiology which comes from attitude of humanized animal and the way of expressing their emotion based on Zoosemiotics. Besides, I look over various animal images in 'styles by form' and analyzed cartoon which humanizes animals and which not in 'styles by contents'. Since animal cartoon cover comprehensive areas and is very flexible, so the purpose of using animal should be different by contents. However, it is common that humanization of animal connotes various meaning and it can be easily delivered to readers because it is not that outspoken. In Chapter V, I cover the overall criticism on animal cartoon and its tasks, and future perspective. We have to study new image and present the model in order to be in line with the public in rapidly changing society so that we can develop the genre in pace with the era. Yet, animal cartoon does not fully display its potential. Of course, the history of animal cartoon is not that short and impact on various areas, but there are still more areas which is not studied or analyzed in professional wa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nimal cartoon in the future should not be limited to expanding its area simply, but the new concept of animal cartoon should be presented through 'humanization of animal' and 'animalization of human' by exceeding the current images and contents. Everyone wants to express their idea and emotion, and everyone wants to know others? idea and emotion. That?s why we have 'media for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Now, we have image-oriented culture exceeding language or word-oriented culture. Image enables the self-expression through image and interpretation of message as language and word did. Cartoon is one part of image-oriented culture and it is the most close image culture with the public. The periodic situation which focuses on image culture brings huge development and changes of cartoon which is identified as 'the voice of the public'. Cartoon will continuously exist as the voice of the public by using animals in it based on the periodic situation. Because, animal cartoon, an excellent medium for reflecting the introspection of human has existed with the favorable expression of animal by reflecting and modifying the image of human. In other words, cartoon animal has become a guide for value of most desirable 'human scale' and a text for human by flowing through the perio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