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기반과 평생학습 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자기관리 기술 훈련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문제는 첫째, 자기관리 기술 훈련은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기관리 기술 훈련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이다. 연구는 광주광역시 O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총 5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학급, 통제집단 1학급을 배치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검사도구로 Guglielmino(1997)의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 검사를, 그리고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로 Sherer 등(1982)이 만든「General ...
지식기반과 평생학습 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자기관리 기술 훈련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문제는 첫째, 자기관리 기술 훈련은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기관리 기술 훈련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이다. 연구는 광주광역시 O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총 5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학급, 통제집단 1학급을 배치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검사도구로 Guglielmino(1997)의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 검사를, 그리고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로 Sherer 등(1982)이 만든「General Self-Efficacy Scale」를 토대로 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수준과 자기관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을 고려하여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자기관리 기술 훈련을 16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처치를 하지 않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관리 기술 훈련은 16일에 걸쳐 매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기술통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SPSS/window 12.0에서의 t검증을 통한 통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자기관리 기술 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자기효능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를 t검증을 해본 결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학습열성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단기간의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결론은 내릴 수 없으나, 장기간의 프로그램 적용과 후속연구의 긍정적인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지식기반과 평생학습 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자기관리 기술 훈련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문제는 첫째, 자기관리 기술 훈련은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기관리 기술 훈련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이다. 연구는 광주광역시 O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총 5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학급, 통제집단 1학급을 배치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검사도구로 Guglielmino(1997)의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 검사를, 그리고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로 Sherer 등(1982)이 만든「General Self-Efficacy Scale」를 토대로 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수준과 자기관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을 고려하여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자기관리 기술 훈련을 16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처치를 하지 않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관리 기술 훈련은 16일에 걸쳐 매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기술통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SPSS/window 12.0에서의 t검증을 통한 통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자기관리 기술 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자기효능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를 t검증을 해본 결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학습열성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단기간의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결론은 내릴 수 없으나, 장기간의 프로그램 적용과 후속연구의 긍정적인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e new knowledge-based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calls for the study on training of self-management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on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with following researc...
The new knowledge-based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calls for the study on training of self-management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on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with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 how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influences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b) how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influences elementary students' self-efficacy. Data were from two sixth -grade classes consist of 56 students in O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Korea. Two adopted tes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used in the study considering the study participants' developmental level and contents of the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had been trained self-management skill sixteen times and tested after the training while the students in control group had not been trained.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had been done for 16 consecutive school days, an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in SPSS 12.0.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on both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However, t-test showed that training brought positive change on learning eagerness of self-directed leaning attitude and self-control efficacy which is subordinate of self-efficacy in experimental group. Result also urge the long-term training and future research on self-management skill although this study showed that short-term training of self-management skill h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new knowledge-based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calls for the study on training of self-management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on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with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 how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influences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b) how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influences elementary students' self-efficacy. Data were from two sixth -grade classes consist of 56 students in O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Korea. Two adopted tes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used in the study considering the study participants' developmental level and contents of the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had been trained self-management skill sixteen times and tested after the training while the students in control group had not been trained.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had been done for 16 consecutive school days, an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in SPSS 12.0.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on both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However, t-test showed that training brought positive change on learning eagerness of self-directed leaning attitude and self-control efficacy which is subordinate of self-efficacy in experimental group. Result also urge the long-term training and future research on self-management skill although this study showed that short-term training of self-management skill h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