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감들이 발휘하고 있는 리더 역량에 대하여 리더십의 유형별에 따른 배경변인별로 비교되는 두 집단간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문적 리더십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감의 자기평가는 어떠한가?
둘째, 인간적 관계 리더십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감의 자기평가는 어떠한가?
셋째, 개념적 리더십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감의 자기평가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마산·창원지역권에 근무하는 국·공립초등학교 교감을 중심으로 우편·이메일로 설문지를 발송(시 지역 5시-184개교, 군지역 2군-31개교)하여 미회수, 기록누락 등 부적격 설문지를 제외한 150명(남 교감 120명, 여 교감 30명)의 교감들을 대상으로 자료처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Mumford와 동료학자가 개발한 역량측정표(skill inventory)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설문별 3영역 변인(전문적·인간관계·개념적 기술)으로 나누고 각 영역변인별 6문항씩 총 18문항을 설정하였으며, 응답형태는 Likert의 5점 측도법을 사용하였다. 영역별변인(전문적·인간관계적·개념적 기술 측정)의 타당성 검사와 Cronbach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감들이 발휘하고 있는 리더 역량에 대하여 리더십의 유형별에 따른 배경변인별로 비교되는 두 집단간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문적 리더십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감의 자기평가는 어떠한가?
둘째, 인간적 관계 리더십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감의 자기평가는 어떠한가?
셋째, 개념적 리더십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감의 자기평가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마산·창원지역권에 근무하는 국·공립초등학교 교감을 중심으로 우편·이메일로 설문지를 발송(시 지역 5시-184개교, 군지역 2군-31개교)하여 미회수, 기록누락 등 부적격 설문지를 제외한 150명(남 교감 120명, 여 교감 30명)의 교감들을 대상으로 자료처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Mumford와 동료학자가 개발한 역량측정표(skill inventory)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설문별 3영역 변인(전문적·인간관계·개념적 기술)으로 나누고 각 영역변인별 6문항씩 총 18문항을 설정하였으며, 응답형태는 Likert의 5점 측도법을 사용하였다. 영역별변인(전문적·인간관계적·개념적 기술 측정)의 타당성 검사와 Cronbach 알파값(0.71)을 사용한 영역별 응답반응에 대한 신뢰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처리 방법은 분석 가능한 모든 자료를 SPSS for Win V14.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집단간의 평균의 차이를 구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리더의 역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리더의 세 가지 기본적 관리 역량에 중점을 두고, 이 역량에 대한 초등교감의 자기평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문적 기술과 관련된 전문성’과 관련하여 ‘업무추진의 전문성’을 제외한 ‘법규 준수’, ‘효율성’, ‘능숙성’, ‘기본적 수행방법 인식 능력’에서 여 교감이 남 교감보다 교직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전문성이 훨씬 우월하였다. 대학원에 재학/졸업한 교육경력과 30년 미만의 젊은 교감이 많이 모여 있는 읍·면지역에서 전문적 기술 향상을 위한 노력을 통해 많이 신장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둘째, 배경변인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지만, 자기평가에 대해서 ‘협력적인 분위기 조성’, ‘사회적 구조 이해’, ‘협동적 관계’, ‘남을 고려한 의사결정력’의 인간관계적인 면에서 대체로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자신있게 좋은 반응을 나타내었다. 성별, 교육경력, 최종학력, 근무지역별로 서로 비슷하게 아주 좋은 인간관계적 역량들이 잘 유지되고 있으나, ‘설득력’과 ‘이해하는 능력’에서는 여 교감과, 30년이상, 읍·면지역이 더 좋도록 노력하고 있고, 대학원 재학/졸업은 대졸보다 설득력은 좋으나, 남을 이해하는 능력이 조금 부족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셋째, 인간관계 기술이 제일 높은 반면 개념적 기술이 제일 낮았다. ‘교육적인 아이디어 수행능력’, ‘비전 제시’, ‘복잡한 조직문제’, ‘조직의 기능 창안의 기여’, ‘학교조직의 성장, 역할과 기능, 경영철학 수립’등의 개념적 기술면에서 남 교감보다 여 교감들이 우세한 경향이고, 교육경력이 짧고 읍·면지역의 대학원 재학/졸업이 비전을 제시하고 복잡한 조직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이 높은 성향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감들이 발휘하고 있는 리더 역량에 대하여 리더십의 유형별에 따른 배경변인별로 비교되는 두 집단간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문적 리더십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감의 자기평가는 어떠한가?
둘째, 인간적 관계 리더십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감의 자기평가는 어떠한가?
셋째, 개념적 리더십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감의 자기평가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마산·창원지역권에 근무하는 국·공립초등학교 교감을 중심으로 우편·이메일로 설문지를 발송(시 지역 5시-184개교, 군지역 2군-31개교)하여 미회수, 기록누락 등 부적격 설문지를 제외한 150명(남 교감 120명, 여 교감 30명)의 교감들을 대상으로 자료처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Mumford와 동료학자가 개발한 역량측정표(skill inventory)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설문별 3영역 변인(전문적·인간관계·개념적 기술)으로 나누고 각 영역변인별 6문항씩 총 18문항을 설정하였으며, 응답형태는 Likert의 5점 측도법을 사용하였다. 영역별변인(전문적·인간관계적·개념적 기술 측정)의 타당성 검사와 Cronbach 알파값(0.71)을 사용한 영역별 응답반응에 대한 신뢰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처리 방법은 분석 가능한 모든 자료를 SPSS for Win V14.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집단간의 평균의 차이를 구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리더의 역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리더의 세 가지 기본적 관리 역량에 중점을 두고, 이 역량에 대한 초등교감의 자기평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문적 기술과 관련된 전문성’과 관련하여 ‘업무추진의 전문성’을 제외한 ‘법규 준수’, ‘효율성’, ‘능숙성’, ‘기본적 수행방법 인식 능력’에서 여 교감이 남 교감보다 교직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전문성이 훨씬 우월하였다. 대학원에 재학/졸업한 교육경력과 30년 미만의 젊은 교감이 많이 모여 있는 읍·면지역에서 전문적 기술 향상을 위한 노력을 통해 많이 신장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둘째, 배경변인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지만, 자기평가에 대해서 ‘협력적인 분위기 조성’, ‘사회적 구조 이해’, ‘협동적 관계’, ‘남을 고려한 의사결정력’의 인간관계적인 면에서 대체로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자신있게 좋은 반응을 나타내었다. 성별, 교육경력, 최종학력, 근무지역별로 서로 비슷하게 아주 좋은 인간관계적 역량들이 잘 유지되고 있으나, ‘설득력’과 ‘이해하는 능력’에서는 여 교감과, 30년이상, 읍·면지역이 더 좋도록 노력하고 있고, 대학원 재학/졸업은 대졸보다 설득력은 좋으나, 남을 이해하는 능력이 조금 부족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셋째, 인간관계 기술이 제일 높은 반면 개념적 기술이 제일 낮았다. ‘교육적인 아이디어 수행능력’, ‘비전 제시’, ‘복잡한 조직문제’, ‘조직의 기능 창안의 기여’, ‘학교조직의 성장, 역할과 기능, 경영철학 수립’등의 개념적 기술면에서 남 교감보다 여 교감들이 우세한 경향이고, 교육경력이 짧고 읍·면지역의 대학원 재학/졸업이 비전을 제시하고 복잡한 조직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이 높은 성향이다.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of figuring out the perception gap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responding to the styles of leadership on leader skill which vice-principal is acting at elementary schools and was set the three study points as the followings.
First, what is ...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of figuring out the perception gap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responding to the styles of leadership on leader skill which vice-principal is acting at elementary schools and was set the three study points as the followings.
First, what is the self-assessment of a vice-principal on technical skill?
Second, what is the self-assessment of a vice-principal on leadership for human skill?
Third, what is the self-assessment of a vice-principal on conceptual skill?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received survey papers (si-areas 5si-184schools, gun-areas 2gun-31 schools) through posts and e-mails targeting vice-principals working at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Masan and Changwon areas, Kyungsangnamdo. And 150 returned papers except non-returned and omitted ones were adopted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self-evaluation on this ability can be summarized largely like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First, female vice-principals have superior related Technical skill than male vice-principals in terms of 'abiding regulations', 'effectiveness','skillfulness', and 'basic performance methods except 'Technical skill of propelling works'. It can be felt that local areas (Eup, Myun) where young vice-principals with education career of entered and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s and under 30 year-old gathered a lot have developed much by their efforts of Technical skill improvements.
Second, they showed positive response in terms of humanity aspects such as 'making cooperative atmosphere', 'understanding social structure', 'cooperative relation', and 'making decisions, and caring others' generally positively, confidently and actively. Both female and male vice-principals keep good abilities in gender, education career, final school career, and working areas, and a good human relationship equally but in 'persuasive power' and 'understanding' female vice principals and those who are over 30 years, in local areas (Eup, Myun) tried harder to be better. Those who entered and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were better for persuasive power than the university graduates but showed the lack of understanding others a little.
Third, female vice-principal showed the higher figures than those of male vice-principals in terms of 'the ability to perform educational idea','vision representation','complicated organization problem','contribution for creating the functions of organization','school organization growth' , 'its roles and functions, business management philosophy establishment', etc. However, those who have shorter education career, entered and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and in local areas (Eup, Myun) represented visions and have skill to solve the complicated organizational problems.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of figuring out the perception gap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responding to the styles of leadership on leader skill which vice-principal is acting at elementary schools and was set the three study points as the followings.
First, what is the self-assessment of a vice-principal on technical skill?
Second, what is the self-assessment of a vice-principal on leadership for human skill?
Third, what is the self-assessment of a vice-principal on conceptual skill?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received survey papers (si-areas 5si-184schools, gun-areas 2gun-31 schools) through posts and e-mails targeting vice-principals working at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Masan and Changwon areas, Kyungsangnamdo. And 150 returned papers except non-returned and omitted ones were adopted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self-evaluation on this ability can be summarized largely like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First, female vice-principals have superior related Technical skill than male vice-principals in terms of 'abiding regulations', 'effectiveness','skillfulness', and 'basic performance methods except 'Technical skill of propelling works'. It can be felt that local areas (Eup, Myun) where young vice-principals with education career of entered and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s and under 30 year-old gathered a lot have developed much by their efforts of Technical skill improvements.
Second, they showed positive response in terms of humanity aspects such as 'making cooperative atmosphere', 'understanding social structure', 'cooperative relation', and 'making decisions, and caring others' generally positively, confidently and actively. Both female and male vice-principals keep good abilities in gender, education career, final school career, and working areas, and a good human relationship equally but in 'persuasive power' and 'understanding' female vice principals and those who are over 30 years, in local areas (Eup, Myun) tried harder to be better. Those who entered and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were better for persuasive power than the university graduates but showed the lack of understanding others a little.
Third, female vice-principal showed the higher figures than those of male vice-principals in terms of 'the ability to perform educational idea','vision representation','complicated organization problem','contribution for creating the functions of organization','school organization growth' , 'its roles and functions, business management philosophy establishment', etc. However, those who have shorter education career, entered and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and in local areas (Eup, Myun) represented visions and have skill to solve the complicated organizational problem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