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귀(Angelica gigantis Radix)는 산형화목 산형과에 속하는 숙근초로서 우리나라와 중국 동북부에 자생하며 재배되고 있는 다년생 초본이다.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에 뿌리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당귀라고 한다. 당귀로 사용되는 약재는 기원식물에 따라 유효성분에 차이가 있으며, 주요 성분으로는 decursin, decursinol, dercursinol angelate, nodakenin, nodakenetin, umbelliferone 등으로 항암, 항응고, 뇌신경보호 효과 등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 in vitro 시험에서 lipopolysaccharide (LPS)로 자극한 macrophages에서 염증반응물질 분비가 억제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당귀 ...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는 산형화목 산형과에 속하는 숙근초로서 우리나라와 중국 동북부에 자생하며 재배되고 있는 다년생 초본이다.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에 뿌리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당귀라고 한다. 당귀로 사용되는 약재는 기원식물에 따라 유효성분에 차이가 있으며, 주요 성분으로는 decursin, decursinol, dercursinol angelate, nodakenin, nodakenetin, umbelliferone 등으로 항암, 항응고, 뇌신경보호 효과 등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 in vitro 시험에서 lipopolysaccharide (LPS)로 자극한 macrophages에서 염증반응물질 분비가 억제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 (ethanol extract of Angelica gigantis Radix, EAG)이 lipopolysaccharide (LPS), carrageenan 또는 croton oil 처리한 큰포식세포에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 (COX)의 mRNA 발현을 억제하고 각각의 반응산물인 nitric oxide (NO) 및 prostaglandin E2 (PGE2) 생성을 감소시키는지를 관찰하였다. 또 접촉성 피부염으로 carrageenan-air pouch inflammation 모델과 croton oil-ear inflammation 모델, 알러지피부염으로 dinitrofluorobenzene (DNFB)-ear inflammation 모델, 그리고 열화상 피부염으로 thermal burn-paw edema 모델 등 4가지 다른 독성병리학적 기전을 가진 4가지 염증모델을 적용하여 EAG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LPS, carrageenan 및 croton oil은 peritoneal macrophages로부터의 NO 분비를 약간 상승시킨데 비해, PGE2 생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NO와 PGE2의 생성은 EAG 처리로 탁월하게 완화되었다. 흥미롭게도 RAW 264.7 cells에서 이들 염증반응물질을 생성하는 효소의 mRNA 발현을 분석한 결과 LPS는 iNOS와 COX-II mRNA 발현을 유도했지만, COX-I 유전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비해 carrageenan은 iNOS, COX-I 및 COX-II 발현을 모두 억제하였다. Croton oil은 iNOS 발현을 감소시켰으나 COX-I와 COX-II 발현을 증가시켰다. EAG는 LPS에 의한 COX-II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iNOS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이 효소의 발현을 차단함으로써 NO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대로 EAG는 carrageenan이나 croton oil에 의해 크게 증가한 COX-II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EAG의 주요 항염증 기전이 COX-II-PGE2 pathway의 차단을 통해 이루어짐이 입증되었다. In vivo 실험으로 마우스 carrageenan-air pouch inflammation 모델에서는 1% carrageenan 투여로 대조군에 비해 삼출액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삼출액 내 white blood cells (WBC)과 albumin 농도가 크게 상승하였다. 또한 삼출액 내 tumor-necrosis factor-α (TNF-α)와 interleukin-6 (IL-6) 등의 cytokines과 NO도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이와 같이 심한 염증반응에 대해 EAG 투여는 삼출액과 알부민 누출량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백혈구 침윤 역시 160 ㎎/㎏이상에서는 1/3 수준까지 강하시켰다. 흥미롭게도 EAG는 삼출액과 혈액 내 TNF-α와 NO를 유의하게 낮추어 주었지만 IL-6와 PGE2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carrageenan-air pouch inflammation 모델에서 EAG의 항염증 효과는 macrophages와 같은 염증세포로부터 생성되는 TNF-α-NO pathway를 차단하는 기전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화학 자극물질인 5% croton oil을 마우스의 귀에 도포했을 때 최대 5.00점 중 4.43의 강한 홍반과 함께 심한 부종을 유발하였다. 부종의 정도를 정량화 했을 때 귀의 중량과 Evan's blue의 누출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각각 1.9와 22.4배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홍반과 부종은 EAG 투여에 의해 용량의존성으로 효과적으로 완화되었는 바, 특히 부종의 지표인 귀의 중량과 Evan's blue 누출량은 낮은 용량(50 - 160 ㎎/㎏)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여주었다. 또한 EAG는 croton oil에 의해 상승한 혈액 내 IL-6와 감소한 lymphocytes 수를 회복시켜 주었다. 따라서 croton oil-ear inflammation 모델에서 EAG는 IL-6 및 lymphocytes toxicity와 관련된 기전으로 염증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알러지 유발물질인 DNFB를 마우스 귀에 반복적으로 도포했을 때 최대 5.00점 중 3.83점의 강한 발적과 부종이 유발되었다. 부종을 정량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귀의 중량은 1.8배, Evan's blue 누출량은 3.6배의 증가를 보여 주었다. 또한 혈중 IgE와 IL-6가 각각 15배와 12배로 증가하여 전신적인 알러지반응이 나타났다. 이러한 국소염증 및 전신적인 알러지 반응은 EAG 투여에 의해 크게 개선되었다. 즉 160 ㎎/㎏이상의 용량에서 귀의 홍반과 부종을 유의하게 완화시켰으며, TNF-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50 ㎎/㎏의 낮은 용량에서 혈중 IL-6와 IGE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EAG는 T lymphocyte에서 분비되는 IL-6을 조절하여 IL-6에 의해 유리되는 IgE를 감소시킴으로써 알러지 반응를 완화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열화상에 의한 paw edema 모델에서, 48.5℃에 50간 노출되었을 때 0.5, 4 및 8시간 후 0.55, 0.50 및 0.46 ㎖의 부종이 유발되었으며, 혈액 내 IL-6와 alkaline phosphatase (ALP)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국소 및 전신성 염증반응에 대해 EAG는 국소부종을 완화시켰으며, TNF-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lymphocytes 수와 IL-6 및 ALP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EAG는 화상에 따른 염증 진행과정에서 lymphocytes 반응을 차단하고, 일부 간손상도 방지해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EAG는 화학물질, 알러지 유발물질 및 열화상 등 염증의 유발 및 진행과정이 서로 다른 4가지 모델에서 우수한 완화효과를 나타내었다. EAG의 주요 작용기전은 COX-II-PGE2 pathway에 대한 차단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carrageenan 유발모델에서는 TNF-α-NO pathway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croton oil, DNFB 및 thermal burns 모델에서는 lymphocytes와 IL-6가 국소 및 전신적인 염증반응 및 EAG의 항염증 효과에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EAG는 지연형 과민반응 유발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 DNFB에 의해 유도된 IgE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알러지 반응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steriods 및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는 표재성 증상의 치료에 국한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전신적으로 장기간 투여할 경우 면역억제, 위궤양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 항염물질의 탐색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EAG가 일반적인 자극성 화학물질이나 열화상은 물론 아토피 및 접촉성 피부염을 포함한 알러지 반응에 광범위한 항염증 효능을 발휘함을 입증하였으며, 일부 그 작용기전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대한 참당귀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시사한다.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는 산형화목 산형과에 속하는 숙근초로서 우리나라와 중국 동북부에 자생하며 재배되고 있는 다년생 초본이다.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에 뿌리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당귀라고 한다. 당귀로 사용되는 약재는 기원식물에 따라 유효성분에 차이가 있으며, 주요 성분으로는 decursin, decursinol, dercursinol angelate, nodakenin, nodakenetin, umbelliferone 등으로 항암, 항응고, 뇌신경보호 효과 등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 in vitro 시험에서 lipopolysaccharide (LPS)로 자극한 macrophages에서 염증반응물질 분비가 억제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 (ethanol extract of Angelica gigantis Radix, EAG)이 lipopolysaccharide (LPS), carrageenan 또는 croton oil 처리한 큰포식세포에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 (COX)의 mRNA 발현을 억제하고 각각의 반응산물인 nitric oxide (NO) 및 prostaglandin E2 (PGE2) 생성을 감소시키는지를 관찰하였다. 또 접촉성 피부염으로 carrageenan-air pouch inflammation 모델과 croton oil-ear inflammation 모델, 알러지 피부염으로 dinitrofluorobenzene (DNFB)-ear inflammation 모델, 그리고 열화상 피부염으로 thermal burn-paw edema 모델 등 4가지 다른 독성병리학적 기전을 가진 4가지 염증모델을 적용하여 EAG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LPS, carrageenan 및 croton oil은 peritoneal macrophages로부터의 NO 분비를 약간 상승시킨데 비해, PGE2 생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NO와 PGE2의 생성은 EAG 처리로 탁월하게 완화되었다. 흥미롭게도 RAW 264.7 cells에서 이들 염증반응물질을 생성하는 효소의 mRNA 발현을 분석한 결과 LPS는 iNOS와 COX-II mRNA 발현을 유도했지만, COX-I 유전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비해 carrageenan은 iNOS, COX-I 및 COX-II 발현을 모두 억제하였다. Croton oil은 iNOS 발현을 감소시켰으나 COX-I와 COX-II 발현을 증가시켰다. EAG는 LPS에 의한 COX-II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iNOS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이 효소의 발현을 차단함으로써 NO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대로 EAG는 carrageenan이나 croton oil에 의해 크게 증가한 COX-II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EAG의 주요 항염증 기전이 COX-II-PGE2 pathway의 차단을 통해 이루어짐이 입증되었다. In vivo 실험으로 마우스 carrageenan-air pouch inflammation 모델에서는 1% carrageenan 투여로 대조군에 비해 삼출액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삼출액 내 white blood cells (WBC)과 albumin 농도가 크게 상승하였다. 또한 삼출액 내 tumor-necrosis factor-α (TNF-α)와 interleukin-6 (IL-6) 등의 cytokines과 NO도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이와 같이 심한 염증반응에 대해 EAG 투여는 삼출액과 알부민 누출량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백혈구 침윤 역시 160 ㎎/㎏이상에서는 1/3 수준까지 강하시켰다. 흥미롭게도 EAG는 삼출액과 혈액 내 TNF-α와 NO를 유의하게 낮추어 주었지만 IL-6와 PGE2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carrageenan-air pouch inflammation 모델에서 EAG의 항염증 효과는 macrophages와 같은 염증세포로부터 생성되는 TNF-α-NO pathway를 차단하는 기전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화학 자극물질인 5% croton oil을 마우스의 귀에 도포했을 때 최대 5.00점 중 4.43의 강한 홍반과 함께 심한 부종을 유발하였다. 부종의 정도를 정량화 했을 때 귀의 중량과 Evan's blue의 누출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각각 1.9와 22.4배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홍반과 부종은 EAG 투여에 의해 용량의존성으로 효과적으로 완화되었는 바, 특히 부종의 지표인 귀의 중량과 Evan's blue 누출량은 낮은 용량(50 - 160 ㎎/㎏)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여주었다. 또한 EAG는 croton oil에 의해 상승한 혈액 내 IL-6와 감소한 lymphocytes 수를 회복시켜 주었다. 따라서 croton oil-ear inflammation 모델에서 EAG는 IL-6 및 lymphocytes toxicity와 관련된 기전으로 염증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알러지 유발물질인 DNFB를 마우스 귀에 반복적으로 도포했을 때 최대 5.00점 중 3.83점의 강한 발적과 부종이 유발되었다. 부종을 정량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귀의 중량은 1.8배, Evan's blue 누출량은 3.6배의 증가를 보여 주었다. 또한 혈중 IgE와 IL-6가 각각 15배와 12배로 증가하여 전신적인 알러지반응이 나타났다. 이러한 국소염증 및 전신적인 알러지 반응은 EAG 투여에 의해 크게 개선되었다. 즉 160 ㎎/㎏이상의 용량에서 귀의 홍반과 부종을 유의하게 완화시켰으며, TNF-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50 ㎎/㎏의 낮은 용량에서 혈중 IL-6와 IGE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EAG는 T lymphocyte에서 분비되는 IL-6을 조절하여 IL-6에 의해 유리되는 IgE를 감소시킴으로써 알러지 반응를 완화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열화상에 의한 paw edema 모델에서, 48.5℃에 50간 노출되었을 때 0.5, 4 및 8시간 후 0.55, 0.50 및 0.46 ㎖의 부종이 유발되었으며, 혈액 내 IL-6와 alkaline phosphatase (ALP)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국소 및 전신성 염증반응에 대해 EAG는 국소부종을 완화시켰으며, TNF-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lymphocytes 수와 IL-6 및 ALP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EAG는 화상에 따른 염증 진행과정에서 lymphocytes 반응을 차단하고, 일부 간손상도 방지해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EAG는 화학물질, 알러지 유발물질 및 열화상 등 염증의 유발 및 진행과정이 서로 다른 4가지 모델에서 우수한 완화효과를 나타내었다. EAG의 주요 작용기전은 COX-II-PGE2 pathway에 대한 차단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carrageenan 유발모델에서는 TNF-α-NO pathway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croton oil, DNFB 및 thermal burns 모델에서는 lymphocytes와 IL-6가 국소 및 전신적인 염증반응 및 EAG의 항염증 효과에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EAG는 지연형 과민반응 유발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 DNFB에 의해 유도된 IgE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알러지 반응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steriods 및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는 표재성 증상의 치료에 국한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전신적으로 장기간 투여할 경우 면역억제, 위궤양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 항염물질의 탐색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EAG가 일반적인 자극성 화학물질이나 열화상은 물론 아토피 및 접촉성 피부염을 포함한 알러지 반응에 광범위한 항염증 효능을 발휘함을 입증하였으며, 일부 그 작용기전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대한 참당귀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시사한다.
Traditionally, dried roots of Angelica gigas Nakai, known as the 'Cham-dang-gui' in Korean have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In order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the ethanol extract of Angelica gigantis Radix (EAG), its effects on the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Traditionally, dried roots of Angelica gigas Nakai, known as the 'Cham-dang-gui' in Korean have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In order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the ethanol extract of Angelica gigantis Radix (EAG), its effects on the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II (COX-II) as well as production of their products,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respectively, in macrophage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carrageenan or croton oil were investigated. Also,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AG were assessed using 4 inflammation models with different modes of action and pathological mechanisms: carrageenan-air pouch and croton oil-ear inflammations for contact dermatitis, dinitrofluorobenzene (DNFB)-ear inflammation for allergic dermatitis, and thermal burn-paw edema for physical dermatitis. LPS, carrageenan and croton oil grea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PGE2 from peritoneal macrophages, in comparison with light increase in NO secretion. Both PGE2 and NO productions were markedly attenuated by EAG treatment. LPS induced iNOS and COX-II, but not COX-I, mRNA expressions in RAW 264.7 cells. In comparison, carrageenan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 of iNOS, COX-I and COX-II. Croton oil reduced iNOS expression, but enhanced both COX-I and COX-II. EAG suppressed LPS-induced iNOS expression, but not COX-II, indicating inhibitory effect on NO production. Interestingly, EAG remarkably suppressed COX-II mRNA expression induced by carrageenan or croton oil, suggesting that the major action mechanism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AG is blockade of COX-II-PGE2 pathway. In vivo carrageenan-induced air pouch inflammation model, EAG reduced exudate volume as well as albumin content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the exudate. Noteworthy, EAG lowered TNF-α and NO levels in the exudate, but not IL-6 and PGE2. In blood of carrageenan-exposed mice, only TNF-α, but not IL-6, was decreased by treatment of EAG.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EAG is due to its inhibitory action on TNF-α-NO pathway produced by inflammatory cells such as macrophages in this model. In croton oil-induced ear inflammation model, EAG reduced erythema score and edema by ear weight and Evan's blue leakage. In addition, EAG reversed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blood IL-6 and decreased lymphocytes following croton oil challeng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roton oil induces local inflammation and lymphocyte toxicity, which is attenuated by EAG. In DNFB-induced ear inflammation model, the mice showed both local and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s, exhibiting ear erythema and edema as well as increased WBC counts including neutrophils, in addition to great increases in IL-6 and IgE levels, indicative of allergic reaction. EAG reduced all the parameters of local (erythema, ear weight, Evan's blue leakage) and systemic (WBC and neutrophils) inflammations, except TNF-α level. Moreover, it was demonstrated that EAG attenuated DNFB-induced allergic reaction, showing reduction of IL-6, a cytokine stimulating IgE secretion. In thermal burn-induced paw edema model, EAG also attenuated not only the paw volume, but also blood lymphocyte counts and IL-6 level enhanced by burns, without influence on the level of TNF-α. Such results indicate that EAG inhibits lymphocyte response during burning inflammation.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EAG reduce ALP, the parameters of hepatic injury, which was increased by thermal burns. Taken together, EAG exerted broad spectrum pharmacological activities, against chemical, allergic and thermal inflammations.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EAG suppress predominently COX-II-PGE2 pathway, despite its additional activity on TNF-α-NO system. Inhibitory effect of EAG on the TNF-α-NO pathway was observed in the carrageenan-induced air pouch inflammation. In comparison, it was demonstrated that IL-6 was involved in the croton oil- and DNFB-induced ear inflammations as well as in thermal burn-induced paw edema, and that inhibitory activity of EAG. Furthermore, EAG reduced blood IgE level induced by DNFB, a delayed-type sensitizer.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vides multidirectional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AG in the various inflammation models and its action mechanisms including suppressive action on atopic and contact dermatitis, the representative allergic reactions of type I and and type IV hypersensitivity.
Traditionally, dried roots of Angelica gigas Nakai, known as the 'Cham-dang-gui' in Korean have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In order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the ethanol extract of Angelica gigantis Radix (EAG), its effects on the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II (COX-II) as well as production of their products,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respectively, in macrophage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carrageenan or croton oil were investigated. Also,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AG were assessed using 4 inflammation models with different modes of action and pathological mechanisms: carrageenan-air pouch and croton oil-ear inflammations for contact dermatitis, dinitrofluorobenzene (DNFB)-ear inflammation for allergic dermatitis, and thermal burn-paw edema for physical dermatitis. LPS, carrageenan and croton oil grea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PGE2 from peritoneal macrophages, in comparison with light increase in NO secretion. Both PGE2 and NO productions were markedly attenuated by EAG treatment. LPS induced iNOS and COX-II, but not COX-I, mRNA expressions in RAW 264.7 cells. In comparison, carrageenan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 of iNOS, COX-I and COX-II. Croton oil reduced iNOS expression, but enhanced both COX-I and COX-II. EAG suppressed LPS-induced iNOS expression, but not COX-II, indicating inhibitory effect on NO production. Interestingly, EAG remarkably suppressed COX-II mRNA expression induced by carrageenan or croton oil, suggesting that the major action mechanism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AG is blockade of COX-II-PGE2 pathway. In vivo carrageenan-induced air pouch inflammation model, EAG reduced exudate volume as well as albumin content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the exudate. Noteworthy, EAG lowered TNF-α and NO levels in the exudate, but not IL-6 and PGE2. In blood of carrageenan-exposed mice, only TNF-α, but not IL-6, was decreased by treatment of EAG.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EAG is due to its inhibitory action on TNF-α-NO pathway produced by inflammatory cells such as macrophages in this model. In croton oil-induced ear inflammation model, EAG reduced erythema score and edema by ear weight and Evan's blue leakage. In addition, EAG reversed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blood IL-6 and decreased lymphocytes following croton oil challeng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roton oil induces local inflammation and lymphocyte toxicity, which is attenuated by EAG. In DNFB-induced ear inflammation model, the mice showed both local and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s, exhibiting ear erythema and edema as well as increased WBC counts including neutrophils, in addition to great increases in IL-6 and IgE levels, indicative of allergic reaction. EAG reduced all the parameters of local (erythema, ear weight, Evan's blue leakage) and systemic (WBC and neutrophils) inflammations, except TNF-α level. Moreover, it was demonstrated that EAG attenuated DNFB-induced allergic reaction, showing reduction of IL-6, a cytokine stimulating IgE secretion. In thermal burn-induced paw edema model, EAG also attenuated not only the paw volume, but also blood lymphocyte counts and IL-6 level enhanced by burns, without influence on the level of TNF-α. Such results indicate that EAG inhibits lymphocyte response during burning inflammation.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EAG reduce ALP, the parameters of hepatic injury, which was increased by thermal burns. Taken together, EAG exerted broad spectrum pharmacological activities, against chemical, allergic and thermal inflammations.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EAG suppress predominently COX-II-PGE2 pathway, despite its additional activity on TNF-α-NO system. Inhibitory effect of EAG on the TNF-α-NO pathway was observed in the carrageenan-induced air pouch inflammation. In comparison, it was demonstrated that IL-6 was involved in the croton oil- and DNFB-induced ear inflammations as well as in thermal burn-induced paw edema, and that inhibitory activity of EAG. Furthermore, EAG reduced blood IgE level induced by DNFB, a delayed-type sensitizer.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vides multidirectional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AG in the various inflammation models and its action mechanisms including suppressive action on atopic and contact dermatitis, the representative allergic reactions of type I and and type IV hypersensitiv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