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일본어교과서에 반영된 일본문화에 관한 조사 : 특히, 한국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 2차~7차까지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apanese Culture as is Reflected in the Korean School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원문보기
이상으로 우리나라 2차 교육과정에서 7차 교육과정까지의 일본어 교과서 72권을 대상으로 각 교과서에 반영된 일본문화에 관하여 조사를 해 보았다. 일본어 교과서에 소개된 일본문화의 내용이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어떻게 변화해 왔고, 또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 되었는지는 다음의 표-53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1. 일본문화에 관한 내용은 2차 교육과정에서 7차 교육과정으로 이동해 가 면서 증가 되었다. 교육과정별 문화항목의 총 출현 회수는 위와 같았다. 전체적인 일본문화에 관한 내용은 3차 교육과정에서 4차 교육과정으로 가 면서, 또 5차 교육과정에서 6차 교육과정으로 가면서 크게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화 내용으로는 전통문화에 대한 소개가 가장 많았고, 다 음으로 일상생활, 정신문화, 대중문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2. 각 교육과정의 문화항목에서 나타난 문화내용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2차 교육 과정기는 한일 국교정상화로 해방이후 고등학교에서 정식으로 일본어 교육이 시작된 시기이다. 그러나 일본어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일본문화를 소개하기보다 한국 문화에 관한 내용과 한국에서 영향을 받은 일본전통문화를 소개 하였다.
3차 교육과정기는 최초로 일본어 교육과정을 제정 고시하여 편찬 된 교 과서로 교과목표는 일본인의 생활과 그 나라의 문화, 경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킨다 로 되어있으나, 그 내용은 2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일본 문화내용은 많이 기술되지 않았다. 그 가운데 전통문화와 정신문화부분의 소개가 조금 있었으며, 고대 한국문화와 일본문화의 연관성을 설명한 부 분도 있었다.
4차 교육과정기는 일본인의 문화를 이해시킴으로써 우리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로 되어있으나 일본문화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못 했다. 일상생활에서는 편지쓰기에 대한 내용이 소개 되었으며, 전통문화에 서는 사진소개가 많았다. 연중행사에 관한 내용 중 お正月、お盆、七夕祭 り와ひなまつり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사찰소개도 많은 편이 었다. 정신문화 부분에서는 ことわざ와 일본의 유명 문학 작가의 작품과 시 등을 소개하여 일본인의 마음과 작가의 작품세계를 알 수 있었다.
5차 교육과정기는 일본문화 관련 소재로 일본인의 생활 및 일본의 문 화, 사회, 경제에 관한 내용과 국제 이해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라는 것에 맞추어 문화관련 내용의 빈도가 증가 되었다. 일상생활에서는 모든 교과 서에서 편지 쓰는 방법에 관하여 일제히 소개 하였으며, 인사법 및 방문 예절 등이 많이 소개 되었다. 전통문화 부분은 연중행사의 お正月와 일본 의 대표적인 まつり를 다양하게 소개 하였다. 法隆寺、東大寺、鎌倉등의 소개도 많이 나타났으나 대부분이 사진으로 소개되었다. 정신문화에서는 敬語사용 및 ことわざ、옛날이야기와 詩를 소개 하였다.
6차 교육과정기는 일상생활 내용이 많이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으로는 화폐, 편지쓰기, 경어사용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내용 위주로 소개 되었다. 특히, 단원의 한 부분에 각 문화관련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 여 이해를 도왔다. 전통문화에서는 사진 위주로 소개되었다. 그 중 연중행 사에서는お盆에 대한 소개가 가장 많았고 お墓?り, お月見등의 관련행사 가 같이 소개되었다. 이밖에도 こいのぼり、端午の節句、七五三、七夕에 대한 소개가 많았고 마쓰리에 대한 내용으로는 ひなまつり의 소개가 가장 많았다. 정신문화에서는 5차 교육과정과 비교하면 내용이 줄어들었으나 일본의 유명작가의 작품이 소개 되었는데 그 가운데 ‘川’(谷川俊太?)가 네 개 교과서에서 、高村光太?의 작품이 세 개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소개되었다. 이밖에도 敬語사용법과 ことわざ、俳句、歌集에 관한 소개 가 있었다.
7차 교육과정기는 문화관련 항목이 따로 구성되었다. 의사습득 능력을 목표로 하는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이해의 중시, 정보수집 및 통신에 대한 흥미유발을 목표로 구성 되어있다. 일상생활에서는 6차 교과서와 비 교하여 비슷한 수준이나 편지쓰기와 일본의 생활예절 및 인사법을 소개 하였고 일본의 화폐를 사진으로 소개하였다. 새로운 부분은 일본의 교육 과 학제를 소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제도와 비교 할 수 있었고, 일본학생 들의 교육내용을 이해 할 수 있었다. 대중문화에 관한 내용으로는 인기 스포츠, 만화와 ...
이상으로 우리나라 2차 교육과정에서 7차 교육과정까지의 일본어 교과서 72권을 대상으로 각 교과서에 반영된 일본문화에 관하여 조사를 해 보았다. 일본어 교과서에 소개된 일본문화의 내용이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어떻게 변화해 왔고, 또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 되었는지는 다음의 표-53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1. 일본문화에 관한 내용은 2차 교육과정에서 7차 교육과정으로 이동해 가 면서 증가 되었다. 교육과정별 문화항목의 총 출현 회수는 위와 같았다. 전체적인 일본문화에 관한 내용은 3차 교육과정에서 4차 교육과정으로 가 면서, 또 5차 교육과정에서 6차 교육과정으로 가면서 크게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화 내용으로는 전통문화에 대한 소개가 가장 많았고, 다 음으로 일상생활, 정신문화, 대중문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2. 각 교육과정의 문화항목에서 나타난 문화내용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2차 교육 과정기는 한일 국교정상화로 해방이후 고등학교에서 정식으로 일본어 교육이 시작된 시기이다. 그러나 일본어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일본문화를 소개하기보다 한국 문화에 관한 내용과 한국에서 영향을 받은 일본전통문화를 소개 하였다.
3차 교육과정기는 최초로 일본어 교육과정을 제정 고시하여 편찬 된 교 과서로 교과목표는 일본인의 생활과 그 나라의 문화, 경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킨다 로 되어있으나, 그 내용은 2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일본 문화내용은 많이 기술되지 않았다. 그 가운데 전통문화와 정신문화부분의 소개가 조금 있었으며, 고대 한국문화와 일본문화의 연관성을 설명한 부 분도 있었다.
4차 교육과정기는 일본인의 문화를 이해시킴으로써 우리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로 되어있으나 일본문화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못 했다. 일상생활에서는 편지쓰기에 대한 내용이 소개 되었으며, 전통문화에 서는 사진소개가 많았다. 연중행사에 관한 내용 중 お正月、お盆、七夕祭 り와ひなまつり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사찰소개도 많은 편이 었다. 정신문화 부분에서는 ことわざ와 일본의 유명 문학 작가의 작품과 시 등을 소개하여 일본인의 마음과 작가의 작품세계를 알 수 있었다.
5차 교육과정기는 일본문화 관련 소재로 일본인의 생활 및 일본의 문 화, 사회, 경제에 관한 내용과 국제 이해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라는 것에 맞추어 문화관련 내용의 빈도가 증가 되었다. 일상생활에서는 모든 교과 서에서 편지 쓰는 방법에 관하여 일제히 소개 하였으며, 인사법 및 방문 예절 등이 많이 소개 되었다. 전통문화 부분은 연중행사의 お正月와 일본 의 대표적인 まつり를 다양하게 소개 하였다. 法隆寺、東大寺、鎌倉등의 소개도 많이 나타났으나 대부분이 사진으로 소개되었다. 정신문화에서는 敬語사용 및 ことわざ、옛날이야기와 詩를 소개 하였다.
6차 교육과정기는 일상생활 내용이 많이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으로는 화폐, 편지쓰기, 경어사용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내용 위주로 소개 되었다. 특히, 단원의 한 부분에 각 문화관련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 여 이해를 도왔다. 전통문화에서는 사진 위주로 소개되었다. 그 중 연중행 사에서는お盆에 대한 소개가 가장 많았고 お墓?り, お月見등의 관련행사 가 같이 소개되었다. 이밖에도 こいのぼり、端午の節句、七五三、七夕에 대한 소개가 많았고 마쓰리에 대한 내용으로는 ひなまつり의 소개가 가장 많았다. 정신문화에서는 5차 교육과정과 비교하면 내용이 줄어들었으나 일본의 유명작가의 작품이 소개 되었는데 그 가운데 ‘川’(谷川俊太?)가 네 개 교과서에서 、高村光太?의 작품이 세 개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소개되었다. 이밖에도 敬語사용법과 ことわざ、俳句、歌集에 관한 소개 가 있었다.
7차 교육과정기는 문화관련 항목이 따로 구성되었다. 의사습득 능력을 목표로 하는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이해의 중시, 정보수집 및 통신에 대한 흥미유발을 목표로 구성 되어있다. 일상생활에서는 6차 교과서와 비 교하여 비슷한 수준이나 편지쓰기와 일본의 생활예절 및 인사법을 소개 하였고 일본의 화폐를 사진으로 소개하였다. 새로운 부분은 일본의 교육 과 학제를 소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제도와 비교 할 수 있었고, 일본학생 들의 교육내용을 이해 할 수 있었다. 대중문화에 관한 내용으로는 인기 스포츠, 만화와 애니매이션, 인터넷의 발달로 컴퓨터 채팅 및 이메일 사용 법등이 소개되었다. 전통문화에서는 연중행사와 사찰에 대한 내용이 대부 분의 교과서에서 소개 되었다. 제일 많은 비중으로는お正月, お盆, 端午の 節句에 관한 내용이다. 마쓰리는 거의 모든 교과서에서 소개 되었는데 祇園、ひなまつり의 빈도수가 높았다. 이밖에 전통의상인 기모노와 가부 키, 노 등의 소개 빈도도 늘어났다. 정신문화에서는 敬語, 문학작품, 俳句, 일본의 종교를 소개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방 후 28년이 지난 1973년부터 고등학교에서 일본어 교육이 정식으로 시작되었다.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은 학습자에게 큰 영향과 의미를 준다고 생각한다. 외국어교육이 한나라의 언어습득과 의사소통을 돕기 위한 것이라면, 문화교육은 그 나라의 사회, 문화와 상대 국 사람들의 사고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2008년 현재 까지 실행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은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 어 문화교육을 중시하며, 문화 항목을 따로 설정 하였다. 교과서는 모든 교육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지침서 이다. 교과서의 내용에 따라 학생들의 지식의 양과 질이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어교육에 있어서 지금까지의 조사로는 전통문화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이 소개 되었고 다 음으로 일상생활, 정신문화, 대중문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종철 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문화 학습 후에는 대중문화, 생활문화, 전통문화의 순으로 문화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일본의 대중문화를 전면 개방하였다. 지금 세계는 글 로벌화 되어 같은 시간에 모든 정보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는 세상이 되 어있다. 따라서 한층 더 올바른 외국어의 이해가 요구되고 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문화의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서 소개하는 문화내용도 시대에 맞추어 현실적으로 변화해 나아가야 한다 고 생각한다.
이상으로 우리나라 2차 교육과정에서 7차 교육과정까지의 일본어 교과서 72권을 대상으로 각 교과서에 반영된 일본문화에 관하여 조사를 해 보았다. 일본어 교과서에 소개된 일본문화의 내용이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어떻게 변화해 왔고, 또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 되었는지는 다음의 표-53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1. 일본문화에 관한 내용은 2차 교육과정에서 7차 교육과정으로 이동해 가 면서 증가 되었다. 교육과정별 문화항목의 총 출현 회수는 위와 같았다. 전체적인 일본문화에 관한 내용은 3차 교육과정에서 4차 교육과정으로 가 면서, 또 5차 교육과정에서 6차 교육과정으로 가면서 크게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화 내용으로는 전통문화에 대한 소개가 가장 많았고, 다 음으로 일상생활, 정신문화, 대중문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2. 각 교육과정의 문화항목에서 나타난 문화내용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2차 교육 과정기는 한일 국교정상화로 해방이후 고등학교에서 정식으로 일본어 교육이 시작된 시기이다. 그러나 일본어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일본문화를 소개하기보다 한국 문화에 관한 내용과 한국에서 영향을 받은 일본전통문화를 소개 하였다.
3차 교육과정기는 최초로 일본어 교육과정을 제정 고시하여 편찬 된 교 과서로 교과목표는 일본인의 생활과 그 나라의 문화, 경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킨다 로 되어있으나, 그 내용은 2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일본 문화내용은 많이 기술되지 않았다. 그 가운데 전통문화와 정신문화부분의 소개가 조금 있었으며, 고대 한국문화와 일본문화의 연관성을 설명한 부 분도 있었다.
4차 교육과정기는 일본인의 문화를 이해시킴으로써 우리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로 되어있으나 일본문화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못 했다. 일상생활에서는 편지쓰기에 대한 내용이 소개 되었으며, 전통문화에 서는 사진소개가 많았다. 연중행사에 관한 내용 중 お正月、お盆、七夕祭 り와ひなまつり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사찰소개도 많은 편이 었다. 정신문화 부분에서는 ことわざ와 일본의 유명 문학 작가의 작품과 시 등을 소개하여 일본인의 마음과 작가의 작품세계를 알 수 있었다.
5차 교육과정기는 일본문화 관련 소재로 일본인의 생활 및 일본의 문 화, 사회, 경제에 관한 내용과 국제 이해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라는 것에 맞추어 문화관련 내용의 빈도가 증가 되었다. 일상생활에서는 모든 교과 서에서 편지 쓰는 방법에 관하여 일제히 소개 하였으며, 인사법 및 방문 예절 등이 많이 소개 되었다. 전통문화 부분은 연중행사의 お正月와 일본 의 대표적인 まつり를 다양하게 소개 하였다. 法隆寺、東大寺、鎌倉등의 소개도 많이 나타났으나 대부분이 사진으로 소개되었다. 정신문화에서는 敬語사용 및 ことわざ、옛날이야기와 詩를 소개 하였다.
6차 교육과정기는 일상생활 내용이 많이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으로는 화폐, 편지쓰기, 경어사용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내용 위주로 소개 되었다. 특히, 단원의 한 부분에 각 문화관련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 여 이해를 도왔다. 전통문화에서는 사진 위주로 소개되었다. 그 중 연중행 사에서는お盆에 대한 소개가 가장 많았고 お墓?り, お月見등의 관련행사 가 같이 소개되었다. 이밖에도 こいのぼり、端午の節句、七五三、七夕에 대한 소개가 많았고 마쓰리에 대한 내용으로는 ひなまつり의 소개가 가장 많았다. 정신문화에서는 5차 교육과정과 비교하면 내용이 줄어들었으나 일본의 유명작가의 작품이 소개 되었는데 그 가운데 ‘川’(谷川俊太?)가 네 개 교과서에서 、高村光太?의 작품이 세 개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소개되었다. 이밖에도 敬語사용법과 ことわざ、俳句、歌集에 관한 소개 가 있었다.
7차 교육과정기는 문화관련 항목이 따로 구성되었다. 의사습득 능력을 목표로 하는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이해의 중시, 정보수집 및 통신에 대한 흥미유발을 목표로 구성 되어있다. 일상생활에서는 6차 교과서와 비 교하여 비슷한 수준이나 편지쓰기와 일본의 생활예절 및 인사법을 소개 하였고 일본의 화폐를 사진으로 소개하였다. 새로운 부분은 일본의 교육 과 학제를 소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제도와 비교 할 수 있었고, 일본학생 들의 교육내용을 이해 할 수 있었다. 대중문화에 관한 내용으로는 인기 스포츠, 만화와 애니매이션, 인터넷의 발달로 컴퓨터 채팅 및 이메일 사용 법등이 소개되었다. 전통문화에서는 연중행사와 사찰에 대한 내용이 대부 분의 교과서에서 소개 되었다. 제일 많은 비중으로는お正月, お盆, 端午の 節句에 관한 내용이다. 마쓰리는 거의 모든 교과서에서 소개 되었는데 祇園、ひなまつり의 빈도수가 높았다. 이밖에 전통의상인 기모노와 가부 키, 노 등의 소개 빈도도 늘어났다. 정신문화에서는 敬語, 문학작품, 俳句, 일본의 종교를 소개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방 후 28년이 지난 1973년부터 고등학교에서 일본어 교육이 정식으로 시작되었다.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은 학습자에게 큰 영향과 의미를 준다고 생각한다. 외국어교육이 한나라의 언어습득과 의사소통을 돕기 위한 것이라면, 문화교육은 그 나라의 사회, 문화와 상대 국 사람들의 사고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2008년 현재 까지 실행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은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 어 문화교육을 중시하며, 문화 항목을 따로 설정 하였다. 교과서는 모든 교육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지침서 이다. 교과서의 내용에 따라 학생들의 지식의 양과 질이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어교육에 있어서 지금까지의 조사로는 전통문화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이 소개 되었고 다 음으로 일상생활, 정신문화, 대중문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종철 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문화 학습 후에는 대중문화, 생활문화, 전통문화의 순으로 문화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일본의 대중문화를 전면 개방하였다. 지금 세계는 글 로벌화 되어 같은 시간에 모든 정보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는 세상이 되 어있다. 따라서 한층 더 올바른 외국어의 이해가 요구되고 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문화의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서 소개하는 문화내용도 시대에 맞추어 현실적으로 변화해 나아가야 한다 고 생각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Japanese culture as is reflected in the Korean highschool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Seventy-two school textbooks from the 2nd through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a were studi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includes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motivat...
This study is about the Japanese culture as is reflected in the Korean highschool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Seventy-two school textbooks from the 2nd through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a were studi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includes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motivation for including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high schools, how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s programmed, and the research results and analysis of the Japanese culture as is reflected in the school textbooks. In Korea,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began in high school in 1973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Since then,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has continued throughout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a. In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now being implemented, an importance is attached to the culture education to keep pace with the globalized era, and the cultural features are specially added in the textbooks.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school textbooks from the 2nd through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a, it was reveal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Japanese traditional culture took the most part followed by that of the everyday lives, the mental culture, and the popular culture of Japan.
While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designed to help the students acquire the language of a nation and enable them to communicate in that language, the culture education helps them to better understand the society, culture and thoughts of the people of that nation. At present, Korea is fully open to the Japanese popular culture, and in this globalized world, everyone shares all th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For the correct usage of a foreign language and for the enhancement of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peoples,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that nation is indispensable.
This study is about the Japanese culture as is reflected in the Korean highschool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Seventy-two school textbooks from the 2nd through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a were studi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includes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motivation for including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high schools, how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s programmed, and the research results and analysis of the Japanese culture as is reflected in the school textbooks. In Korea,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began in high school in 1973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Since then,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has continued throughout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a. In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now being implemented, an importance is attached to the culture education to keep pace with the globalized era, and the cultural features are specially added in the textbooks.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school textbooks from the 2nd through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a, it was reveal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Japanese traditional culture took the most part followed by that of the everyday lives, the mental culture, and the popular culture of Japan.
While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designed to help the students acquire the language of a nation and enable them to communicate in that language, the culture education helps them to better understand the society, culture and thoughts of the people of that nation. At present, Korea is fully open to the Japanese popular culture, and in this globalized world, everyone shares all the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For the correct usage of a foreign language and for the enhancement of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peoples,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that nation is indispensabl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